$\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까시나무 황화현상 발생임분의 토양 이화학적 특성
Soil Physiochemical Properties in Leaf-yellowing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Stand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2 no.6, 2009년, pp.409 - 414  

이승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  변재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  지동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  권영대 (경기도 산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까시나무는 척박지에서 적응력이 뛰어나 과거 산림녹화와 사방조림 등에 많이 이용된 수종이다. 그러나 2000년 이후 황화현상이 국지적으로 빈번히 발생해 오다가 2006년에는 전국적으로 확산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 오산시 3개 지역에서 아까시나무의 황화현상 피해지와 미피해지 내에서 산림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그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지 일대 토양은 사방지토양, 갈색건조산림토양 및 갈색약건산림토양이 주를 이루었다. 피해지의 유효토심(16cm)과 전토심(25cm)은 미피해지(30cm, 56cm)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또한 미피해지에 비해 피해지 토양에서 고상률은 높은 반면 기상률은 낮고, 가비중도 높은 결과를 보여 근계부내 공기와 수분 이동성의 상대적 저하를 반영하였다. 또한 전체 조사지가 산성도가 매우 높은 강산성 토양이지만 피해지의 토양산도는 평균 pH 4.42로 미피해지의 pH 4.54보다 다소 낮았으며, 토양 내 유효인산, 칼슘, 마그네슘 함량과 염기포화율의 결과 역시 피해지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미피해지에 비해 열악한 황화현상 피해지의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은 양분과 수분에 대한 보유 및 공급능력의 상대적 저하로 아까시나무 임분이 다른 환경 스트레스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음을 반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1970's Black locust(Robinia pseudoacacia) had been widely planted Korea as an important forest greening species for erosion control afforestation. Since 2000, however, the tree's leaf-yellowing symptom has often been observed at a limited region and then spreaded out over the country in 2006.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아까시나무 황화현상의 발생과 관련해서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고온, 노령화, 병충해, 오존 등 다양한 요인이 제기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뚜렷한 해답을 얻지 못해 원인구명을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6년 아까시나무 황화현상이 전국적으로 심하게 발생하였던 시점에서 경기도 오산지역을 대상으로 황화현상 피해지와 미피해지의 토양환경을 조사하여 황화현상 발생 여부와 토양이 화학적 특성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ompton, J.E., and Cole, D.W., 1998. Fate and effects of phosphorus additions in soils under N2-fixing red alder. Biogeochemistry 53:225-257 

  2. Du $\breve{c}$ i $\breve{c}$ , T., D. Berthold, R. Langenfeld-Heyser, F. Beese, and A.Polle. 2009. Mycorrhizal communities in relation to biomass production and nutrient use efficiency in two varieties of Douglas fir (Pseudotsuga menziesii var. menziesii and var. glauca) in different forest soils. Soil Biology & Biochemistry 41:742-753 

  3. Gillespie, A.R. and P.E. Pope. 1990. Rhizosphere acidification increases phosphorous recovery by black locust: I. Induced acidification and soil response. Soil Sci. Soc. Am. J., 54:533-537 

  4. Gradowski, T., and S.C. Thomas. 2006. Phosphorus limitation of sugar maple growth in central Ontario.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6(1):104-109 

  5. Jeong, J.H., C.S. Kim, K.S. Goo, C.H. Lee, H.G. Won, and J.G. Byun. 2003. Ph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parent rocks. Jour. Korean For. Soc. 92(3):254-262 

  6. Johnson, D.W., J. Turner, and J.M. Kelly. 1982. The effects of acid rain on forest nutrient status. Water Resour. Res. 18:449-461 

  7. Jung, S.C., T.C. Huh, and S.H. Joo. 2003. Changes of soil properties in Black Locust(Robinia pseudoacacia L.) stand and adjacent stand. Agric. Res. Bull. Kyungpook Natl. Univ. 21:39-47 

  8. Keresztesi, B. 1988. Black Locust: the tree of agriculture. Outlook on Agr. 17:77-85 

  9. Liu, G., T. Deng. 1991. Mathematical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itrogen-fixation by black locust and soil conditions.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23(1):1-7 

  10. Maekawa, M. and N. Nakagoshi. 1997. Impact of biological invasion of Robinia pseudo-acacia on zonation and species diversity of dune vegetation in Central Japan. Japanese Journal of Ecology 47(2):131-143 

  11. Marschner, H. 1995. Mineral nutrition of higher plants. Academic Press, London, 861pp 

  12. NIAST. 2000. Methods of soil and crop plant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13. Schlegel, H., R.G. Amundson, A. Huttermann. 1992. Element distribution in red spruce(Picea rubens)fine roots; evidence for aluminium toxicity at Whiteface Mountain. Can. J. For. Res. 22:1132-1138 

  14. 신준환 외 19인. 2006. 아까시나무 황화피해 원인 구명 및 관리방안.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06-16). 150pp 

  15. 우종호. 1994. 아까시나무 임분의 자원화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3pp 

  16. 이경준. 1993. 수목생리학. 서울대학교출판부. 504pp 

  17. 이여하, 정인구. 1968. 수개의 토양인자가 아까시아나무 생장에 미치는 영향. 건국학술지 9(1) : 339-3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