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기법 및 발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Preparation of Landslide Hazard Map Using the Analysis of Historical Data and GIS Method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2 no.4, 2009년, pp.59 - 73  

윤홍식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이동하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  서용철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사태 발생이력 자료을 기반으로 GIS 기법을 적용하여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도로공사에서 조사한 3년 동안의 총 596개 산사태 발생이력 자료와 산사태 발생요인 정보(기상정보, 지형정보, 토질정보)를 기초로 산사태 발생과 발생요인 간의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여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그 후 산출된 상관관계 토대로 총 6개의 래스터 래이어에 대한 가중치 및 위험도 인덱스를 도출하고, 최종적으로는 가중치를 적용한 래스터 계산기법을 통해 산사태 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적용 결과 산사태 위험도 산출을 위해 GIS 기법을 적용할 경우,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다양한 발생요인의 통합과 분석을 보다 손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GIS-based landslide hazard analysis by employing historical landslide data in Korea, coupling with geomorphological, geological, climatic and rainfall data. Based on 596 landslide data from 2001 to 2003, the correlations between landslide occurrence and various facto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에 의한 상관관계 도출 시 지점별 관측오차로 인한 비정상적인 효과(abnormal effect)를 제거하기 위하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월별 평균강수량 및 평균기온 자료를 추가로 획득하였으며, 이를 통해 월별 평균강수량 및 평균기온에 따른 산사태 발생빈도를 분석하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사태 발생 이력을 기반으로 GIS 기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지역에 대한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도로공사에서 조사한 고속도로 주변의 총 3년 동안의 산사태 발생이력 자료와 관련 발생요인 정보(기상정보, 지형정보, 토질정보)를 기초로 산사태 발생 및 피해 분포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 산사태가 발생한 지점의 토질 역시 산사태의 발생에 있어 밀접한 발생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발생과 발생지점의 토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국에 대하여 제작된 1:25,000 정밀토양도를 산사태 발생지점과 중첩하여 산사태 발생지점 별 토질을 속성자료로서 획득하였다.
  • 사면의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표고, 경사각, 경사방향 정보를 기존에 산사태가 발생한 지점의 정확한 위치에 입력한다면, 사면의 기하학적 구조에 관련된 요인이 실제의 산사태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발생과 사면의 기하학적 구조 간의 상관관계만을 분석하기 위하여 산사태 발생유형은 고려하지 않았으며, 산사태 발생수의 총량만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국내 산사태 발생자료를 기반으로 GIS 기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한국도로공사에서 조사한 고속도로 주변의 총 3년 동안의 산사태 발생이력 자료를 기초로 산사태 발생과 관련된 다양한 발생요인(기상정보, 지형정보, 토질정보)을 속성자료로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 본 연구의 최종적인 목적은 산사태 위험을 효율적으로 방재하기 위한 산사태 위험지도를 작성하는데 있다. 이러한 산사태 위험지도(hazard map)를 작성하는 가장 쉬운 방법 중의 하나는 단순히 기존의 산사태 발생자료만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사태의 발생 자체를 억제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산사태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무엇인가? 실제로 산사태의 경우 상기의 사례들과 같이 태풍, 지진 등과 같은 강력한 기상 및 지구 물리적 현상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만큼 대규모로 광범위하게 발생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산사태의 발생 자체를 억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Chau 등, 2004). 따라서 산사태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방재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급경사지 주변에 마을이나 도시를 위치시키지 않는 것이지만, 이는 인구의 급격한 증가 및 도시 재건축에 따르는 막대한 비용 등의 이유로 인하여 실현이 불가능하다(Chau 등, 2004). 따라서 최근 들어 좀 더 지역적이고 국소적인 산사태 위험도 분석 및 관리가 도시 계획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으로 대두되고 있다.
산사태 중 1920년에 지진에 의해 발생한 중국 감숙성의 황토류는 몇 명의 인명피해를 유발하였는가? 산사태는 낙석, 암석슬라이드, 토석류, 지면 슬립(soil slip), 암석사태, 이류(mudflow)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며, 이러한 산사태 중 일부는 1920년 지진에 의해 발생하여 200,000명의 인명피해를 유발한 중국 감숙성의 황토류(loess flow)와 같이 대규모의 참사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보다 최근인 1962년에는 페루의 네바도스 산에서 지진에 의한 산사태가 발생하여 4,000여명의 막대한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하였다(Hansen, 1984).
산사태는 어떤 현태로 발생하는가? 산사태는 낙석, 암석슬라이드, 토석류, 지면 슬립(soil slip), 암석사태, 이류(mudflow)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며, 이러한 산사태 중 일부는 1920년 지진에 의해 발생하여 200,000명의 인명피해를 유발한 중국 감숙성의 황토류(loess flow)와 같이 대규모의 참사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보다 최근인 1962년에는 페루의 네바도스 산에서 지진에 의한 산사태가 발생하여 4,000여명의 막대한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하였다(Hansen, 198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국립방재연구소. 2003.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사면붕괴 재해연구. 

  2. 소방방재청. 2006. 2006년 재해연보. 

  3. 이진덕, 연상호, 김성길, 이호찬. 2002. 산사태의 발생가능지 예측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1): 38-47. 

  4. 조남춘, 최철웅, 이창우. 2006. RS와 GIS를 이용한 산사태 탐지 및 특성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46-249쪽. 

  5. 조명희, 조윤원. 2009. 기상과 지형자료를 통합한 산사태 위험지 예측 기법 개발 :울진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2): 1-10. 

  6.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2004. GIS를 이용한 홍수 시 고속도로 사면붕괴 특성평가 연구.138쪽. 

  7. Anbalagan, R., L. Sharma and S. Tyagi. 1993. Landslide hazard zonation (LHZ) mapping of a part of Doon valley, Garhwal Himalaya, India. In: Chowdhury, R.N., Sivakumar, M. (Eds.), Environmental Management Geo-water and Engineering Aspects, Balkema, Rotterdam, pp.253-260. 

  8. Burrough, P.A. and R.A. McDonnell. 1998. Principle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33pp. 

  9. Cardinali, M., P. Reichenbach, F. Guzzetti, F. Ardizzone, G. Antonini, M. Galli, M. Cacciano, M. Castellani and P. Salvati. 2002. A geomorphological approach to the estimation of landslide hazards and risks in Umbria, Central Italy.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2(1):57-72. 

  10. Carrara, A., F. Guzzetti, M. Cardinali and P. Reichenbach. 1999. Use of GIS technology in the prediction and monitoring of landslide hazard. Natural Hazards 20(2-3):117-135. 

  11. Chau, K.T., R.H.C. Wong, J. Lui and C.F. Lee. 2003. Rockfall hazard analysis for Hong Kong based on rockfall inventory. Rock Mechanics and Rock Engineering 36(5):383-408. 

  12. Chau, K.T., Y.L. Sze, M.K. Fung, W.Y. Wong. E.L. Fong and L.C.P. Chan. 2004. Landslide hazard analysis for Hong Kong using landslide inventory and GIS. Computer & Geosciences 30(4):429-443. 

  13. Dhakal, A.S., T. Amada and M. Aniya. 2000. Landslide hazard mapping and its evaluation using GIS: an investigation of sampling schemes for a grid-cell based quantitative method. Photogrammetric Engineering Remote Sensing 66(8):981-989. 

  14. Evans, N.C., S.W. Huang and J.P. King. 1999. The natural terrain landslide study phases I and II. GEO Report No. 73, GEO, CED, Hong Kong SAR Government. 

  15. Hansen, A. 1984. Landslide hazard analysis. In: Brunsden, D., Prior, D.B. (Eds.), Slope Instability. Wiley, New York, pp.523-602. 

  16. Kienholz, H. 1978. Maps of geomorphology and natural hazards of Grindelwald, Switzerland: scale 1:10,000. Arctic and Alpine Research 10(2):169-184. 

  17. PIARC World Road Association 1997. Landslides-techniques for evaluating hazard. PIARC Technical Committee on Earthworks, Drainage, Subgrade (C12), pp.1-17. 

  18. Van Westen, C.J., Seijmonsbergen, A.C. and Mantovani, F. 1999. Comparing landslide hazard maps. Natural Hazards 20(2):137-1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