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뇌졸중 증상과 위험요인에 대한 지식정도
Knowledge of Stroke Symptoms and Risk Factors among Older Adul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3, 2009년, pp.314 - 323  

한남이 (조선대학교병원 응급실) ,  고은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황선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knowledge of stroke symptoms and risk factors among older adults. Methods: A total of 200 older adults over 65 years of age were conveniently recruited from out patient departments of two hospitals and a health care center from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2), 뇌졸중 발생 가능성이 높은 노인들의 지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65세 이상 노인의 뇌졸중에 대한 증상과 위험요인에 대한 지식 정도를 조사하여 향후 노인들에게 효율적인 뇌졸중 예방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대상자의 뇌졸중에 대한 증상과 위험요인에 대한 지식 정도를 조사하고, 뇌졸중 증상 및 위험요인의 지식 정도에 관련이 있는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일 지역의 C대학병원, Y의원 및 S보건소를 내원한 65세 이상 노인의 뇌졸중 증상과 위험요인에 대한 지식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의 예방과 증상에 대한 조기 인지를 위해 어떤 교육이 필요한가? 노인들은 연령의 증가로 인한 혈관의 노화이외에도 고혈압과 당뇨, 고지혈증의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뇌졸중 발병 가능한 노인들에게 뇌졸중의 위험요인을 인식하도록 교육하고 원인질환의 철저한 관리를 통해 뇌졸중이 발병하지 않도록 하는 예방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뇌졸중 증상에 대한 교육을 통해 증상발생 시 3시간 이내에 종합병원 응급실로 내원하여 후유증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허혈성 뇌졸중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 2006). 2000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평균수명의 연장, 식생활을 포함한 생활양식의 서구화, 고혈압의 치료와 관리의 증가, 뇌졸중의 예고징후라 할 수 있는 일과성 허혈성 발작에 대한 인식의 증대, 그리고 진단기술의 발달로 간과하기 쉬운 경미한 증상이나 무증상의 뇌혈관 질환에 있어서의 진단율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Hwang, 2000).
뇌졸중으로 생존한 환자는 어떤 장애를 나타내는가? 뇌졸중은 심각한 장애를 남기는 대표적 질환 중 하나인데, 발병 후 1개월 이내에 환자의 약 25%가 사망하며, 생존한 환자는 뇌 병변 부위, 출혈량, 출혈의 파급양상에 따라 무의식, 정신혼란, 편마비, 운동장애, 구음장애, 실어증, 연하곤란 등 다양한 장애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인은 물론 가족의 부담감을 높이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나아가서는 국가의 중요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Ahn, Kwon, & Hong, 2005; He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S. Y., Kwon, Y. E., & Hong, J. J. (2005). A study on the burden, health status and well-being in spouse caregivers of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7(2), 287-297. 

  2. American Heart Association Statistics Committee and Stroke Statistics Subcommittee (2007).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08 Update. Circulation, 115(5), 69-171. 

  3. Bae, H. J., Yoo, K. M., Yoon, B. W., Kim, J., Kim, J. Y., Kim, E. G., Kim, B. C., & Roh, J. K. (2002). Stroke awareness in Korea: The results of survey in the second stroke prevention campaign. Journal of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2), 1-8. 

  4. Cho, Y. J., Bark, B. J., Yoon, B. W., Chung, J. M., Cho, J. H., & Rho, J. K. (1996). Factors related to hospital arrival time of acute stroke patients who visited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Journal of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4(3), 696-703. 

  5. Davalos, A., Castillo, F., & Martinez-vila, E. (1995). Delay in neurological attention and stroke outcome. Stroke, 26(12), 2233-2237. 

  6. Ennen, K. (2004). Knowledge of stroke warning symptoms and risk factors: Variations by rural and urban categor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hicago, IL. 

  7. Goldstein, L. B., Adams, R., Becker, K., Furberg, C. D., Gorelick, P. B., & del Zoppo, G. J. (2001). Primary prevention of ischemic stroke: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stroke counci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Stroke, 32(1), 280-299. 

  8. Heo, J. H., Cheon, H. Y., Nam, J. M., Kim, D. C., Kim, K. W., & Lee, B. I. (2000). Presentation time to hospital and recognition of stroke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Journal of Korean Neurolology Association, 18(2), 125-131. 

  9. Hong, S. T., & Park, H. S.(1999). The study on hospital arrival time and the aspect of using alternative medicine of acute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1(3), 389-400. 

  10. Hwang, S. Y., & Zerwic, J. J. (2006). Knowledge of stroke symptoms and risk factors among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Nursing & Health, 29(4), 337-344. 

  11. Hwang, S. J. (2000). Aspects of stroke in the last 20 years of resear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2. Joung, J. H., & Choi, J. Y. (2006). Guidelines for the early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10(4), 221-242. 

  13. Kang, S. M., & Yeun, E. J. (2005). An effect of th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self-care of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7(4), 646-655. 

  14. Kim, J. S., & Yoon, S. S. (1997). Perspective of stroke in persons living in Seoul; A survey of 1000 subjects. Stoke, 28(6), 1165-1169. 

  1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07. Republic of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16. Kwon, Y. D., Yoon, S. S., & Chang, H. (2007). Impact of an early hospital arrival on treatment outcomes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0(2), 130-136. 

  17. Lee, B. C., Jeong, S. C., Hwang, S. H., Kim, H. C., Bae, J. C., Ma, H. I., Yu, K. H., & Lee, I. H. (1999). Analysis of 1.129 consecutive patients with acute stroke: The Hallym Stoke Registry. Korean Journal of Stroke, 1(1), 21-27. 

  18. Lee, S. H., Lee, Y. W., Kim, H. S., & Lim, J. Y. (2007). Factors influencing the hospital presentation time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2), 167-177. 

  19. Park, B. S., Lee, J. M., Koh, S. B., Kim, B. J., Park, M. K., Park, K. W., Sin, C., & Lee, D. H. (2002). Ansan citizen's knowledge of stroke. Journal of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4), 339-345. 

  20. Rah, J. H. (2008). Stroke epidemiology 2007 Update. Korean Journal of Stroke, 10(1), 1-4. 

  21. Rosenberg, C. H., & Popelka, G. M. (2000). Post-stoke rehabilitation: A review of the guidelines for patient management. Geriatrics, 55(9), 75-81. 

  22. Samsa, G. P., Cohen, S. J., Goldstein, L. B., Bonito, A. J., Duncan, P. W., Enarson, C., DeFriese, G. H., Horner, R. D., & Matchar, P. B. (1997). Knowledge of risk among patients at increased risk of stroke. Stroke, 28(5), 916-921. 

  23. Song, Y. S., & Lee, S. Y. (2002). Factors delaying hospital arrival time after stroke.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Medical Pathology, 16(5), 1075-1078. 

  24. Yu, K. H., Bae, H. J., Kwon, S. U., Kang, D. W., Hong, K. S., & Lee, Y. S., Rah, J. H., Koo, J. S., Kim, J. S., Kim, J. H., Lee, J. H., Cho, S. J., Hwang, S. H., Jung, S., Han, M. K., Cho, K. H., Kim, B. C., Shin, D. J., Chang, D. I., Park, H. J., Kim, E. G., Ahn, M. Y., Lee, D. H., Park, K. W., Kim, Y. H., Lee, K. Y., Jeo, J. H., Kim, S. H., Lee, G. H., Chung, C. S., Cha, J. K., Lee, J. H., Uhm, K. Y., Lee, B. C., & Roh, J. K. (2006). Analysis of 10,811 cases with acute ischemic stroke from Korean Stroke Registry: Hospital-based Multicenter Prospective Registration Study. Journal of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4(6), 535-543.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