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지습지의 보전가치 평가를 통한 관리권역 설정 -경상남도 재약산의 산들늪을 대상으로-
An Classification of Management Area using Assessment of Conservation Value on Forest Wetland - Focusing on Sandeul Wetland in Mt. Jaeyak, Gyeongsangnam-do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2 no.2, 2009년, pp.52 - 68  

이우성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유주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김경태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습지관리를 위해 산지습지인 산들늪을 대상으로 보전가치 평가를 통한 관리권역을 설정하였다. 평가항목은 문헌연구를 토대로 습지식생, 수문환경, 토양환경, 지형환경, 자연성, 위험성의 6개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평가자료는 국립지리원의 수지치도, 농촌진흥청의 정밀토양도,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하였으며, 3차에 걸친 현장조사를 통해 실질적인 평가자료를 구축하였다. 평가 체계 및 자료를 토대로 산들늪의 보전가치를 평가하고, 관리권역을 설정한 결과, 절대보전지역은 보전가치가 가장 높은 1등급 지역으로 1.9ha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보전지역은 5.7ha의 면적을 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완충지역은 절대보전지역과 보전지역을 둘러싸고 있으며, 면적은 33.7ha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전가치 4등급 지역인 전이지역은 151.2ha로 가장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복구지역은 생태위험지역으로 1.7ha의 면적으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은 평가체계 및 관리권역 설정은 합리적인 방법을 통해 정량적인 분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속적인 습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anagement area using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value on forest wetland, Sandeul wetland in Mt. Jaeyak, Miryang-si, Gyeongsangnam-do, Korea. The six assessment factors were selected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es and written evidences s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적인 습지관리를 위해 보전가치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체계적인 평가체계 및 관리권역 설정 기준을 토대로 보전가치 평가를 위한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전형적인 산지습지인 산들늪을 대상으로 GIS 기법을 이용해 실제적인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보전가치 등급에 따른 관리권역을 설정하고자 한다.
  • 그러나 습지를 평가하기 위해 많은 지표들을 활용할 경우 평가 과정이 복잡해지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습지의 보전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표 1에서와 같이 습지의 인식, 형성 및 유지, 평가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습지식생, 수문환경, 토양환경, 지형환경, 자연성, 위험성등 6개의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 현장 답사 시에는 Trimble사의 GeoXT GPS에 실내에서 작업한 shape파일 형태의 basemap을 탑재하여 현장에서 식생 및 습지비오톱을 확인하였으며, GPS의 추적기법(tracking)을 이용해 주요 식생 지역 및 습지 훼손 지역의 위치를 추적 및 스캐닝하였다. 또한, 습지비오톱에 대한 야장을 작성하여 습지식생 및 자연성, 위험성 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적인 습지관리를 위해 보전가치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체계적인 평가체계 및 관리권역 설정 기준을 토대로 보전가치 평가를 위한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전형적인 산지습지인 산들늪을 대상으로 GIS 기법을 이용해 실제적인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보전가치 등급에 따른 관리권역을 설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습지관리를 위해 대표적인 산지습지인 경상남도의 산들늪을 대상으로 보전가치 평가를 통해 습지의 관리권역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의 보전가치를 평가 시 선 평가와 후 평가로 구분하여 진행한 이유는 무엇인가? 보전가치 평가를 위한 체계 구축은 그림 3 에서와 같이 크게 선 평가와 후 평가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평가체계를 선, 후 과정으로 구분한 것은 습지식생이 출현하는 지역과 생태위험지역의 경우 그 지역을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출현 유무에 따라 평가가 완료되기 때문에 우선 평가의 개념을 적용하여 선 평가를 실시한 것이다.
습지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습지는 영구적 또는 계절적으로 습윤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별히 그 상태에 적응된 식생이 서식하고 있는 곳으로 정의된다(Cylinder et al., 1995).
습지의 가치 및 기능 평가에 주로 이용되는 RAM 기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습지관리를 위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통한 보전가치의 평가 및 관리권역의 설정에 관한 연구는 이루지지 않고 있으며, 더욱이 산지습지가 연구 대상이 되는 경우는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습지의 가치 및 기능 평가에 주로 이용되는 RAM 기법은 단일 습지 전체를 대상으로 기능적 측면에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밀기능이 아니라 간이 평가의 개념을 정성적인 방법으로 적용 되기 때문에 단일 습지 내 지역에 대한 보전 가치 평가는 불가능하며, 정밀기능에 대한 언급은 어렵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Thiesing, 2001; 양병호 등, 2005) 또한, 환경부, 국토해양부 등이 법적으로 습지보호지역을 지정하여 생태계 및 생물종을 보전ㆍ관리하고 있으나, 습지의 생태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명확한 관리권역의 공간적 범위가 설정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습지에 대한 효율적인 보전과 관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보호 및 관리지역의 경계설정을 위한 합리적인 기준과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윤양수 등,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곽승준, 유승동, 이충기. 2002.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우포늪의 보전가치 추정. 국제경제연구 8(3):203-225. 

  2. 구본학. 2001. 하천범람지에 형성된 습지의 기능 평가 연구: HGM 기법의 적용. 한국조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24-27쪽. 

  3. 구본학, 김귀곤. 2001a. 우리나라 습지 유형별 분류특성에 관한 연구: 내륙 습지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2):11-25. 

  4. 구본학, 김귀곤. 2001b. RAM(일반기능평가기법)을 이용한 내륙 습지 기능 평가. 한국환경복원 녹화기술학회지 4(3):38-48. 

  5. 구본학. 2002. 습지 유형 분류 및 도면화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1쪽. 

  6. 구본학. 2003. 묵논에 형성된 자운늪의 유형분류 및 기능 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1):65-70. 

  7. 김귀곤. 2003. 습지와 환경. 아카데미서적, 서울. 684쪽. 

  8. 김성봉. 2008. 습지와 환경자원. 월인, 서울. 370쪽. 

  9. 김현애. 2007. 습지생태계 평가를 통한 습지관리지역 설정 연구: DMZ 일원 안호저수지 유역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1쪽. 

  10. 박경훈, 김경태, 곽행구, 이우성. 2007. Topographic Position Index를 활용한 산지습지 분포예측.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194-204. 

  11. 안소은. 2007. 우리나라 습지의 환경적 가치: 메타회귀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16(1):65-100. 

  12. 양병호, 조운식, 구본학. 2005. 댐 저수지 내 습지 유형 및 기능평가 연구: 보령호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6):80-91. 

  13. 유주한, 박경훈, 정성관, 김경태, 이우성. 2009. 밀양시 재약산 산들늪의 식물상과 복원방안.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2(1):13-31. 

  14. 윤양수, 박용하, 최재용. 2000. 자연친화적 국토이용을 위한 자연환경보호구역 관리체계개선연구.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188쪽. 

  15. 이인성. 1998. 수치변환척도 및 단순화 방식 적용에 따른 계층분석과정(AHP)의 일관도 및 정확도의 분석. 국토계획 33(3):347-362. 

  16. 이효혜미. 2000. 한국의 습지 분류. 인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6쪽. 

  17. 주위홍, 구본학. 2004. 습지 유형 분류 체계별 습지 분류 특성: 두만강과 한강을 사례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6):152-161. 

  1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4. 생태자연도 활용에 있어 식생보전등급 적용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165쪽. 

  19. Adamus, P.R., E.J. Clairain, R.D. Smith and R.E. Young. 1987. Wetland Evaluation Technique(WET), Volume II: Methodology. U.S. Department of the Army,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Vicksburg, MS. NTIS No. ADA 189968. 

  20. Adamus, P.R., L.T. Stockwell, E.J. Clairain, M.E. Morrow, L.D. Rozas and R.D. Smith. 1991. Wetland Evaluation Technique(WET), Volume I; Literature Review and Evaluation Rationale. Technical Report WRP-DE-2, U.S. Department of the Army,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Vicksburg, Mississippi. 287pp. 

  21. Andersson, J.O. and L. Nyberg. 2008. Relations between topography, wetlands, vegetation cover and stream water chemistry in boreal headwater catchments in Sweden.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Discussions 5:1191-1226. 

  22. Beven, K.J. and M.J. Kirkby. 1979. A physically 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24:43-69. 

  23. Chen, Z.M., G.Q. Chen, B. Chen, J.B. Zhou, Z.F. Yang and Y. Zhou. 2009. Net ecosystem services value of wetland: Environmental economic account. Communications in Nonlinear Science and Numerical Simulation 14(6):2837-2843. 

  24. Cole, C.A., 2006, HGM and wetland functional assessment: Six degrees of separation from the data?. Ecological Indicators 6(3): 485-493. 

  25. Cowardin, L.M., V. Carter, F.C. Golet and E.T. LaRoe.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 State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Office of Biological Services, Washington, D.C. 131pp. 

  26. Cylinder, P.D., K.M. Bogdan, E.M. Davis and A.I. Herson. 1995. Wetlands Regulation: A Complete Guide to Federal and California Programs. Solano Press Books, Point Arena, CA. 363pp. 

  27. Environmental Laboratory. 1987. Corps of Engineers wetlands delineation manual. Technical Report Y-87-1, U.S. Army Engineer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Vicksburg, MS. NTIS No. AD A176 912. 

  28. Ghermandi, A., J.C.J.M. van den Bergh, L.M. Brander, H.L.F. de Groot and P.A.L.D. Nunes. 2008. The Economic Value Of Wetland Conservation and Creation: A Meta-Analysis. FEEM(Fondazione Eni Enrico Mattei) Working Paper Series. 20pp. 

  29. Gosselink, J.G., and L.C. Lee. 1989. Cumulative Impact Assessment in Bottomland Hardwood Forests. Wetlands 9:83-174. 

  30. Hammer, D.A. 1997. Creating freshwater wetlands(2nd ed.). CRC Press, Boca Raton. 406pp. 

  31. Kellett, B., T. Walshe and K.L. Bristow. 2005. Ecological Risk Assessment for the Wetlands of the Lower Burdekin. CSIRO Land and Water Technical Report 26/05. 30pp. 

  32. Kent, D.M. 1994. Applied Wetlands Science and Technology. Lewis Publisher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USA. 436pp. 

  33. Kusler, J. and T. Opheim. 1996. Our National Wetland Heritage: A Protection Guide(2nd ed.). Environmental Law Institute, Washington, DC, USA. 149pp. 

  34. Lemly, A.D. 1996. Risk assessment in the regulatory process for wetlands.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35:41-56. 

  35. Mitsch, W.J. and J.G. Gosselink. 1993. Wetlands(2nd ed.).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722pp. 

  36. Ramsar Convention. 1999. Resolution VII.10. Wetland Risk Assessment Framework. http://www.ramsar.org/key_guide_risk_e.htm. 

  37. Reed Jr., P.B. 1988. National List of Plant Species that Occur in Wetlands: 1988 National Summary.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Washington, DC, USA. Biol. Rep. 88(24), 99pp. 

  38. Rodhe, A. and J. Seibert. 1999. Wetland occurrence in relation to topography: A test of topographic indices as moisture indicator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98-99:325-340. 

  39. Saaty T.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New York. 287pp. 

  40. Shanmugam, P., Y.H. Ahn and S. Sanjeevi. 2006. A comparison of the classification of wetland characteristics by linear spectral mixture modelling and traditional hard classifiers on multispectral remotely sensed imagery in southern India. Ecological Modelling 194(4):379-394. 

  41. Thiesing MA 2001. An evaluation of wetland assessment techniques and their applications to decision making. In CM Finlayson, NC Davidson & NJ Stevenson (eds). Wetland inventory, assessment and monitoring: Practical techniques and identification of major issues. Proceedings of Workshop 4,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tlands and Development, Dakar, Senegal, 8.14 November 1998, Supervising Scientist Report 161, Supervising Scientist, Darwin, 87-96. 

  42. Tiner, R.W. 1999. Wetland Indicators: A Guide to Wetland Identification, Delineation, Classification, and Mapping. Lewis Publisher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392pp. 

  43. Weiss, A. 2001. Topographic position and landforms analysis. Poster presentation, ESRI User Conference, San Diego, CA. 

  44. Zhou, D., H. Gong, Z. Liu. 2008. Integrated ecological assessment of biophysical wetland habitat in water catchments: Linking hydro-ecological modelling with geo-information techniques. Ecological Modelling 214:411-4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