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노인 환자의 낙상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Related to Fall in Elderly Patients with Osteoporosi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2, 2009년, pp.257 - 267  

김주연 (인하대병원) ,  이영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함옥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isk factors of fall and to examine its results among patients aged 60 and over diagnosed with osteoporosis. Methods: A retrospective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with 91 patients admitted in a university hospital in a city. Data were colle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8; Kim, 2002; Kim, 2004; Nikolaus & Bach, 2003; Park, 2004; Park, Chang, & Park, 2008), 요양원이나 병원입원노인의 낙상관련요인(Evans, Hodgkinson, Lambert, & Wood, 2001; Izumi, Makimoto, Kato, & Hiramatsu, 2002; No, 2006; You, 2006)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실제로 골절의 가장 큰 위험군이 될수 있는 골다공증 노인의 낙상 관련 요인이나 낙상경험은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을 치료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낙상의 내적, 외적 위험요인에 대한 조사를 통해 골다공증 노인의 낙상 관련 요인을 밝혀내어 병원과 지역사회의 낙상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골다공증 환자의 낙상위험요인을 파악함 으로써 병원과 지역사회의 낙상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후향적 서술조사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골다공증 진단을 받은 60세 이상 노인 환자 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골다공증으로 진단받은 60세 이상 노인 환자의 낙상 위험요인 및 낙상 결과를 알아보기 위한 후향적 서술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에서 골다공증 진단을 받은 60세 이상 노인 환자의 낙상 위험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병원과 지역사회의 낙상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노인 인구에서의 골절 발생은 개인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장기간 치료에 따른 의료비 부담도 막대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상으로 인해 막대한 의료비 지출과 삶의 질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골다공증 환자를 대상으로 낙상의 내적, 외적위험 요인의 조사를 통해 골다공증 환자의 낙상 관련 요인을 파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가설 설정

  • 이는 기존 연구와 상반되는 결과로 Lee와 Kim (2003)의 연구에 의하면 낙상군의 평균 약물 복용수가더 많다고 하였는데, 노인이 복용하는 여러 약물들은 인지손상, 불안, 보행장애 등을 유발하여 낙상에 기여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낙상군이 비낙상군에 비하여 이환된 질환 수는 많으나 복용약물 개수는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낙상군 중 질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적 이행수준이 낮아 약물복용을 하지 않는 노인이 있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연구자들에 의하면 처방 약물수는 낙상여부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대신 건강기능식품 섭취가 낙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Jung, Lee, & Chung, 200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 증이란 무엇입니까? 특히 여성노인의 경우 이러한 골다공증은 호르몬의 변화에 의해 더 쉽게 노출 될 수 있다(Song & So, 2007). 골다공 증은 골질량의 감소로 경미한 충격에도 쉽게 골절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골다공증 그 자체보다는 이로 인한 골절이 임상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Choi, 2002). 또한 미국의 경우 80세 이상 여성의 32%에서 골다공증에 의한 대퇴 골절이 발생하고, 대퇴 골절이 발생되면 골절이 없는 나이의 같은 사람보다 사망률이 12 ~ 20% 가 더 높다고 한다.
골절은 무엇으로 인하여 발생합니까? 이렇게 우리 나라는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노화 현상에 따른 노인의 기능저하와 만성 퇴행성질환의 증가 등 노인의 건강문제가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사회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골밀도의 감소와 낙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골절은 노인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장기간 치료에 따른 의료비 용이 많이 든다는 점에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Jung, Shin, Kang, Kang, & Kim, 2008; Nikolaus & Bach, 2003).
낙상 공포로 인한 피해는 무엇입니까? 또한 한번 낙상을 경험한 노인들은 다시 넘어 질까봐 두려워하는 심리적 불안 상태, 즉 낙상 공포라고 일컬어지는 심리적인 손상을 받기도 한다(Lach, 2005). 이러한 낙상공포는 다시 넘어질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갖게 하여 노인의 신체적 활동을 감소시키고, 심리·사회적 장애를 초래하여 우울과 의존성을 높이며, 사회 적으로 위축시킨다(Jung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i, S. R. (2002). A study on climacteric women's risk of osteoporo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 Chung, N. S., & Choi, K. H. (2001). Cause and prevention of falling in the elderly. Korean Acad Univ Trained Phys Therapists, 8(3), 107-115. 

  3. Coleman, A. L., Stone, K., Ewing, S. K., Nevitt, M., Cumming, S., Cauley, J. A., Ensrud, K. E., Harris, E. L., Hochberg, M. C., & Mangione, C. M. (2004). Higher risk of multiple falls among elderly women who lose visual acuity. Ophthalmology. 111(5), 857-862. 

  4. Cumming, R. G., & Klineberg, R. J. (1994). Fall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and the risk of hip fracture. J Am Geriatr Soc, 42(7), 774. 

  5. Eom, J. Y. (2006). A study on the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due to fall inju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Evans, D., Hodgkinson, B., Lambert, L., & Wood, J. (2001). Falls risk factors in the hospital setting: A systemic review. Int J Nurs Pract, 72(4), 38-45. 

  7. Glydenvand, T. (1984). Falls: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Risk Assessment for Fall Scale II (RAFS II).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owa, Iowa City. 

  8. Grossman, J. M., & MacLean, C. H. (2001), Quality indicators for the management of osteoporosis in vulnerable elders. Ann Intern Med, 135(8), 722-730. 

  9. Izumi, K., Makimoto, K., Kato, M., & Hiramatsu, T. (2002). Prospective study of fall risk assessment among institutionalized elderly in Japan. Nurs Health Soc, 4(4), 141-147. 

  10. Jang, I. S., & Kim, D. J. (2002). Home safety assessment for fall prevention in elderly people in a rural community. J Korean Gerontol Nurs, 4(2), 176-186. 

  11. Jung, D., Shin, K. R., Kang, Y., Kang, J. S., & Kim, K. H. (2008). A study on the falls, fear of falling,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the older adul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1), 91-101. 

  12. Jung, Y. M., Lee, S. E., & Chung, K. S. (2006).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falls according to health status in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J Korean Gerontol Soc, 26(2), 291-303. 

  13. Kim, D. J. (2002).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falls in the elderly in rural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 Kim, M. J. (2004). Associated factors caused by falls of older people in community-dwel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Statistics of elders. Web site: http;//www.nso.go.kr 

  16. Lach, H. W. (2005).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developing fear of falling in older adults. Public Health Nurs, 22(1), 45-52. 

  17. Lee, E. J., & Kim, C. G. (2003). A survey of fractures and factor associated with falls in elderly patients. J Korean Gerontol Nurs, 5(2), 182-192. 

  18. Lee, H. T., Jang, K. J., Jang, I. H., & Lee, Y. J. (1994). Characteristics of falls as a hip fracture in the elderly. J Korean Acad Fam Med, 15(4), 273-279. 

  19. Nikolaus, T., & Bach, M. (2003). Preventing falls in community-dwelling frail older people using a home intervention team(HIT): Results from the randomized falls-HIT trial. J Am Geriatr Soc, 51(3), 300-305. 

  20. No, J. H. (2006). A comparative study fall risk assessment among nursing homes and geriatric hospitals in a urban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Oh, H. Y., & Im, Y. M. (2003). Functional statu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elders with hip fracture surgery from fall. J Korean Acad Adult Nurs, 15(3), 432-440. 

  22. Park, H. S., Chang, R., & Park, K. Y. (2008). Comparative study on fall 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single and recurrent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J Korean Acad Adult Nurs, 20(6), 905-916. 

  23. Park, S. E. (2006). The medical cost analysis of hip and vertebral fractures in women aged 50 years and over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4. Park, Y. H. (2004). Fall risk assessment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J Korean Gerontol Nurs, 6(2), 170-178. 

  25. Seeman, E. (2002). Pathogenesis of bone fragility in women and man. Lancet, 359(9320), 1841-1850. 

  26. Shin, H. H. (2001). Estimation of incidence rate of osteoporotic fracture among the elderly in a c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27. Song, H, R., & So, H. Y. (2007). Effects of the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about osteoporosis on calcium intake behavior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19(5), 763-774. 

  28. Stolze, H., Klebe, S., Zechlin, C., Baeeker, C., Friege, L., & Deuschl, G. (2004). Falls in frequent neurological diseases prevalence, risk factors and etiology. J Neurol, 251(1), 79-84. 

  29. Tideiksaar, R. (1997). Falls in older persons: Prevention & management(2nd ed.). Baltimore: Health Professions Press. 

  30. Vittinghoff, E., Glidden, D. V., Shiboski, S. C., & McCulloch, C. E. (2005). Regression methods in biostatistics. New York: Springer. 

  31. You, M. S. (2006). A study on related factors of the hospitalized elderly by fal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