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MD 적합성이 소비자의 감정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 감정.인지이론과 인지.감정이론에 근거한 모델 검증 -
The Effect of VMD Image Appropriateness on Consumers' Affective, Cognitive, and Conative Responses - Testing Models based on the Emotion-Cognition Theory and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s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17 no.3, 2009년, pp.459 - 471  

박민정 (계명대학교 패션마케팅학과) ,  이소은 (용인송담대학 스타일리스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VMD image appropriateness in apparel shopping contexts. Two competing models are utilized. The first model is developed from the emotion-cognition theory which explains that environmental cues(i.e., VMD image appropriateness) generate consumers'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 이미지 창출 및 마케팅의 중요 요소인 VMD 적합성이 소비자에게 어떻게 인지되고, 감정적 반응을 유도하며 행동으로 연결되는지를 감정·인지이론과 인지·감정이론에 근거한 2가지 구조적 모델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하는데 있다.
  • 따라서 환경심리학자들의 지속적인 논란이 되어온 두 이론(감정·인지이론과 인지·감정이론)에 근거하여 VMD 적합성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과 인지적 반응 중 어떠한 반응이 선행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 이미지 창출 및 마케팅의 중요 요소인 VMD 적합성이 소비자에게 어떻게 인지되고, 감정적 반응을 유도하며 행동으로 연결되는지를 감정·인지이론과 인지·감정이론에 근거한 2가지 구조적 모델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가지 구조적 모델 중 VMD 적합성이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을 조사함으로써 VMD에 관한 연구 분야에 이론적으로 기여하고자 하며, 연구 모델의 구조적 분석을 통해 브랜드의 이미지에 맞는 VMD를 기획하고, 상황에 맞는 인지적, 감정적 반응을 유도하여 구매로 이어지는 프로세스를 파악함으로써 마케팅적 측면에서 경쟁 브랜드와 차별화된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VMD 적합성이 감정적→인지적→행동적 반응 순으로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감정·인지이론을 바탕으로 실험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VMD와 소비자 행동 연구 분야에 학문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 본 연구는 VMD 적합성이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과 인지적 반응 및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감정·인지이론과 인지·감정이론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
  • 기존의 선행 연구는 소비자가 쇼핑하는 동안 제공되는 구매 의사 결정과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VMD와 관련된 정보를 이성적으로 분석하는 합리적인 소비자 행동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할 수 있으나, VMD가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간과하여 왔다. 본 연구는 쇼핑 환경이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환경심리학자들의 지속적인 논란이 되어온 두 이론(감정·인지이론과 인지·감정이론)에 근거하여 VMD 적합성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과 인지적 반응 중 어떠한 반응이 선행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 예비조사에 의해 선택된 자극물의 VMD 적합도 차이의 타당성를 검증하기 위해 자극물의 VMD 적합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VMD 적합성은 'VMD 요소가 일관된 매장 연출로 CONVERSE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 한다'의 문항을 활용하여 7점 척도(1: 매우 그렇지 않다, 7: 매우 그렇다)로 측정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VMD 적합성이 높을수록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이 상승할 것이다.
  • 가설 2: 소비자가 긍정적 감정을 가질수록 (1) 쇼핑 환경 지각과 (2) 제품 품질 지각이 긍정적일 것이다.
  • 가설 3: 쇼핑 환경 지각이 호의적일수록 제품 품질 지각이 긍정절일 것이다.
  • 가설 4: 긍정적인 (1)쇼핑 환경 지각과 (2)제품 품질 지각이 구매 의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 가설 5: VMD 적합성이 높을수록 (1) 쇼핑 환경 지각과 (2) 제품 품질 지각이 긍정적일 것이다.
  • 가설 6: 긍정적인 (1) 쇼핑 환경 지각과 (2) 제품 품질 지각이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을 향상 시킬 것이다.
  • 가설 7: 쇼핑 환경 지각이 호의적일수록 제품 품질지각이 긍정절일 것이다.
  • 가설 8: 소비자가 긍정적 감정을 가질수록 구매 의도가 향상될 것이다.
  • <그림 2> 연구모델 2와 가설 H5~H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MD 적합성은 무엇인가? 또한, 리뉴얼을 시행하였으나 브랜드 이미지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여 매출과 연계되지 못한 사례들은 브랜드 이미지를 반영한 적합한 VMD 전략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VMD 적합성은 VMD의 전략과 구성요소가 브랜드의 제품이나 이미지에 잘 부합되는 정도라 할 수 있다. VMD는 소비자에게 시각적 자극을 통해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시키고, 신뢰를 형성시키며, 때로는 브랜드 이미지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다양한 요소 중 VMD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있어 다양한 요소 중 VMD(Visual Merchandising)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것은 VMD가 판매가 이루어지는 최접점인 판매현장에서 소비자에게 브랜드의 컨셉과 이미지를 전달할 뿐 아니라 직접적으로 매출과 연계될 수 있는 가장 두드러지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실제 패션기업의 사례를 살펴보면, 기업 브랜드의 이미지에 맞는 VMD를 시행하였을 경우 상당한 매출이 신장한 반면, VMD 전략이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반영하지 못하였을 경우 영업 매출이 하락하거나 브랜드의 이미지 자체가 악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1).
쇼핑 환경이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두 가지의 서로 다른 견해는 무엇인가? 쇼핑 환경이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크게 두 가지의 서로 다른 견해가 있다. 전통적인 심리학자들은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반응이 감정적 반응에 선행한다고 보았으며4), 다른 하나는 감정적 반응이 인지와는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혹은 감정이 인지적 반응에 영향을 주어 구매 행동에 까지 연결된다고 하였다5). 이에 쇼핑 환경을 구성하는 VMD의 적합성이 소비자의 감정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어떠한 반응을 유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마케팅 방법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김영심 (2001). “점포 이미지 및 브랜드 이미지에 따른 매장 내 감정이 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지연, 이은영 (2004). “의류 점포의 서비스 품질, 제품품질과 가격이 점포애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8권 1호. 

  3. 박민정, 이소은 (2008). “VMD 이미지와 브랜드 인지도가 위험지각, 브랜드 이미지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지 16권 5호. 

  4. 박성연, 황정은 (2005). “매장내 체험적 경험이 브랜드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논총 23권 2호. 

  5. 박옥련, 이영주, 하종경, 김현진, 정형도 (1995). 패션 디스플레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형설출판사. 

  6. 박현희, 전중옥 (2004). “VMD 구성요소의 패션 브랜드 태도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권 2호. 

  7. 박현희, 정중옥, 곽원일 (2007). “패션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과 VMD 적합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12권 1호. 

  8. 신수연, 김민정 (2002). “여성 의류매장의 VMD(Visual Merchandising)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권 6호. 

  9. 신수연, 김민정 (2006). “광고 태도와 VMD 태도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웨어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4권 5호. 

  10. 신수연, 김희수 (2002). “여성 의류매장의 VMD(Visual Merchandising)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권 6호. 

  11. 심낙훈 (2008). 비주얼머천다이징 & 디스플레이. 서울: 우용출판사. 

  12. 옥혜정 (1994). “백화점 마케팅 전략으로서의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관한 연구: 서울 ‘S’ 백화점을 대상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유창조 (1996). “쇼핑행위의 경험적 측면: 쇼핑시 느끼는 기분이나 감정이 매장 태도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7권 1호. 

  14. 유창조, 현소은, 전중옥 (1997). “매장의 특징, 매장 내 감정 및 쇼핑 행위에 관한 구조적 연구.” 마케팅연구 12권 2호. 

  15. 이소은 (2008). “의류 점포의 VMD와 브랜드 인지도에 따른 구조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소은, 임숙자 (2008).“VMD 효과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6권 5호. 

  17. 지성구, 이헌종 (2006). “매장내 고객의 감정 반응: 선행요인과 결과.” 유통정보학회지 9권 3호. 

  18. 한영호, 안진근 (2007). 비주얼디스플레이. 서울: 기문당. 

  19. 홍금희 (2002). “쇼핑동기와 서비스 품질 지각이 고객의 감정적 반응과 패션점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6권 2호. 

  20. (주) 디자인 쏨니엄 2008년 VMD 컨설팅 내부자료. 

  21. (주) 이랜드 퓨마코리아 2003년 내부 영업자료. 

  22. Anderson, J. and D. Gerbing (1988). “Structural equation 

  23. Bellizzi, J. A., A. E. Crowley and R. W. Hasty (1983). 

  24. Browne, M. and R. Cudeck (1992). “Alternative ways of 

  25. Fisher, J. D. (1974). “Situation-specific variables as determinants 

  26. Joreskog, K. and D. Sorbom (1993). LISREL 8: User's 

  27. Kerfoot, S. B., Davies, and P. Ward (2003). “Visual 

  28. Lazarus, R. S. (1991). Emotion and Adoption. New York: 

  29. Mackenzie, S. B., R. J. Lutz and G. E. Belch (1986). 

  30. Mehrabian, A. and A. Russell, J. (1974). An Approach 

  31. Miltenberger, R. G., J. Redlin, R. Crosby, M. Stickney, 

  32. Raghubir (2004). “Free gift with purchase: Promoting or 

  33. Shen, F. (2001). “Effects of violence and brand familiarity 

  34. Zajonc, R. B. and H. Marku (1982). “Affective and cognitiv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