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MD구성요소가 의류 브랜드 태도와 점포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MD Components on the Attitudes Toward Fashion Brands and the Intention of Revisiting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9 no.7, 2009년, pp.100 - 113  

최미영 (덕성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VMD structural elements affect fashion brand attitude and intention of store revisiting. For the research, we surveyed 200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target consumers of SPA brands from April 10th to 15th in 2009. With SPSS 12.0 program, t...

주제어

참고문헌 (35)

  1. 이미숙 (2009). VMD 구성요소가 점포이미지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의류매장의 실내색상과 상품수량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충북가정학회지), 18(1), pp. 247-257 

  2. 전종옥, 박현희 (2005). 패션 VMD 인지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10(2), pp. 117-139 

  3. 이소은, 임숙자 (2008). VMD 효과에 관한 연구. 복식 문화연구, 16(5), pp. 795-811 

  4. Davis, B. J., & Ward, P. (2005). Exploring the connections between visual merchandising and retail branding: An application of facet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3(7), pp. 505-513 

  5. 신혜영, 홍병숙 (2004). 감성 캐쥬얼 의류 매장의 VMD 매뉴얼 연구. 2004 한국유통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185-207 

  6. 안진근 (2001). 이벤트 프로모션을 활용한 백화점 VMD 현황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연순, 박성혜, 박윤아 (1993). 의류 매장 종류에 따른 쇼윈도우 디스플레이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2), pp. 205-212 

  8. 장은영 (1991). VMD(Visual Merchandising)로서의 의류매장 디스플레이가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16(May), pp. 211-220 

  9. 전민지 (2006).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윈도우 정보효과가 방문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조경화 (1989). 브랜드 이미지를 위한 쇼윈도우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민정, 이소은 (2008). VMD 이미지와 브랜드 인지도가 위험 지각, 브랜드 이미지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6(5), pp. 826-840 

  12. 박현희, 전중옥, 곽원일 (2007). 패션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과 VMD 적합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12(1), pp. 55-70 

  13. 정운석 (2005). 의류매장 VMD 구성요인이 브랜드 신뢰 및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연순, 박성혜, 박윤아. 앞의 책, pp. 205-212 

  15. 한동철, 성희승 (1997). 쇼핑유형이 소비자의 점포 디자인 지각에 미치는 영향. 유통연구, 2(1), pp. 35-57 

  16. Kerfoot, S.. Davies, B.. & Ward, P. (2003). Visual merchandising and the creation of discernible retail brand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and Distribution Management, 31(3), pp. 143-152 

  17. 박현희, 전종옥 (2004). VMD 구성요소의 패션 브랜드 태도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2), pp. 224-234 

  18. Mazursky, D.. & Jacoby, J. (1986).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store image. Journal of Retailing, 62(2), pp. 145-165 

  19.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pp. 1-22 

  20. Baker, J.. Grewal, D., & Parasuraman, A. (1994). The Influence of store environment on quality inferences and store image.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4), pp. 328-339 

  21. Fiore, A. M., & Fimle, P. A. (1977). Understanding aestetics for the merchandising and design professional. NY: Fairchild Publication 

  22. 전달영, 김용환 (1999). 경쟁할인점간 점포선택 결정 요인. 마케팅연구, 14(4), pp. 201-225 

  23. 홍금희 (2000). 의류점포 유형에 따른 서비스품질과 점포만족도. 한국의류학회지, 24(5), pp. 760-771 

  24. Low, G. S.. Lamb, C. W. (2000). The measurement and dimensionality of brand association.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9(6), pp. 350-368 

  25. Bitner, M. J. (1992). Evaluation service encounters: the effects of physical surroundings and employee responses. Journal of Marketing, 56(2), pp. 57-71 

  26. Dune P. M, Lusch, R. F.. & Griffith, D. A. (2002). Customer service and retail selling & Store layout design. Retailing. 4th Edition. Harcourt college publishers, pp. 445-531 

  27. Zajonc, R. B. (1968). Attitudinal effects of mere expo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 pp. 1-27 

  28. Donovan, R.J, Rosssiter, R. (1982). Store atmosphere: an environmental psychology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22(7), pp. 47-54 

  29. Dawson, S.. Bloch, P. & Ridgway, N. (1990). Shopping Motives, Emotional States, and Retail Outcomes. Journal of Retailing, 66(4), pp. 408-427 

  30. 박현희, 전종옥. 앞의 책, pp. 224-234 

  31. 이연순, 박성혜, 박윤아. 앞의 책, pp. 205-212 

  32. Baker. J., Grewal, D, & Parasuraman, A. op. cit.. pp. 328-339 

  33. Bitner, M. J. op. cit.. pp. 57-71 

  34. MacKenzie, S. B., & Lutz, R. J. (1989).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53(2), pp. 48-65 

  35. 이주영, 이선재 (2000). 할인점의 제품차원과 서비스 차원이 의류제품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 50(8), pp. 17-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