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안 곰솔림 내 아까시나무의 분포확대 억제요인
Inhibitory Factors of Robinia pseudoacacia Distribution in a Pinus thunbergii Forest at the Coast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5 no.5, 2011년, pp.717 - 724  

정성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구교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김경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초록

본 연구는 해안 곰솔림에 생육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분포특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아까시나무의 생장특성과 임내 환경을 조사 분석하였다. 해안 곰솔림 내에 분포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분포확대 억제요인을 분석한 결과, 염분농도가 높은 0m 지점에서 잎의 갈변, 위조, 조기낙엽 현상이 나타나 염분이 아까시나무의 생장억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토양특성과 광환경은 식재지점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아까시나무의 생장에 있어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해안측에 생장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수평근 연륜분석 결과, 2년생 개체의 근주에서 0.1~0.2m 떨어진 수평근 연륜에서도 1년 밖에 형성되지 않아 아까시나무의 수평근으로 영양공급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수평근의 신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수평근의 신장과 개체의 신생이 이루어지지 않아 해안측으로 아까시나무의 분포확대가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environment in the forest and growth characteristics for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Robinia pseudoacacia distribution in a Pinus thunbergii forest at the coast. As a result of analyzing inhibitory factors of Robinia pseudoacacia distribution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본 해안 곰솔림에 생장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생장특성과 임내 환경을 분석하여 해안에 분포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분포특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해안림 조성 및 관리에 있어 아까시나무를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조사지에서 아까시나무의 생장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는 환경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임내 환경을 조사하였다. 식재 지점의 pot 내 토양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0∼5㎝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실내에서 약 2주간 풍건한 후 2㎜체를 통과시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까시나무가 토양개량 및 신탄재를 위한 조림목으로 유럽각지에 널리 보급되었던 것은 어떤 특성 때문인가? , 1981; Boring and Swank, 1984). 아까시나무는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강하고 맹아갱신이 뛰어나며, 생존율이 높고, 생장이 빠르며, 목재가 단단하여 빨리 부패하지 않아 이용가치가 높은 종으로서 토양개량 및 신탄재를 위한 조림목으로 유럽각지에 널리 보급되었다(Clark, 1986; Rédei et al., 2002).
최근 일본에서는 과거 식재한 아까시나무가 관리 소홀로 인해 해안 곰솔림에 침입한 아까시나무가 곰솔을 피압하고, 생장억제 및 고사피해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그러나, 최근 일본에서는 과거 식재한 아까시나무가 관리 소홀로 인해 해안 곰솔림에 침입한 아까시나무가 곰솔을 피압하고, 생장억제 및 고사피해 영향을 미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Shimizu and Konta, 200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약제 및 벌채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본 해안에 있어 주변 주민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아까시나무 해안림이 쇠퇴·고사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방재적·경관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아까시나무의 원산지는?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는 콩과(Legumisae) 낙엽활엽수로, 온대지역에 광범위하게 식재되어 있으며 (Brewbaker, 2004), 북미 애팔래치아 산맥이 원산지로 (Boring and Swank, 1984), 원산지에서는 식생천이 초기의 우점종으로서 개벌지, 방목지, 교란을 받은 도로변, 산불피해지에서 갱신되고 있다(Chapman, 1935; Ogden, 1961; Boring et al., 1981; Boring and Swank, 1984; Borman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oring, L.R., C.D. Monk and W.T. Swank(1981) Early regeneration of a clear cut southern Appalachian forest. Eco. 62: 1244-1253. 

  2. Boring, L.R. and W.T. Swank(1984) The role of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in forest succession. J. Ecol. 72: 749-766. 

  3. Bormann, B.T., F.H. Bormann, W.B. Bowden, R.S. Pierce, S.P. Hamburg, D. Wang, M.C. Snyder, C.Y. Li and R.C. Ingersoll(1993) Rapid N2 fixation in pines, alder, and locust: evidence from the sandbox ecosystem study. Ecology 74: 583-598. 

  4. Brewbaker, J.L.(2004) Nitrogen-fixing tree improvement and culture. In Encyclopedia of forest sciences. Burley J, Evans J, Youngquist JA (eds), Elsevier, Oxford, pp. 1491-1501. 

  5. Chapman, A.G.(1935) The effects of black locust on associated spec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forest trees. Ecological Monographs 56: 37-60. 

  6. Choi, M.G.(1986) Characteristics of salt tolerance in tree species (I) - Relationship between tree species distribution and soil salt concentration in East coastal forest, Jour. Korean For. Soc. 73: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un, K.W., S.W. Kim, K.N. Kim, Y. Nakashima and T. Ezaki(2005) Coastal forest construction and non-structural measures for preventing tsunami damage-In case of japan-. Jour.Korean For. Soc. 94(3): 197-2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lark, J.S.(1986) Coastal forest tree population in a changing environment, southeastern Long Island, New York. Ecological Monographs 56: 259-277. 

  9. Fujihara, M., T. Oyabu, Y. Sawada, Y. Iwasaki and S. Yamamoto(2007) The suitable habitat for establishing of seedlings derived from old and large-sized Japanese black pine trees on the coastal sand pine forest. J. of the Japanese Soc. of Coastal For. 7(1): 25-30. 

  10. Gyokusen, K., Y. Iijima and H. Yahata(1991) Spacial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Root Sprouts in Niseakasia (Robinia pseudoacacia L.) Growing under a Coastal Black Pine Forest. Bulletin of the Kyushu University Forest 64: 13-28.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1. Iwai, H.(1986) Studies on sucker and growth inhibition of black locust. Chiba Prefect. For. Exp. Stn. 20: 31-32.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2. Iwai, H.(1987) Examination about maintenance of environment preservation-Studies on sucker and growth inhibition of black locust-. Chiba Prefect. For. Exp. Stn. 21: 31.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3. Jung, S.C., N. Matsushita, B.Y. Wu, N. Kondo, A. Shiraishi and T. Hogetsu(2009) Reproduction of a Robinia pseudoacacia population in a coastal Pinus thunbergii windbreak along the Kujukurihama Coast, Japan. J. For. Res. 14: 101-110. 

  14. Jung, Y.K. and W. Kim(2000)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mantle communities in korean peninsula. Korean J. Ecol. 23(3): 193-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aihara, T., N. Kobayashi, Y. Nakashima, M. Haikawa and T. Ezaki(2008) Adaptability of Euonymus Japanicus Thunb. as seabreeze protection Forest(II). J. of the Japanese Soc. of Coastal For. 7(2): 371-42. 

  16. Kim, D.G.(2010) Native tree species of tolerance to saline soil and salt spray drift at the coastal forests in the west-sea, korea. Kor. J. Env. Eco. 24(2): 209-2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H.S.(2008)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in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eanmaedo, Jindo-gun, Jeonnam. Korean J. Plant Res. 21(1): 5-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Y.J., K. Korozawa, H. Yahata and K.K. Oh(2009) Relationship between change of the light environment in the shore Black Pine and biomass of branches and leaves. Pro. Kor. Soc. Env. Eco. Con. 19(2): 49-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urata, M.(1979) Revegetation Technology. Morikita Publishing Co., Ltd. Tokyo, 298pp. 

  20. Kwon, J.O., K.J. Lee and S.H. Jang(2004) The planting models of maritime forest by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the seaside, Inche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6): 53-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H.J. and H.S. Yang(1993) Adaptation of Phragmites communis Trin. population to soil salt contents of habitats. Korean J. Ecol. 16(1): 63-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Murai, H., M. Ishikawa, J. Endo and R. Tadaki(1992) The coastal forest I japan. Soft science, INC., 513pp. 

  23. Nakashima, Y.(2000)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coastal forests. Sand Dune Research 47(2): 128-135. 

  24. Oda, T.(1992) Physiology & meteorological disasters and control technology(Coastal forest of japan). Soft-science, Tokyo, pp. 441-454. 

  25. Ogden, J.G.(1961) Forest history of Martha's Vineyard. Am Midland Nat 66: 417-430. 

  26. Park, C.M., S.W. Kim and S.H. Park(2009) Study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windbreak forests around Goosipo beach, Cochang-Gun. Kor. J. Env. Eco. 23(4): 365-3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Park, Y.G.(1996) The prospects for the utilization of Robinia pseudoacacia in Korea Korean Journal of Apiculture 11: 27-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Redei, K., Z. Osvath-Bujtas and I. Balla(2002) Clonal approaches to growing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in Hungary: a review. Forestry 75: 547-552. 

  29. Shimizu, T. and F. Konta(2003) Naturalized plants of japan. Heibonsha, Tokyo, pp. 11-39. 

  30. Tanaka, K.(1992) History of coastal Forest(Coastal forest of japan). Soft science, Tokyo, pp. 2-15. 

  31. Ulrich, A. and I. Zaspel(2000) Phylogenetic diversity of rhizobial strains nodulating Robinia pseudoacacia L. Microbiology 146: 2997-3005. 

  32. Wada, Y.(2007) Beekeeping and Black locust. Japan Forest Technology 781: 22-25. 

  33. Zang, X.Q., J. Liu, C.V.J. Welham, C.C. Liu, D.N. Li, L. Chen and R.Q. Wang(2006) The effects of clonal integration on morphological plasticity and placement of daughter ramets in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Flora 201: 547-5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