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러기가족의 초국적 적응전략 및 가족 경로
Transnational Life of Korean 'Wild Geese Family': Coping Strategies and Family Paths Across Time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0 no.2, 2009년, pp.205 - 221  

강유진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y concern was to explore how the Korean 'wild geese families' functioned to maintain 'familyhood' in spite of spatial separation by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I used personal narratives from eleven 'geese mother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Family paths across time were analyzed to understand ...

주제어

참고문헌 (34)

  1. 김선미(2007) 재미 국제 장기 분거가족 전업주부의 일상적 삶과 정체성 유지에 관한 연구: '기러기 엄마' 되기 과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 (4), 171-189. 

  2. 김양희.장은정(2004) 장기 분거 가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23. 

  3. 김양희.최명선.이지항(2005) 뉴질랜드 거주 기러기 어머니의 생활실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11), 142-152. 

  4. 김의철.박영신(2008)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II):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대한 심리적 토대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63-109. 

  5. 김흥주(2001) 조기유학(유학이민)의 현황 및 국민의식 분석. 2001년도 KEDI 제 1차 교육정책 포럼.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5-30. 

  6. 김흥원(2005) 조기유학에 관한 국민의식과 실태. 2005년도 KEDI 제 26차 교육정책 포럼.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5-36. 

  7. 데보라 K 패짓.유태균 역(1998) 사회복지질적방법론. 서울: 나남출판, 150-162. 

  8. 박영신.김의철.탁수연(2002) 청소년과 부모의 실패와 미래성취 의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성취관련 토착심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2), 75-110. 

  9. 오욱환(2008) 조기유학, 유토피아를 향한 출국-조기유학의 복합적 기능과 역기능. 서울: 교육과학사, 37-64. 

  10. 이현지.남현주(2003) 청소년 유학생들의 문화적 적응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미국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0(4), 121-142. 

  11. 정광순(2006) 초등학생의 유학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9(2), 117-139. 

  12. 조 은(2004) 세계화의 최첨단에 선 한국의 가족-신 글로벌 모자녀 가족사례연구. 경제와 사회 64, 148-171. 

  13. 조혜영.최원기.이경상.Nancy Abelmann(2007) 청소년들은 어떻게 조기유학을 결정하게 되는가?: 미국 소도시 유학생들의 사례. 청소년학연구 14(4), 115-143. 

  14. 최양숙(2006) 부부분거경험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본 기러기가족 현상. 가족과 문화 18(2). 37-65. 

  15. 최양숙(2008) 자녀의 조기유학으로 인한 분거가족에 서 나타나는 사회심리적 기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67-97. 

  16. Baldassar L(2007) Transnationa families and the provision of moral and emotional sup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truth and distance. Global Studies in Culture and Power 14, 385-409. 

  17. Boyd M(1996) The sociology of migration. Cheltenham: Brookfield 297-328. 

  18. Bryceson D, Vuorela U(2002) The transnational family: new European frontiers and global networks. NY: Berg, 3-30. 

  19. Da WW(2003) Gender relations in recent Chinese migration to Australia. Asian and Pacific Migration Journal 12(3), 361-384. 

  20. Dreby J(2006) Honor and virtue: Mexican parenting in the transnational context. Gender and Society 20, 32-60. 

  21. Falicov CJ(2005) Emotional transnationalism and family identities. Family Process 44, 399-406. 

  22. Falicov CJ(2007) Working with transnational immigrants: expanding meanings of family, community, and culture. Family Process 46, 157-171. 

  23. Huang S, Yeoh BSA(2005) Transnational families and their children's education: China's 'study mothers's in Singapore. Global Networks 5(4), 379-400. 

  24. Landolt P. Da WW(2005) The spatially ruptured practices of migrant families: a comparison of immigrants from El Salvador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urrent Sociology 53(4), 625-653. 

  25. Lee YJ, Koo H(2006) Wild geese fathers' and a globalised family strategy for education in Korea, IDPR 28(4), 533-553. 

  26. New York Times(2008) 'For English studies, Koreans say good bye to dad', 8 June. 

  27. Park SJ, Abelmann N(2004). Class and cosmopolitan striving: mother's management of English education in South Korea. Anthropological Quarterly 77(4), 645-672. 

  28. Parrenas R(2005) Long distance intimacy: class, gender and intergenerational relation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in Fillipono transnational families. Global Networks 5(4), 317-336. 

  29. Ryan L(2004) Family matters:(e)migration, familial networks and Irish women in Britan. The editorial board of The Sociological Review, 351-369. 

  30. Schmalzbauer L(2008) Family divided: the class formation of Honduran transnational families. Global Networks 8(3), 329-346. 

  31. ?enyurekli AR, Detzner DF(2008)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in a transnational context: the case of Turkish families. Family Relations 57(4), 457-467. 

  32. Sorensen NN(2005) Transnational family life across the Atlantic: the experience of Colombian and Dominican migrants in Europe. Paper to be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gration and domestic work in a global perspective', Wassenar: The Netherlands. 

  33. Waters JL(2002) Flexible families? 'astronaut' houesholds and the experiences of lone mothers in Vancouver, British Columbia.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3(2), 117-134. 

  34. Yeoh BSA, Huang S, Lam T(2005) Transnationalizing the 'Asian' family: imaginaries, intimacies and strategic intents. Global Networks 5, 307-3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