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서비스시스템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Satisfaction Survey 원문보기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s, v.13 no.5, 2009년, pp.835 - 844  

문병주 (IITA 정보인프라팀) ,  김창수 (청운대학교 인터넷학과) ,  송종철 (IITA 정보인프라팀) ,  손소현 (IITA 정보인프라팀) ,  정회경 (배재대학교 컴퓨터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정보가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지고 정보서비스의 만족도 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지만 정보의 다양한 특성들 때문에 정보와 정보서비스의 정확한 자치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은 복잡하고 다양한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정보제공서비스의 기능 및 효율성이 증시됨에 따라 정보제공서비스의 콘텐츠만족도와 서비스만족도, 시스템만족도 등에 관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만족도지수 측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상에서 정보제공서비스를 하고 있는 ITFIND의 이용자만족지수(User Satisfaction Index)를 측정하여 보다 향상된 정보시스템 서비스 전략을 수립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이용자만족지수의 측정 결과를 통해 향후의 개선 방법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tely, influence of information rises and interest about estimation satisfaction of information service is rising. However, It requires complicated and various method that measure and evaluate correct value of information service by various attributes of information. Also function and efficiency of...

주제어

참고문헌 (16)

  1. 김희섭, 권도윤, 배영미, 이세은, '벤치마킹을 통한 ITFIND의 고객만족경영', 정보통신연구진흥원, 2007 

  2. 국가고객만족지수, http://www.ncsi.or.kr/ 

  3. 박상준, 김현철, '고객만족지수와 기업성과', 마케팅연구, Vol.18, NO.3, p19-50, 2003 

  4. 박중훈, 김판석, '행정서비스종합대책구상 - 공공기관의 고객만족도 평가지표 개발,' 한국행정연구원, 1996 

  5. 오동근, '공공도서관의 서비스품질이 이용자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관리학회지 Vol.22, No.4, pp. 61-78, 2005. 12 

  6. 김희섭, 박용재, '정보시스템의 이용자만족지수 모형계발 및 측정', 정보관리학회지 Vol.21, No.4, pp. 153 -171, 2004. 12 

  7. 박용재, 이상환, 곽승진, '정보시스템 이용자만족지수 모델개발 및 측정을 통한 시스템 개선방안', 정보관리학회지, Vol.24, No.4, p173-189 , 2007. 12 

  8. 황재영, 이응봉, 최호남, '국가과학기술전자도서관 고객만족지수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4, p247-270, 2006. 12 

  9. 정철현, '정보 시스템 사용자 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행정연구, Vol.11, No.4, 2002 

  10. 이광희 , 김용훈 , 윤홍근 , 조현석, '공공부문에서의 고객만족도 조사방법 개선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5년 

  11. 홍재환 , 홍은경 , 유재원 , 이진석, '민원행정서비스 고객만족도 조사,분석', 한국행정연구원, 2005년 

  12. DeLone, W. H. & E. R. McLean,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3, No.1, p60-95, 1992 

  13. Pitt, L. F., R. T. Watson & C. B. Kavan, 'Measuring Information Systems Service Quality: Lessons from Two Longitudinal Case Studies', MIS Quarterly, Vol.22, No.1, p61-79, 1998 

  14. Seddon, P. B.,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8, No.3, p240-253, 1997 

  15. Parasurman, A., V. A. Zeithaml & L. L. Berry, 'Communication and Control Process in the Delivery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Vol.52, No.2, p35-48, 1988 

  16. Bailey, J. E. & W. S. Pearson, 'Development of a Tool of Measuring and Analyzing Computer User Satisfaction', Management Science, Vol.29, No.5, p530-545, 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