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피신경전기자극과 전침자극이 흰쥐 좌골신경 압좌손상 후 척수내 c-fos 발현과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nd Electroacupuncture on C-fos Expression in Spinal Cord and Functional Recovery After Rat Sciatic Nerve Crush Injur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9 no.6, 2009년, pp.187 - 195  

이현민 (한국국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흰쥐를 대상으로 좌골신경 압좌 손상 유발 후 경피신경전기자극과 전침자극을 적용하고 진통효과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경피신경전기자극군을 적용한 TENS군, 전침자극군을 적용한 EA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군은 전기자극 적용기간에 따라 1일군, 7일군 및 14일군으로 나누었다. 경피신경자극과 전침자극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각신경활성의 지표로 이용되는 c-fos 발현의 감소, 발도피지연시의 증가, 좌골신경기능지수의 증가를 통해 전기자극이 말초신경 손상에서 통증억제와 기능회복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피신경전기자극군과 전침자극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NS) and electroacupuncture(EA) after sciatic nerve crush injury in rats. Subjects were classified TENS group with TENS application, EA group with EA application and Control group which is not appl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의 말초신경손상에서 경피신경전기자극과 전침자극의 진통효과에 대한 각각의 연구는 많이 있지만 두 가지 전기 자극을 비교한 연구는 미흡하며, 말초신경 손상에 대한 평가로 조직의 면역조직화학 반응과 함께 행동학적 측면에서 관찰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흰쥐의 좌골신경을 압좌 손상 시킨 후 경피신경전기자극과 전침자극을 일정기간 동안 적용시킨 후 나타나는 효과를 세포면역학적으로 척수 후각 천층에서 통각신경활성의 지표로 이용되는 c-fos의 발현을 관찰하고, 운동기능 회복과 통증완화 효과를 행동학적 측면에서 족적 분석(footprint analysis)을 통한 좌골신경기능지수(sciatic function index)와 핫플레트 검사를 통한 발도피지연시(foot withdrawal latency)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흰쥐를 대상으로 좌골신경 압좌 손상을 유발하고 경피신경전기자극과 전침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좌골신경 압좌 손상 후 경피신경전기자극과 전침자극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의 발도피지연시 증가, 좌골신경지수 증가, c-fos 발현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나 말초신경 손상모델에서 통증완화 및 기능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흰쥐를 대상으로 좌골신경 압좌손상 후 전침자극과 경피신경전기자극 적용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진통효과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좌골신경 압좌손상이 유발된 흰쥐에게 전침자극과 경피신경전기자극을 1일, 7일, 14일 동안 적용하여 통증 평가로 핫플레트 검사를 통해 발도피지연시를 측정하였고, 운동신경 회복 평가로 족적 분석을 통한 좌골신경기능지수로써 운동신경 회복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초신경은 무엇에 의해 손상받기 쉬운가? 말초신경은 압좌(crush), 압박(compression), 신장(stretching), 결출(avulsion)에 의해 손상받기 쉽고 이로 인하여 피부나 근육에서부터 척수와 후근절 수준에까지 각각의 신경세포와 비신경세포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한다[1]. 최신 치료기법과 재건술에도 불구하고 손상 수준, 탈신경된 기간, 손상된 신경섬유의 형태, 직경 및 연령 등 다양한 변수로 인하여 말초신경의 형태학적․기능적 재생은 완전하지 않다[2].
말초신경 손상은 어떤 상태를 초래하는가? 최신 치료기법과 재건술에도 불구하고 손상 수준, 탈신경된 기간, 손상된 신경섬유의 형태, 직경 및 연령 등 다양한 변수로 인하여 말초신경의 형태학적․기능적 재생은 완전하지 않다[2]. 말초신경 손상은 치료 후에도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세포의 감소, 느리고 불충분한 축삭 생성, 중추신경계의 지속적인 변화와 신경병변성 통증인 이질통증(allodynia)과 통각과민(hyperalgesia) 등을 초래하게 된다[1][3].
흰쥐를 대상으로 좌골신경 압좌 손상 유발 후 경피신경전기자극과 전침자극을 적용하고 진통효과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어떠한가? 실험동물은 경피신경전기자극군을 적용한 TENS군, 전침자극군을 적용한 EA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군은 전기자극 적용기간에 따라 1일군, 7일군 및 14일군으로 나누었다. 경피신경자극과 전침자극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각신경활성의 지표로 이용되는 c-fos 발현의 감소, 발도피지연시의 증가, 좌골신경기능지수의 증가를 통해 전기자극이 말초신경 손상에서 통증억제와 기능회복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피신경전기자극군과 전침자극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L. D. Dahlin, "The biology of nerve injury and repair,"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Surgery of the Hand, Vol.4, No.3, pp.143-155, 2004. 

  2. R. S. Meyer, R. A. Abrams, M. J. Botte, J. P. Davey, and S. C. Bodine-Fowler, "Functional recovery following neurorrhaphy of the rat sciatic nerve by epineurial repair compared with tubulization," Orthop Res, Vol.15, No.5, pp.664-669, 1997. 

  3. F. J. Rodriguez, A. V. Cabre, and X. Navarro, "Regeneration and functional recovery following peripheral nerve injury," Drug Discov Today, Vol.1, No.2, pp.177-185, 2004. 

  4. V. V. Raso, C. H. Barbieri, N. Mazzer, and V. S. Fasan, "Can therapeutic ultrasound influence the regeneration of peripheral nerves?" J Neurosci Methods, Vol.142, No.2, pp.185-192, 2005. 

  5. K. A. Sluka and D. Walsh,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Basic science mechanism and clinical effectiveness," J Pain, Vol.4, No.3, pp.109-121, 2003. 

  6. D. L. Somers and F. R. Clemente, "The relationship between dorsal horn neurotransmitter content and allodynia in neuropathic rats treated with high-frequency transcutaneous electric nerve stim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Vol.84, pp.1575-1583, 2003. 

  7. Z. L. Guo, A. R. Moazzami, and J. C. Longhurst, "Electroacupuncture induces c-fos expression in the rostral ventrolateral medulla and periaqueductal gray in cats: relation to opioid containing neurons," Brain Res, Vol.1030, pp.103-115, 2004. 

  8. S. Liu, W. Zhou, H. Liu, G. Yang, and W. Zhao, "Electroacupuncture attenuates morphine withdrawal signs and c-Fos expression in the central nucleus of the amygdala in freely moving rats," Brain Res, Vol.1044, pp.155-163, 2005. 

  9. M. A. de Medeiros, N. S. Canteras, D. Suchecki, and L. E. Mello, "Analgesia and c-fos expression in the periaqueductal gray induced by electroacupuncture at Zusanli point in rats," Brain Res, Vol.973, pp.196-204, 2003. 

  10. T. Dowdall, I. Robinson, and T, F. Meert, "Comparison of five different rat models of peripheral nerve injury," Pharmacol Biochem Behav. Vol.80, pp.93-108, 2005. 

  11. C. M. Nichols, T. M. Myckatyn, S. R. Rickman, I K. Fox, T. Hadlock, and S. E. Mackinnon, "Choosing the correct functional assay: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functional tests in the rat," Behav Brain Res, Vol.163, pp.143-158, 2005. 

  12. J. A. Harris, "Using c-fos as a neural marker of pain," Brain Res Bull, Vol.45, pp.1-8, 1998. 

  13. M. Lanteri-Minet, J. Weil-Fugazza, and D. A. Bereiter, "Distribution of fos-like immunoreactivity in the caudal brainstem of the rat following noxiois chemical stimul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 Comp Neurol, Vol.356, pp.444-456, 1995. 

  14. 兵頭正議, and 北出利勝. SSP 療法, 현문사, 1991. 

  15. A. L. Dellon and S. E. Mackinnon, "Sciatic nerve regeneration in the rat. Validity of walking track assessment in the presence of chronic contractures," Microsurgery, Vol.10, pp.220-222, 1989. 

  16. L. E. Chen, A. V. Seaber, G. H. Wong, and J. R. Urbaniak, "Tumor necrosis factor promote motor functional recovery in crushed peripheral nerve," Neurochem Int, Vol.29, pp.197-203, 1995. 

  17. M. B. Graeber and G. W. Kreutzberg, "Delayed astocyte reaction following facial nerve axotomy," Neurocytol, Vol.17, pp.209-220, 1988. 

  18. A. T. Hama, J. Sagen, and G. D. Pappas,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dorsal horn spinal neurons in rats with unilateral constriction nerve injury: a preliminary study," Neurol Res, Vol.16, pp.297-304, 1994. 

  19. J. Arvidson, J. Ygge, and G. Grant, "Cell loss in lumbar dorsal root ganglia and transgaglionic degeneration after sciatic nerve resection in the rat," Brain Res, Vol.373, pp.15-21, 1986. 

  20. S. P. Hunt, A. Pini, and G. Evan, "Induction of c-fos like protein spinal cord neurons following sensory stimulation," Nature, Vol.328, pp.632-634, 1987. 

  21. K. R. Gogas, R. W. Presley, J. D. Levine, and A. I. Basbaum, "The antinociceptiveaction of supraspinalopoidsresultfrom an increase in descenging inhibitory control : correlation ofnociceptive behavior and c-fos expression," Neuroscience, Vol.42, pp.617-628, 1991. 

  22. C. Abbadie and J. M. Besson, "Effects of mophine and naloxone on basal and evoked fos-like immunoreactivity in lumbar spinal cord neurons of arthritic rats," Pain, Vol.52, pp.29-39, 1993. 

  23. V. Chapman, P. Honore, J. Buritova, and J. M. Besson, "The contribution of NMDA receptor activation to spinal c-fos expression in a model of inflammatory pain," Br J Pharmacol, Vol.116, pp.1628-1634, 1995. 

  24. P. Honore, J. Buritova, and J. M. Besson, "Intraplantar morphine depresses spinal c-fos expression induced by carrageenan inflammation but not by noxious heat," Br J Pharmacol, Vol.118, pp.671-676, 1996. 

  25. J. R. Dijkstra, M. F. Meek, P. H. Robinson, and A. Gramsbergen, "Methods to evaluate functional nerve recovery in adult rats: walking track analysis, video analysis and the withdrawal reflex," Neurosci Methods, Vol.96, pp.89-96, 2000. 

  26. L. Zeng, A. Worseg, and G. A. Albrecht, "A noninvasive functional evaluation following peripheral nerve repair with electromyography in a rat model," Plast Reconstr Surg, Vol.94, pp.146-151, 1994 

  27. A. L. Dellon and S. E. Mackinnon, "Sciatic nerve regeneration in the rat. Validity of walking track assessment in the presence of chronic contractures," Microsurgery, Vol.10, pp.220-222, 1989. 

  28. M. F. Meek, W. F. den Dunnen, P. H. Robinson, and J. M. Schakenroad, "Evaluation of functional nerve recovery after reconstruction with a poly (DL-lactide-epsiloncarprolactone) nerve guide, filled with modified denatured muscle tissue," Microsurgery, Vol.17, pp.555-561, 1996. 

  29. L, De Medinaceli, E. Derenzo, and R. J. Wyatt, "Rat sciatic functional index data management system with digitized input," Computers and Biomedical Research, Vol.17, pp.185-192, 1984. 

  30. E. F. Oliveira, N. Mazzer, C. H. Barbieri, and E. A. DelBel,. "The use of a muscle graft to repair a segmentary nerve defect. an experimental study using the sciatic nerve of rats as model," J Neurosci Methods, Vol.129, pp.183-190, 2003. 

  31. A. C. Mendonca, C. H. Barbieri, and N. Mazzer, "Directly applied low intensity direct electric current enhances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in rats," J Neurosci Methods, Vol.129, pp.183-190, 2003. 

  32. 김석범, 김동현, 남기원, 송주민, 권영실, 김진상, "흰쥐 좌골신경 압좌손상 후 척수분절의 저강도 레이저 조사가 운동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3, pp.569-578, 2001. 

  33. P. Follesn, K. Gale, and I. Mocchetti, "Regional & temporal pattern of nerve growth factor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mRNA in rat brain following electroconvulsive shock," Exp Neurol, Vol.127, pp.37-44, 1994. 

  34. A. J. Silva, C. F. Stevens, and S. Tonegawa, "Deficient hippocampal long-term potentiation in alpha-calcium-calmodulin kinase II mutant mice," Science, Vol.257, pp.2061-2066, 1992. 

  35. M. G. Weisskopf, R. A. Zalutsky, and R. A. Nicoll, "The opioid peptide dynorphin mediates heterosynaptic depression of hippocampal mossy fibre synapses and modulates long-term potentiation," Nature, Vol.362, pp.423-427, 1993. 

  36. S. Jeftinjija and L. Urban, "Repetitive stimulation induced potentiation of excitatory transmission in the rat dorsal horn: An In Vitro Study," J Neurophysiol, Vol.71, pp.216-228, 199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