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커플관계자료 분석방법에 의한 기러기 엄마와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모-자녀 의사소통이 초기, 후기 청소년과 엄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Self-esteem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on Depression in Mothers and Adolescents in Kirogi Families according to Adolescent' Development Stag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5, 2010년, pp.620 - 630  

윤은경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동서간호학 연구소) ,  신성희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동서간호학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level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mother-adolescent (M-A) communication perceived by both mothers and adolescents between the early adolescent (E-A) group and the late adolescent (L-A) group; and to examine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외에도 청소년의 우울은 학교 성적, 친구 관계, 선생님과의 관계등과 관련이 있으며(Lee, 2009; Park, 2007), 중년 여성의 우울은 직업, 남편과의 관계 등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Choi, 2006; Park, 2002). 그러나 본 연구는 기러기 엄마와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기러기 엄마와 청소년 자녀의 커플관계자료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비교하고자 하므로 모-자녀 상호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아존중감과 모-자녀 의사소통으로 변수를 제한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APIM 모형을 적용하여 기러기 엄마와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모-자녀 의사소통이 초기 청소년과 후기 청소년의 엄마와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기러기 가족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APIM 모형을 적용하여 미국 중서부에 거주하고 있는 기러기 엄마와 청소년 자녀를 대상으로 그들의 자아존중감과 모-자녀 의사소통이 초기 청소년, 후기 청소년 집단의 엄마와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기러기 가족의 정신건강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중재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미국에 거주하는 기러기 엄마와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모-자녀 의사소통이 초기, 후기 청소년과 엄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Kenny (1996)가 제안한 커플관계자료 분석방법을 통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Erikson의 발달단계에 따라 자녀의 연령이 만 12-14세인 경우를 초기 청소년 집단, 만 15-18세인 경우를 후기 청소년 집단으로 분류하여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미국에 거주하는 기러기 엄마와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모-자녀 의사소통이 초기, 후기 청소년과 엄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Kenny (1996)가 제안한 커플관계자료 분석방법을 통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Erikson의 발달단계에 따라 자녀의 연령이 만 12-14세인 경우를 초기 청소년 집단, 만 15-18세인 경우를 후기 청소년 집단으로 분류하여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커플관계자료 분석방법에 의해 기러기 엄마와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이 초기, 후기 청소년과 엄마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인과관계 연구이다.
  • 먼저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윤리위원회의 연구승인을 얻은 후 미 중서부 메트로폴리탄 지역과 중소도시에 소재한 한인교회, 한인 학원 등 한인 지역사회를 통해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협조를 구하여 위의 선정기준에 맞는 대상자를 소개받았다. 소개받은 기러기 가족에게 전화를 걸어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으며 이를 이해하고 엄마와 청소년 자녀 모두가 연구 참여를 동의한 경우 개인적인 방문일정을 잡았다. 방문일정에 따라 대상자의 집이나 대상자가 편리한 장소에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문지 응답에 소요된 시간은 엄마와 자녀 각각 20-30분이었다.

가설 설정

  • 기러기 엄마와 청소년 자녀 각자의 우울이 상대방의 자아존중감, 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신의 자아존중감, 모-자녀 의사소통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모-자녀 의사소통은 자신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신과 상대방의 우울에 직∙간접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엄마와 자녀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가정하여 가설적 경로를 설정하였다.
  • 기러기 엄마와 청소년 자녀 각자의 우울이 상대방의 자아존중감, 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신의 자아존중감, 모-자녀 의사소통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모-자녀 의사소통은 자신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신과 상대방의 우울에 직∙간접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엄마와 자녀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가정하여 가설적 경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 여성에게 가장 흔히 나타나는 정서는? 더구나 기러기 엄마는 언어의 장벽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만 하는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의 위협이 있을 수 있다. 우울은 중년 여성에게 가장 흔히 나타나는 정서이며 적극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다양한 만성질환이 발생하게 되며 건강한 노년기를 준비하지 못하게 된다(Kim & Shin, 2006). 특히 우리 나라 여성은 남성에 비해 더 많은 우울을 경험하며, 다른 나라의 여성에 비해서도 우울증의 유병률이 높다(Park, 2002).
커플 관계자료 분석 방법에 의한 기러기 엄마와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모-자녀 의사소통이 초기, 후기 청소년과 엄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러기 아빠와 엄마, 자녀 등 기러기 가족 전체의 정신건강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부모가 인식하는 의사소통과 자녀가 인식하는 의사소통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아버지 부재와 관련하여 기러기 청소년의 적응과 정신건강에 대한 성차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기러기 가족의 우울과 적응에 관한 종단적인 연구가 필요 하다. 다섯째, 문화에 따른 기러기 가족의 적응과 정신건강이 다르므로 미국 내 다른 지역과 영어권 국가뿐 아니라 아시아 지역의 기러기 가족을 대상으로 반복 연구할 필요가 있다.
기러기 가족이란? 기러기 가족이란 자녀교육을 목적으로 가족이 국제적으로 떨어져 사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현상으로 아빠는 한국에 남아 생계를 책임지고, 엄마는 자녀의 뒷바라지를 위해 동반 유학하는 경우를 말한다(Kim & Chang, 2004). 이러한 가족형태는 자녀 들만 유학생활을 할 경우 생기는 문제점이 노출되면서 나타난 대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ens, H., & Olson, D. H.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 Choi, I. J. (2007). 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adolescent's self-differentiation, depression and anxiet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 611-628. 

  3. Choi, S. Y., & Lee, J. M. (2008). The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and adolescent's self-esteem on the adolescent's social anxiet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 835-845. 

  4. Choi, Y. S. (2006). The phenomenon of "geese-families": Marital separation between geese-fathers and geese-mothers. Family and Culture, 18(2), 37-65. 

  5. Chung, M. J., & Yuh, J. (2009). Effects of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on children's affective problems and self-worth.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0(3), 71-83. 

  6. Faul, F., Erdfelder, E., Lang, A., & Bu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al Research Methods, 39, 175-191. 

  7. Ha, M. (2007, November 1). 'Kirogi' families weigh risks and rewards. The Korea Times. Retrieved February 10, 2010, from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40&aid0000046457 

  8. Hammen, C., Altman, T., & Brennan, P. (2004). Interpersonal impairment and the prediction of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 children of depressed and nondepressed mothe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2, 571-577. 

  9. Hong, S. H.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 161-177. 

  10.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 107-130. 

  11. Kenny, D. (1996). Models of non-independence in dyadic research.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 13, 279-294. 

  12. Kim, J., & Shin, K. (2006). A study on depress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adul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4, 352-361. 

  13. Kim, S. M. (2009). A qualitative study on wild goose mothers' everyday life, family relationship and social networking.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3, 41-59. 

  14. Kim, Y. H., & An, S. M. (2008).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conflict, and adolescents' depression & delinquen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5(2), 1-31. 

  15. Kim, Y. H., & Chang, O. J. (2004). Issue of families that run separate household for a long time. Journal of Family Relatives, 9(2), 1-23. 

  16. Kim, Y. H., Choi, M. S., & Lee, J. H. (2005). Actual state of Korean "Geese mother" in New Zealand.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11), 141-152 

  1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A report of population and households. Retrieved December 10, 2009, from http://kosis.kr/metadata/main.jsp?c_id1962004 

  18. Kwahk, S. H., & Kim, S. O. (2002). Depression and anxiety related with married women's attachment security and self-esteem: Focused on the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7), 35-48. 

  19. Kwon, S. Y. (2008). Causal relations among perceived depress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f adolescent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6(2), 93-118. 

  20. Lee, C. H., Chung, J. S., & Rhee, M. (2009). The influence of patient- adolescent communication on adolescent's depression: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irrational belief.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 433-448. 

  21. Lee, S. Y. (2009). 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of young Korean oversea students in U. S. Korean Journal of Adolescence Study, 16(5), 99-120. 

  22. Min, H. Y. (1990). Circumplex model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3. Min, S. J. (2003). The relations of parents-children' self-esteem and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Anyang University, Anyang. 

  2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 Education statistics. Retrieved February 13, 2010, from http://www.mest.go.kr/ms_kor/inform/info_data/cooper/1256539_8477.jsp 

  25. Montemayor, R. (1982).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nflict and the amount of time adolescents spend alone and with parents and peers. Child Development, 53, 1512-1519. 

  26. Mufson, L. (2004). Interpersonal psychotherapy for depressed adolescents (2nd Ed.). New York, NY: Guilford Press. 

  27. Park, B. (2007).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Focus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s mediato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6, 505-522. 

  28. Park, H. S. (2002).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health promoting behavior, self-esteem, and optimism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1, 352-362. 

  29. Radloff, L.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385-401. 

  30.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