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김치 분리 젖산균에 의한 아질산염 소거
Depletion of Nitrite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ommercial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7, 2009년, pp.892 - 901  

고정림 (제주바이오기업협회) ,  오창경 (제주산업정보대학 관광호텔조리과) ,  오명철 (제주산업정보대학 관광호텔조리과) ,  김수현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판 배추김치, 총각김치, 깍두기 및 파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15^{\circ}C$$25^{\circ}C$의 온도에서 배양하였을 때 아질산염의 소거 효능을 확인하였다. $15^{\circ}C$에서, 시판김치에서 분리된 젖산균은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와 L. paramesenteroides를 제외하고는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특히 L. mesenteroides subsp dextrinicum과 L. lactis는 아질산염에 적응하는 기간을 필요로 함이 없이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L. sake, L. plantarum, L. casei subsp. pseudoplantarum 및 L. coryniformis subsp. torquens는 하루 정도 아질산염에 적응하는 기간을 거친 이후에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하루가 경과된 이후에 비교적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그러나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다른 균종에 비하여 매우 낮은 아질산염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25^{\circ}C$에서, 시판김치에서 분리된 모든 젖산균은 아질산염에 적응하는 기간을 필요로 하지 않았으며, L. paramesenteroides를 제외하고는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하였다. 또한 시판김치로부터 분리된 젖산균은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와 L. paramesenteroides를 제외하고는 1일 이후에,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2일 이후에 90% 이상의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그러나 L. paramesenteroides는 $25^{\circ}C$에서도 활성적이지 못하여 다른 균종에 비하여 아질산염의 소거 능력이 매우 낮았다. 한편, 다른 김치 기원의 동일 균종의 Lactobacilli와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및 L. paramesenteroides를 제외한 Leuconostocs는 $15^{\circ}C$에서는 물론 $25^{\circ}C$에서 매우 활성적으로 아질산염을 소거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firmed depletion efficiency of nitrite when incubate lactic acid bacteria was isolated from commercial Chinese cabbage pickles (Baechu kimchi), pickled ponytail radishes (Chongkak kimchi), radish cube kimchi (Kaktugi) and pickled Wakegi (Pa kimchi) at temperatures of $15^{\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발효식품인 시판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을 15℃와 25℃에서 배양하면서 아질산염이 소거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김치의 발효에 관여하는 젖산균들의 기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시판 배추김치, 총각김치, 깍두기 및 파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을 15℃와 25℃의 온도에서 배양하였을 때 아질산염의 소거 효능을 확인하였다. 15℃에서, 시판김치에서 분리된 젖산균은 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산염과 아질산염이 각종 중독을 일으키는 과정은? 질산염과 아질산염은 식품 자체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15), 육제품이나 수산가공식품 등의 발색제로 첨가되어 육제품의 발색 및 육색의 안정화에 기여하고(16), 풍미 향상(17), 산패취 발생 감소(18), 지방의 산패 방지(19), Clostridium botulinum에 대한 정균 작용을 하며(20,21), 육의 보수성과 결착성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2). 이들 질산염은 소화기관 내에서나 식품의 저장 중에 질산환원효소나 질산염 환원세균에 의하여 아질산염으로 환원되며, 아질산염은 2급 및 3급 amine류와 반응하여 nitrosamine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3,24), 일정 농도 이상 섭취하게 되면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을 산화시켜 청색증(methemoglobinemia), 빈혈성저산소증 등의 각종 중독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젖산균의 생리활성 기능은? 젖산균은 혈청콜레스테롤의 감소(1), 유해균에 대한 항균성(2,3), 세균 세포벽 성분의 항종양 활성(4), 항돌연변이 효과(5,6), 항암 특성(7,8), 항산화효과(9) 등이 알려져 있다. 장내 세균의 효소 중 발암 전구물질로부터 발암물질로의 전환을 촉진시키는 β-glucuronidase, nitroreductase, azoreductase 등에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경구적으로 섭취하면 이들 효소의 활성이 저하된다는 보고가 있으며(10,11), 발효유에서 분리한 Leuconostoc속 및 Streptococcus 속 젖산균들이 돌연변이물질인 N-nitrosodiethylamine(NDEA)에 대하여 강한 항돌연변이 활성을 가지고 있다(12).
질산염과 아질산염이란? 질산염과 아질산염은 식품 자체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15), 육제품이나 수산가공식품 등의 발색제로 첨가되어 육제품의 발색 및 육색의 안정화에 기여하고(16), 풍미 향상(17), 산패취 발생 감소(18), 지방의 산패 방지(19), Clostridium botulinum에 대한 정균 작용을 하며(20,21), 육의 보수성과 결착성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2). 이들 질산염은 소화기관 내에서나 식품의 저장 중에 질산환원효소나 질산염 환원세균에 의하여 아질산염으로 환원되며, 아질산염은 2급 및 3급 amine류와 반응하여 nitrosamine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3,24), 일정 농도 이상 섭취하게 되면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을 산화시켜 청색증(methemoglobinemia), 빈혈성저산소증 등의 각종 중독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Gilliland SE. 1989. Acidophilus milk products: a review of potential benefits to consumer. J Dairy Sci 72: 2483-2489 

  2. Lee SH, Park NY. 2000. Nitrite deple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8: 39-44 

  3. Ahn DK, Han TW, Shin HY, Jin IN, Ghim SY. 2003. Divers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 191-196 

  4. Sasaki S, Kodama K, Uchida K, Yoshino H. 1985. Antitumor activity of Aspergillus cell walls. Agric Biol Chem 49: 1219-1221 

  5. Son TJ, Kim SH, Park KY. 1998. Antimutagenic activities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J Kor Ass Cancer Prevention 3: 65-74 

  6. Thyagaraja N, Hosono A. 1992. Antimutagenicity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ldly" against food-related mutagens. J Food Prot 56: 1061-1066 

  7. Friend BA, Shahani M. 1984. Antitumor properties of lactobacilli and dairy products fermented by lactobacilli. J Food Prot 47: 717-723 

  8. Rhee CH, Park HD. 2000. Culture condition on the antimutagen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KLAB21 isolated from kimchi against N-methyl-N-nitrosoguanidine and 4-nitroquinoline-1-oxid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417-423 

  9. Kim HS, Ham JS. 2003. Antioxidative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Kor J Food Sci Animal Resour 23: 186-192 

  10. Goldin BR, Gorbach SL. 1984. The effect of milk and Lactobacillus feeding on human intestinal bacterial enzyme activity. Am J Clin Nutr 39: 756-761 

  11. Lee KE, Choi UH, Ji GE. 1996. Effect of kimchi intake on the composition of human large intestinal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981-986 

  12. Hosono A, Wardojo R, Otani H. 1990. Inhibitory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fermented milk on the mutagenicities of volatile nitrosamines. Agric Biol Chem 54: 1639-1643 

  13. Hosono A, Wardojo R, Otani H. 1989. Microbial flora in 'Dadih', a traditional fermented milk in Indonesia. Lebenson Wiss Technol 22: 20-24 

  14. Hosono A, Wardojo R, Otani H. 1990. Binding of amino acid pyrolyzates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Dadih'. Lebensmittel-Wissenschaft und Technologies 23: 149-153 

  15. Chung SY, Kim NK, Yoon S. 1999.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methanol fraction obtained from green yellow vegetable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42-347 

  16. Fox JR. 1966. Chemistry of meat pigments. J Agric Food Chem 14: 207-210 

  17. MacDoulla DB, Mottrm DS, Rhodes DN. 1975. Contribution of and nitrite to the color and flavor of cured meat. J Sci Food Agric 26: 1743-1754 

  18. Duncan C, Foster EM. 1968. Effect of sodium nitrite and sodium chloride on germination and outgrowth of anaerobic spores. Appl Microbiol 16: 406-409 

  19. Eakes BD, Blmer TN, Monroe RJ. 1975. Effect of nitrate and nitrite on color and flavor of country-style hams. J Food Sci 40: 973-976 

  20. Johnston MA, Pivnicl H, Samson JM. 1969. Inhibition of Clostridium botulimun by sodium nitrite in a bacteriological medium and in meat. J Can Inst Food Technol 2: 52-55 

  21. Christiansen LN, Tompkin PB, Shaparis AB, Kueper TV, Johnston RW, Kautter DA, Kolari OJ. 1974. Effect of sodium nitrite on toxin production by Clostridium botulimun in bacon. Appl Microbiol 27: 733-737 

  22. Gray JI, Macdonald B, Pearson AM, Morton ID. 1981. Role of nitrite in cured meat flavor: a review. J Food Prot 44: 302-312 

  23. Mirvish SS. 1970. Kinetics of dimethylamine nitrosation in reaction to nitrosamine carcinogenesis. J Natl Cancer Inst 44: 633-639 

  24. Macrae R, Robinson RK, Sadler MJ. 1993. Encyclopedia of food science food technology and nutrition.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p 3240-3249 

  25. Alan F, Keenan P, Donovan FO, Mayne P, Murphy J. 1998. Methaemoglobinaemia associated with sodium nitrite in three siblings. BMJ 317: 1138-1139 

  26. Nordin HR. 1969. The depletion of added sodium nitrite in ham. Can Inst Food Sci Technol J 2: 79-85 

  27. Dodds KL, Collins-Thompson DL. 1984. Incidence of nitrite- depleting lactic acid bacteria in cured meats and in meat starter cultures. J Food Prot 47: 7-10 

  28. Oh CK, Oh MY, Kim SH. 2004. The depletion of sodium nitrite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J Med Food 7: 38-44 

  29. Lee SK, Ji KE. 1996. Antimutagenic effects of bifido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796-799 

  30. Park KY, Cheigh HS. 2000.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Bioindustry News 13: 11-17 

  31. Ko JL, Oh MY, Oh CK, Kim SH. 2009. Iso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commercial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32-741 

  32. Ito Y, Yodoshi M, Tanaka JI, Iwaida M. 1979. Comparison of two methods and improvements for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nitrite in cod roe. J Food Prot 42: 715-718 

  33. Collins-Thompson DL, Rodriguez-Lopez G. 1981. Depletion of sodium nitrite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vacuum- packed bologna. J Food Prot 44: 593-5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