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ABA 생성능 우수 김치 젖산균 Lactobacillus sp. OPK2-59의 간 기능 개선 효과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p. OPK2-59 with High GABA Producing Capacity on Liver Function Improve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1, 2009년, pp.1499 - 1505  

배미옥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혜진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차연수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기 (한국식품연구원) ,  오석흥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GABA 생성능이 우수한 젖산균을 이용하여 알코올 투여 흰쥐의 간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 및 식이섭취량, 혈청 및 간 지질농도, 간 질환과 관련된 혈청 및 간 효소 활성, 혈중 에탄올 농도, 항산화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 및 식이섭취량은 각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각 기관 무게도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정상식이 섭취 군에 비해 알코올 투여 군에서 체중과 식이섭취량이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코올 섭취로 인해 높아진 혈중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은 젖산균 GABA 파우더투여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정상식이 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낮아졌다. 또한 HDL-cholesterol은 군 간의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알코올투여 군에 비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간의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중성지질 농도는 실험군 간의 현저한 차이를 보이며 알코올 투여 군에 비해 젖산균 GABA 파우더 투여 군에서 정상식이 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낮아졌다. 혈중 효소활성 GOT, GPT는 알코올투여 군에 비해 젖산균 GABA 파우더투여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정상수준으로 낮아졌으며, 간 GOT는 젖산균 GABA 파우더투여로 인해 현저한 차이를 보이며 알코올투여 군에 비해 낮아졌다. GPT는 각 그룹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알코올 농도를 시간별(0분, 30분, 60분, 120분, 240분, 360분)로 측정한 결과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젖산균 파우더투여 군에서 알코올 대사를 촉진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그룹간의 간 조직 중 SOD 활성은 알코올투여 군에 비해 젖산균 파우더투여 군과 젖산균 GABA 파우더 투여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SOD 수준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을 통해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 OPK2-59 GABA 파우더가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간의 중성지질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고, 혈중 GOT, GPT, 간 GOT 효소활성 감소, 알코올대사 촉진, 항산화 효소활성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김치유래의 젖산균 OPK2-59 GABA 파우더가 알코올투여 흰쥐의 지방대사 및 간 기능을 개선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향후 이러한 효능에 대한 심도 있는 기작연구와 더불어 다른 효능에 대한 연구가 기대된다. 또한 본 젖산균을 김치발효용 스타터로 활용하여 기능성식품을 개발하게 된다면 우수한 전통생물자원을 이용하여 국민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mproved liver function in rats administered with ethanol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with high GABA producing capacity.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diet control (NC), ethanol control (EC), ethanol+Lactobacillus sp. OPK2-59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김치에서 분리한 GABA 생성 젖산균의 효능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GABA 생성능이 우수한 젖산균 Lactobacillus sp.
  •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GABA 생성능이 우수한 젖산균을 이용하여 알코올 투여 흰쥐의 간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 및 식이섭취량, 혈청 및 간 지질농도, 간 질환과 관련된 혈청 및 간 효소 활성, 혈중 에탄올 농도, 항산화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를 위해 제조된 젖산균 배양액의 간 기능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동물을 이용한 효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실험동물은 생후 4주된 수컷 Sprague-Dawley (SD)^ 흰쥐를 (주)오리엔트(Seoul, Korea)에서 구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Oh S.H, Cha Y.S, Choi D.S. 1999. Effects Angelica gigas Nakai diet on lipid metabolism, alcohol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of rats administered with chromic ethanol.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29-33 

  2. Shon H.S, Jung B.M, Cha Y.S. 2001. Effects of Ixeris sonchifolia H. diet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of rats administered with ethanol. Korean J Nutr 34: 493-498 

  3. French K.T. 1989. Biochemical basis for alcohol-induced liver injury. Clin Biochem 22: 41-49 

  4. Oh S.H. 2007. Effects and applications of germinated brown rice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Food Sci Indus 40: 41-46 

  5. Kang T.J, Oh S.H. 2007. GABA production and use. BRIC BioWave 9: 1-18 

  6. Kim J.H, Kwon M.J, Lee S.Y, Ryu J.D, Moon G.S, Cheigh H.S, Song Y.O. 2002. The effect of Kimchi intake on production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he liver of s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09-116 

  7. Park K.Y. 2000. Nutrition, function and anticancer effect of Kimcni. Sci Technol Kimchi 6: 124-131 

  8. Choi H.S. 2005. Physiological components and health function of Kimchi. Food Preserv Proces Indus 4: 2-10 

  9. Han H.L. 1991. The ecology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Microbiol 7: 68-75 

  10. Cho Y.R, Chang J.Y, Chang H.C. 2007. Production of ${\gamma}-Aminobutyric$ - aminobutyric acid (GABA) by Lactobacillus buchneri isolated from Kimchi and its neuroprotective effect on neuronal cells. J Microbiol Biotechnol 17: 104-109 

  11. Park K.B, Oh S.H. 2007. Cloning, sequencing and expression of a novel glutamate decarboxlase gene from a newly isolated lactic acid bacterium, Lactobacillus brevis OPK-3. Bioresource Technol 98: 312-319 

  12. Seok J.H, Park K.B, Kim Y.H, Bae M.O, Lee M.K, Oh S.H. 2008.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imchi with enhanced levels of γ-aminobutyric acid. Food Sci Biotechnol 17: 940-946 

  13. Folch J, Lees M, Sloane 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14. Bernt E, Gutmann I. 1974. Ethanol determination with alcohol dehydrogenase and NAD. In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Bergmeyer HV, ed. Chemic Int., Deerfield Beach, FL, USA. Vol 3, p 1499-1502 

  15. Ayako O.M, Irwin F. 2001. Subcellular distribution of superoxide dismutases (SOD) in rat liver. J Biol Chem 276: 38388-38393 

  16. Cha Y.S, Oh S.H. 2000. Investigation of ${\gamma}-Aminobutyric$ -aminobutyric acid in Chinese cabbages and effects of the cabbage diets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of rats administered with ethanol. J Korean Soc Food Sci Nut 29: 500-505 

  17. Mezey E. 1980. Alcoholics liver disease: roles of alcohol and malnutrition. Am J Clin Nutr 33: 2709-2718 

  18. Scheig R. 1970. Effects of ethanol on the liver. Am J Clin Nut 23: 467-473 

  19. Lieber C.S. 1994. Alcohol and the liver. Gastro 106: 1085- 1180 

  20. Pikaar N.A, Wdedl M, Vander Beek E.J, Van Dokkum W, Kempen H.J, Kluft C, Ockhuixen T, Hermus R.J. 1987. Effects of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on platelet aggregation fibrinolysis and blood lipids. Metabolism 36: 538-548 

  21. Soh J.R, Yamamoto T.T, Cha Y.S. 2003. The effects of carnitine and/or gamma-aminobutyric acid (GABA) supplementation on the recovery of chronic ethanol administered rats. J Food Sci Nutr 8: 119-123 

  22. Oh S.H, Soh J.R, Cha Y.S. 2003.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shows a nutraceutical effect in the recovery of chronic alcohol-related symptoms. J Med Food 6: 115-121 

  23. Cha Y.S. 1993. Cellular and enzymatic basis for carnitine-mediated atenuation of ethanol metabolism.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USA 

  24. Nakamura T, Matsubaysahi T, Kamachi K, Hasegawa T, Ando Y, Omori M. 2000. γ-Aminobutyric (GABA)-rich chlorella depresses the elevation of blood pressur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Nippon Nogeikagaku Kaishiin Japanese 74: 907-909 

  25. Krogsgaard Larsen P. 1989. GABA receptors. In Receptor phamacology function. Williams M, Glennon R.A, Timmermans PMWM, eds. Marcel Dekker, Inc., New York, USA. p 349-383 

  26. Lieber C.S. 1991. Hepatic, metabolic and toxic effects of ethanol. Alcohol Clin Exp Res 15: 573-592 

  27. Goh K.H. 1998. Alcohol commonsense encyclopedia. Korea Alcohol Liquor Indus Assoc. p 1-288 

  28. Ames B.N, Shigeaga M.K, Hagen T.M. 1993. 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90: 7915-7922 

  29. Bergsten P, Amitai G, Kehrl J, Levine M. 1990. Ascorbic acid content of humal B and T lymphocytes and monocytes. Ann NYA cad Sci 587: 275-277 

  30. Epe B. 1991. Genotoxocity of singlet oxygen. Chem Biol Interact 80: 239-260 

  31. Fanton J.C, Ward P.A. 1982. Role of oxygen-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s-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s. Nm J Pathol 107: 397-418 

  32. Pryor W.A, Stone K. 1993. Oxidants in cigarette smoke: radicals, hydrogen peroxide, peroxynitrate, and peroxynitrite. Ann NYA Cad Sci 686: 12-18 

  33. Park K.Y, Cheigh H.S. 2000.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Bioindustry News 13: 11-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