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HP를 이용한 산지습지 가능지역 평가
An Assessment of the Potential Area of Mountainous Wetland Using AHP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7 no.1, 2014년, pp.27 - 43  

문상균 (국립습지센터) ,  구본학 (상명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potential area of mountainous wetland by GIS an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ountainous wetland is topographically located at high altitude, so it's difficult to approach for researchers. And, it's difficult to investigate systematically because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방법으로 측정이 불가능한 정성적 요소인 산지습지 가능지역에 대한 평가인자의 상대적 중요도 산출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지습지 가능지역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인자별 가능지수를 산출하고, 향후 산지습지조사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산지습지에 대한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산지습지의 입지적 환경특성을 분석하여 산지습지의 가능지역을 추출하기 위한 평가인자를 도출하고자 한다. 도출된 평가인자에 기여도는 전문가마다 상당히 주관적으로, 지식·경험·직관적인 의견 및 자료를 가지고도 쌍대 비교(Pairwise Comparison Judgement)를 통해 전문적인 평가로 유도할 수 있는 Saaty(1977) AHP기법을 적용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지습지는 무엇인가? 산지습지는 산이라는 지형적 환경에서 발달한 습지를 총칭한다(Moon, 2005). 최근 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습지들이 조사되고 있지만 산지습지는 지형적으로 높은 고도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이 어렵고, 습지주변의 식생 밀도가 높아 연구자가 직접조사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Koo and Seo, 2007).
산지습지를 연구자가 직접조사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는 이유는 무엇인가? 산지습지는 산이라는 지형적 환경에서 발달한 습지를 총칭한다(Moon, 2005). 최근 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습지들이 조사되고 있지만 산지습지는 지형적으로 높은 고도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이 어렵고, 습지주변의 식생 밀도가 높아 연구자가 직접조사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Koo and Seo, 2007). 이러한 이유로 국내 내륙습지의 분포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실시한 전국내륙습지조사의 결과를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하천습지 위주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산지습지 가능 지역에 대한 평가에서 Saaty(1977) AHP기법으로 산출 가능한 것은? 도출된 평가인자에 기여도는 전문가마다 상당히 주관적으로, 지식·경험·직관적인 의견 및 자료를 가지고도 쌍대 비교(Pairwise Comparison Judgement)를 통해 전문적인 평가로 유도할 수 있는 Saaty(1977) AHP기법을 적용해 보았다. 이 방법으로 측정이 불가능한 정성적 요소인 산지습지 가능지역에 대한 평가인자의 상대적 중요도 산출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지습지 가능지역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인자별 가능지수를 산출하고, 향후 산지습지조사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nderson, C. J.?Kettlewell, C. I. and Mitsch, W. J. (2004). Soil development of two wetland creation areas at the Olentangy River Wetland Research Park in Columbus, Ohio, Annual report (Olentangy River Wetland Research Park), pp. 51-56. 

  2. Beven, K. J. and Kirkby, M. J. 1979. A physically 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24: 43-69. 

  3. Bruland, G. L. and Richardson, C. J. (2004). comparison of Soil Organic Matter in Created, Restored and Paired Natural Wetlands in North Carolina, Wetlands Ecology and Management, Vol. 14, pp. 245-251. 

  4. Jang, Y. G. and Kim, S. S. 2006, A Prediction and Distribution of Wetland Based on an E-GI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011-1017. 

  5. KFS(Korea Forest Service), 2011. Guideline of Conservation Mountains locality specified, change, configuration, and procedure of the release. 

  6. Koo, B. H. 200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Mapping Method of Wetlands in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Koo, B. H. 2009. Wetland Ecology. Ela. Korea. 

  8. Koo, J. Y. and Seo, J. C. 2007. The Study on the Extraction of the Potential Mountainous Wetland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Satellite Image. 14(1): 53-65. 

  9. Korean Soil Information Syste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ttp://soil.rda.go.kr/soil/community/application.jsp (last date accessed: 14 May. 2013) 

  10. Mahler. 2012. LiDAR Based Delineation of Depressional Wetlands. Trends in Soil Science and Plant Nutrition. Vol 3(1), 8-12. 

  11. O'Hara, C. G. 2002. Remote Sensing and Geospatial Application for Wetland Mapping, Assessment, and Mitigation. In Proceeding of ISPRS Commission 1 Mid Term Symposium. Integrated Remote Sensing at the Global, Regional and Local scale. 10-15 November 2002. Denver, USA. 

  12. Park, K. H.?Kim, K. T.?Gwak, H. G. and Lee, W. S. 2007. A Prediction of Forest Wetlands Distribution using Topographic Position Index.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 194-204. 

  13. Saaty, T. L. 1997. 'This is Not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hat the AHP Is and What It Is Not'. Journal of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6: 324-335. 

  14. Song, H.?Park, G.?Park, H.?So, S.?Kim, H. and Kim, M. (2006),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a Forest Wetland in Jangdo, Sinan-Gu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Vol.20 No.4, pp. 407-4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