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녹차는 생리활성의 촉진작용뿐아니라 항암, 항산화, 고혈압 억제효과, 체중조절 등 다방면의 약리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울러, 녹차의 항균 및 항진균 작용에 관한 연구결과도 발표되고 있으나, 항균작용 기작에 접근한 기초 연구는 별로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식품변패미생물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항균작용을 구명하는 기초자료를 획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녹차추출물의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50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뚜렷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광역의 병원성 및 부패성 미생물들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녹차추출물의 항균물질은 넓은 범위의 온도($40{\sim}150^{\circ}C$) 및 pH($3{\sim}11$)에서 안정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녹차추출물의 항균물질은 항균활성이 높고, 항균 대상 미생물의 분야가 광범위할 뿐아니라, 넓은 범위의 온도 및 pH에 안정하여 이상적인 천연 항균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녹차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알기 위하여, 녹차추출물 처리가 미생물 세포막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녹차추출물의 주요 작용기작은 세포막 perturbation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green tea may have anticancer,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and aids body weight control and the promotion of various desirable physiological functions.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green tea. We sought to determin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녹차추출물의 항균물질은 넓은 범위의 온도(40~150℃) 및 pH(3~11)에서 안정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녹차추출물의 항균물질은 항균활성이 높고, 항균 대상 미생물의 분야가 광범위할 뿐아니라, 넓은 범위의 온도 및 pH에 안정하여 이상적인 천연 항균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녹차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알기 위하여, 녹차추출물 처리가 미생물 세포막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녹차추출물의 주요 작용기작은 세포막 perturbation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되어 오고 있는 녹차의 항균관련 연구는 그 처리에 따른 미생물의 생육억제현상을 기술하는데 머물러 있는 형편이며, 녹차실험시료 또한 특정 제다회사의 증제차나 덖음차를 이용하고 있어 생녹차의 기능성을 연구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차 재배현장에서 직접 채취한 녹차를 일정한 저장조건에서 보관하면서, 녹차추출물의 미생물 생육억제효과를 생리기작의 변화를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즉, 녹차추출물 처리전후의 전자현미경촬영사진 결과 및 β-galactosidase 효소활성변화를 통하여 녹차추출물이 미생물의 생육과 물질의 수송을 조절하는 세포막의 생화학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녹차추출물의 항균작용을 구명함으로서, 녹차추출물의 항균성을 확인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아울러, 녹차의 항균 및 항진균 작용에 관한 연구결과도 발표되고 있으나, 항균작용 기작에 접근한 기초 연구는 별로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식품변패미생물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항균작용을 구명하는 기초자료를 획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녹차추출물의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5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뚜렷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광역의 병원성 및 부패성 미생물들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즉, 녹차추출물 처리전후의 전자현미경촬영사진 결과 및 β-galactosidase 효소활성변화를 통하여 녹차추출물이 미생물의 생육과 물질의 수송을 조절하는 세포막의 생화학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녹차추출물의 항균작용을 구명함으로서, 녹차추출물의 항균성을 확인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차의 약리효과에는 무엇이 있는가? 녹차에 관한 최근까지의 연구결과에서 녹차는 생리활성의 촉진작용뿐아니라 항암(1,2), 항산화(3-5), 고혈압 억제효과(6), 항당뇨(7) 등 다방면의 약리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같이 녹차추출물에 대한 처리효과가 단편적으로 발표되고 있으나, 대부분 약리임상 분야에서 효과면에 치중한 연구로서, 생리활성기전에 기초를 둔 연구는 많지 않다.
녹차 등의 기호 차가 만성위염, 위십이지장궤양, 위암 등의 위장질환의 원인이 되는 무엇의 증식을 억제하는가? 최근 식품산업에 대두되고 있는 병원성 식중독균인 Escherichia coli 0157:H에 대한 녹차추출물 및 ethylacetate분획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검토한 결과(12)와 아울러, 엽차용 녹차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효과(13)가 발표되면서 녹차의 주요 기능성 물질인 catechin 및 추출용 매별 분획물의 항균작용에 대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녹차 등의 기호차가 만성위염, 위십이지장궤양, 위암 등의 위장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는 Hellicobacter pyroli의 증식을 억제하고 vacuolating toxin 역가를 중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14)되고 있다. 이와같이 식품의 생체조절기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녹차의 항산화성 및 항균작용을 구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크게 증가해 오고 있는 상황이다.
식품변패미생물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항균작용을 구명하는 기초자료를 획득하는 목적으로 실행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는 식품변패미생물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항균작용을 구명하는 기초자료를 획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녹차추출물의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5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뚜렷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광역의 병원성 및 부패성 미생물들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녹차추출물의 항균물질은 넓은 범위의 온도(40~150℃) 및 pH(3~11)에서 안정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녹차추출물의 항균물질은 항균활성이 높고, 항균 대상 미생물의 분야가 광범위할 뿐아니라, 넓은 범위의 온도 및 pH에 안정하여 이상적인 천연 항균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orre, D.M. and Morre, D.J. (2006) Anticancer activity of grape and grape skin extracts alone and combined with green tea infusions. Cancer Lett., 238, 202-209 

  2. Park, H.K., Han, D.W., Park, Y.H. and Park, J.C. (2006) Differential biological responses of green tea polyphenol in normal cells vs cancer cells. Curr. App. Phys., 5, 449-452 

  3. Chen, H., Zhang, M., Qu, Z. and Xie, B.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fractions of polysaccharide conjugates from green tea(Camellia Sinensis). Food Chem., 106, 559-563 

  4. Kapsokefalou, M., Zhu, L. and Milledr, D.D. (2006) Adding iron to green tea may decrease its antioxidant capacity in rats after an oral dose of the mixture. Nutr. Res., 26, 480-485 

  5. Cai, Y.J., Ma, L.P., Hou, L.F., Li, B.Z., Yang, L.Y. and Liu, Z.L. (2002) Antioxidant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s on free radical initiated peroxidation of rat liver microsomes. Chem. Phys. Lipids, 120, 109-117 

  6. Hara, Y., Matsuzaki, T. and Suzuki, T. (1987)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ing activity of tea components. Nippon Nogeikagaku Kaishi 61, 803-807 

  7. Sabu, M.C., Smitha, K., and Ramadasan, K. (2002) Antidiabetic activity of green tea polyphenols and their role in reducing oxidative stress in experimental diabetes. J. Ethanopharmacol., 83, 109-116 

  8. Park, C.S. (1998) Antibacterial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against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286-291 

  9. Park, C.S. and Cha, M.S. (2000)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reen tea extracts and preservatives to the pasthogenic bacteria. Korean J. Food Nutr., 13, 36-44 

  10. Park, C.S., Cha, M.S., and Kim, M.S. (2001) Changes in the antibac terial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in various pH of culture broth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206-212 

  11. Cho, Y.S., Kim, H.S., Kim, S.K., Kwon, O.C., Jeong, S.J., and Lee, Y.M. (1997) Antibacterial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J. Korean Tea Soc., 3, 89-103 

  12. Cho, S.Y., Choi, J.H., Ham, S.S., and Oh, D.H. (2005)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reen tea extract and fractions on the E. coli O157:H7. J. Food Hyg. Safety, 20, 48-52 

  13. Chung, S.H. and Yoon, K.H. (2008)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and fractions of green tea used for coarse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82-1388 

  14. Chung, Y.S., Kanf, K.H., and Chang, M.W. (2001) Effects of green and taste teas on the growth and vacuolating toxin titer of Helicobacter pylori. Korean J. Biotechnol. Bioeng.,16, 163-169 

  15. A.O.A.C. (2000) The scientific association dedicated to analytical excellence Washington D.C. U.S.A., p.17-24 

  16. Ha, M.H., Park, W.P., Lee, S.C., Choi, S.G., and Cho, S.H.(2006) Antimicrobial characteristic of Prunus mume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3, 198-203 

  17. Piddock, L.J.V. (1990)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l. Bacteriol., 68, 307-310 

  18. Bendayan, M. (1984) Proein-A-gold electron microscopic immunocytochemistry : methods,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J. Elect. Microsc. Technol., 1, 243-270 

  19. Miller. J.H. (1972) Experiments in molecular biology,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 p.352-355 

  20. Lee, Y.J., Ahn, M.S. and Hong, K.H. (1998) A study on the content of general compounds, amino acid,Vitamins, catechins, alkaloids in green, oolong and black tea. J. Food Hyg. Safety, 13, 377-382 

  21. Lee, S.H., Choi, K.S. and Choi, J. (2004)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of tea due to plucking season during cultivation in greenhouse. J. Korean Tea Soc.,10, 63-73 

  22. Kim, S.H., Han, D.S. and Park, J.D. (2004) Changes of some chemical compounds of Korean (Posong) green tea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Korean J. Food Sci.Technol., 36, 542-546 

  23. Jeon, J.R. and Park, G.S. (1999) Korena Green Tea by Ku Jeung Ku Po's I. Analysis of general compositions and chemical compositions. Korean J. Soc. Food Sci.,15, 91-101 

  24. Park, U.Y., Chang, D.S. and Cho, H.R. (1992)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21, 91-96 

  25. Wee, J.H. and Park, K.H. (1997) Retardation of kimchi fermentation and growth inhibition of related microorganism by tea catechins. Kor. J. Food Sci. Technol., 29. 1275-1280 

  26. Park, M.J., Jeon, Y.S. and Han, J.S. (2001)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stard leaf kimchi added green tea and pumpkin powder. J. Kor. Soc. Food Sci. Nutr., 30, 215-221 

  27. Jung, D.W., Nam, E.S. and Park, S.I. (2005)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growth of lactic culture. Korean J. Food Nutr. 18, 325-3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