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추출
Extraction of Landslide Risk Area using GI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6 no.1, 2008년, pp.27 - 39  

박재국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양인태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형근 ((주)지오맥스 해양사업본부) ,  김태환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사태로 인한 피해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과 인명피해를 초래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국토의 대부분이 산악지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경사가 심하며, 산업 및 도시의 발달로 인해 도로개설 및 대규모 주택단지가 개발되어 산사태로 인한 피해 규모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또한 여름철 국지성 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인해 산사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재산 및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산사태 발생지를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지금까지의 산사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원인 규명과 연구지역을 중심으로 강우조건을 고려하지 않은 산사태 취약성 분석이 대부분이었다. 이로 인해 산사태로 인한 인간생활의 직접적인 위험성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 생활과 밀접한 농경지, 도로, 인공구조물 등의 직접적인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GIS를 이용하여 산사태 위험지역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우조건을 고려한 산사태 가능성도를 제작하고, 위성영상과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토지이용도를 작성하였으며, 두 자료를 이용하여 위험지역을 추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slides cause enormous economic losses and casualties. Korea has mountainous regions and heavy slopes in most parts of the land and has consistently built new roads and large-scale housing complexes according to its industrial and urban growth. As a result, the damage from landslides becomes grea...

주제어

참고문헌 (34)

  1. 강병무 (1971), Landslide 조사연구의 접근방법, 지질광산, 14권, pp. 79-93 

  2. 마상규 (1979), 산사태 발생지와 피해위험지의 환경학적 해석과 방지대책-평창지구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한국임학회 45호, pp. 11-25 

  3. 박용원 (1993), 1991년 용인-안성 지역 산사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지, 한국지반공학회, 제9권, pp. 103-116 

  4. 박하나 (1997), GIS를 이용한 扶餘서부지역의 山沙汰연구, 석사학위논문,공주대학교 

  5. 박하나 (1997), GIS를 이용한 扶餘서부지역의 山沙汰연구, 석사학위논문,공주대학교 

  6. 소방방재청 (2005), 사면붕괴 감지 및 관측에 관한 연구(II), - 강우량 자료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 pp. 1-6 

  7. 신영수 (1999), 산사태 발생 추정 요소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8. 신은선 (1996),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보령.서천지역의 산사태 분석,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9. 신은선 (1996),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보령.서천지역의 산사태 분석, 석사학위논문,충 남대학교 

  10. 심홍근 (1997), 우리나라의 산사태발생 현황과 특성,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11. 양인태, 천기선, 박재국, 이상윤 (2007), GIS를 이용한 강우조건에 따른 산사태 취약지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5권, 제1호, pp. 39-46 

  12. 양인태, 천기선, 박재훈 (2006), GIS와 AHP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지 결정 및 유발인자의 영향,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4권, 제1호, pp. 3-12 

  13. 용계숙 (1999),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한 공주 복부지역의 지형 및 산사태 분석 연구,석 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14. 우보명 (1972), 산지의 Mass Soil Movement 현상의 몇가지 특성, 한국임학회지, 한국임학회, 15호, pp. 49-60 

  15. 이사로 (1999),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기법 개발 및 적용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6. 이상희 (2005), GIS를 이용한 천층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수문물리모형의 적용,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17. 이성근 (2000), 집중호우시 산사태 원인분석에 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18. 이영남 (1991), 산사태, 한국지반공학회지,한국지반공학회, 제7권 제1호, pp. 104-105 

  19. 천기선 (2005), GIS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지 결정 기법, 박사학위논문,강원대학교 

  20. 최경 (1986), 한국의산사태 발생요인과 예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21. 최광식 (1999), GSIS와 AHP법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 예측 평가 방법,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22. 표성일 (2005), 원격탐사 자료와 GIS 기법을 이용한 강원도 삼척시 일대의 산사태 위험 예측도 작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3. Baker, R. F., and Chieruzzi, R. (1959), 'Regional Concept of Landslide Occurrence', Bulletin No. 216, Highway Research Board, pp. 1-16 

  24. Baldelli, P., P. Aleotti, G. Polloni (1996), Landslide susceptibility numerical at the Messina Straits crossing site, Italy,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landslides, pp. 153-158 

  25. Cleveland, G. B. (1971), Regional Landslide Prediction, Open File Release 72-73, California Division of Mines and Geology, Sacramento, California 

  26. Dietrich, W. E. and Montgomery, D. R. (1998), A digital terrain model for mapping shallow landslide potential, NCASI 

  27. Evans, J. R., and Gray, C. H. (1971), Analysis of Mudslide Risk in Southern Ventura Country, California, Open File Release 72-73, California Division of Mines and Geology 

  28. Klock, G. O. (1985), An Approach to Modeling the Cumulative Effects of Forest Practices n Downstream Aquatic Ecosystem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 40(2), pp. 237-241 

  29. Nilsen, T. H., and Brabb, E. E. (1973), Current Slope-Stability Studies in the Sand Francisco Bay Region, Journal of Research, USGS, V. 1(4), pp. 431-437 

  30. Olivier, m. Bell, F. G. and Jemy, C. A. (1994), The Effect of rainfall on slope failure, with examples from the Greater Durban area, Proceedings 7th international Cong. IAEG, Vol. 3. pp. 1629-1636 

  31. Pack, R. T., D. G. Tarboton, C. N. Goodwin (1998), The SINMAP Approach to Terrain Stability Mapping, 8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ty,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8pp 

  32. Shaw, S. C., D. H. Johnson (1995), Slope morphology model derived from digital elevation data, 1995 Northwest ARC/INFO Users Conference, Cour d'Alene, Idaho, October 23-25 

  33. Tubbs, D. W. (1974), Landslides in Seattle, State of Washington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Information Circular 52 

  34. Turrini, C. M. and P. Visintainer (1998), Proposal of a method to define areas of landslide hazard and application to an area of the Dolomites, Italy, Engineering Geology, Vol. 50, No. 3, pp. 255-2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