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피신경전기자극의 적용 방법에 따른 자세 동요의 변화
Changes in Postural Sway according to the Method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3, 2013년, pp.1207 - 1212  

김희곤 (대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신원섭 (대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세 동요의 감소를 목적으로 경피신경전기자극을 각각 다른 방법으로 적용하였을 때 가장 효과가 큰 방법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비복근에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적용하여 압력중심점의 이동으로 자세동요의 감소를 알아보았다. 24명의 참가자들은 힘판 위에 서있는 동안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전기자극 없이, 고빈도-고강도, 고빈도-저강도, 저빈도-고강도, 저빈도-저강도로 각각 30초간 적용하고 측정하였다. 5가지 적용방법을 무작위 순서로 눈을 뜬 상태에서 적용하였고, 힘판에서 나타나는 압력중심점의 이동거리와 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실시한 군이 미적용군에 비해 자세동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아 경피신경전기자극이 동요의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p<.05). 적용 빈도에 따른 비교에서는 저빈도보다 고빈도에서 자세동요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경피신경자극의 강도별 비교에서는 저강도를 적용한 경우가 고강도의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이와같은 결과를 통해 자세동요를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이용하였을 때 고빈도(100Hz)-저강도(감각수준)에서 가장 큰 효과가 있었다(p<.05). 본 연구를 통해 경피신경전기자극이 자세동요를 감소시켜 균형능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고, 고빈도-저강도의 적용이 가장 효과가 큰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향후 균형능력이 감소된 환자들의 자세동요 감소를 위한 중재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according to frequency and intensity on postural sway distance and velocity. TENS was applied to posterior aspect of the dominant leg with postural sway during one leg stance. Twenty-four heal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균형을 위한 물리치료 중재 방법 중 전기자극치료의 한 종류인 경피신경전기자극의 적용은 주로 통증조절을 목적으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위운동신경과 운동피질 흥분성에도 영향을 주어 자세동요에 효과가 있었다[9]. 따라서 본 연구는 경피신경전기자극의 각기 다른 빈도와 강도에 따라 자세동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균형 조절에 중요한 근육인 비복근에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적용하여 균형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경피신경전기자극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세동요를 가장 감소시키는 방법을 알아보아 균형의 향상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경피신경전기자극의 적용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균형 조절에 중요한 근육인 비복근에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적용하여 균형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경피신경전기자극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세동요를 가장 감소시키는 방법을 알아보아 균형의 향상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경피신경전기자극의 적용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자세동요의 감소를 목적으로 일반 성인 24명을 대상으로 경피신경전기자극의 다양한 적용방법을 적용하여 동요거리와 속도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적용한 경우에서 자세동요가 유의하게 작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체성감각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체성감각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으로 하지에 테이핑을 적용하거나[6], 규칙적인 진동자극을 적용하고[7],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이용한 방법들이 시행되었다[5]. 경피신경전기자극은 조직의 손상이 없는 비침습적이고 사용이 간편할 뿐 아니라 부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주로 통증조절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8].
인간의 균형을 위한 자세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감각은 무엇인가? 인간의 균형을 위한 자세조절에서 체성감각, 시각, 전정계로부터 제공받는 감각 정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중 65%를 차지하는 체성감각 정보는 발목의 고유수용기[1], 발바닥에 있는 피부 수용기, 무릎, 엉덩이 관절의 관절 수용기와 균형에 관여하는 근육[2] 등을 통하여 얻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ergner T, Maurer C, Peterka RJ, "A multisensory posture control model of human upright stance", Prog Brain Res, Vol. 142, No. pp. 189-201, 2003. 

  2. Kavounoudias A, Roll R, Roll JP, "Foot sole and ankle muscle inputs contribute jointly to human erect posture regulation", J Physiol, Vol. 532, No. Pt 3, pp. 869-878, 2001. 

  3. Gravelle DC, Laughton CA, Dhruv NT, Katdare KD, Niemi JB, Lipsitz LA, Collins JJ, "Noise-enhanced balance control in older adults", Neuroreport, Vol. 13, No. 15, pp. 1853-1856, 2002. DOI: http://dx.doi.org/10.1097/00001756-200210280-00004 

  4. Laufer Y, Dickstein R, "TENS to the lateral aspect of the knees during stance attenuates postural sway in young adults", Scientific World Journal, Vol. 7, No. pp. 1904-1911, 2007. 

  5. Dickstein R, Laufer Y, Katz M, "TENS to the posterior aspect of the legs decreases postural sway during stance", Neurosci Lett, Vol. 393, No. 1, pp. 51-55, 2006. DOI: http://dx.doi.org/10.1016/j.neulet.2005.09.039 

  6. Broglio SP, Monk A, Sopiarz K, Cooper ER, "The influence of ankle support on postural control", J Sci Med Sport, Vol. 12, No. 3, pp. 388-392, 2009. DOI: http://dx.doi.org/10.1016/j.jsams.2007.12.010 

  7. Priplata AA, Patritti BL, Niemi JB, Hughes R, Gravelle DC, Lipsitz LA, Veves A, Stein J, Bonato P, Collins JJ, "Noise-enhanced balance control in patients with diabetes and patients with stroke", Ann Neurol, Vol. 59, No. 1, pp. 4-12, 2006. DOI: http://dx.doi.org/10.1002/ana.20670 

  8. Bjordal JM, Johnson MI, Ljunggreen A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can reduce postoperative analgesic consumption. A meta-analysis with assessment of optimal treatment parameters for postoperative pain", Eur J Pain, Vol. 7, No. 2, pp. 181-188, 2003. DOI: http://dx.doi.org/10.1016/S1090-3801(02)00098-8 

  9. Ridding MC, Brouwer B, Miles TS, Pitcher JB, Thompson PD, "Changes in muscle responses to stimulation of the motor cortex induced by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in human subjects", Exp Brain Res, Vol. 131, No. 1, pp. 135-143, 2000. DOI: http://dx.doi.org/10.1007/s002219900269 

  10. Tinazzi M, Zarattini S, Valeriani M, Romito S, Farina S, Moretto G, Smania N, Fiaschi A, Abbruzzese G, "Long-lasting modulation of human motor cortex following prolonge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f forearm muscles: evidence of reciprocal inhibition and facilitation", Exp Brain Res, Vol. 161, No. 4, pp. 457-464, 2005. DOI: http://dx.doi.org/10.1007/s00221-004-2091-y 

  11. Perennou DA, Leblond C, Amblard B, Micallef JP, Herisson C, Pelissier JY, "Transcutaneous electric nerve stimulation reduces neglect-related postural instability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Vol. 82, No. 4, pp. 440-448, 2001. DOI: http://dx.doi.org/10.1053/apmr.2001.21986 

  12. Maurer C, Mergner T, Bolha B, Hlavacka F, "Human balance control during cutaneous stimulation of the plantar soles", Neurosci Lett, Vol. 302, No. 1, pp. 45-48, 2001. DOI: http://dx.doi.org/10.1016/S0304-3940(01)01655-X 

  13. Collins JJ, Priplata AA, Gravelle DC, Niemi J, Harry J, Lipsitz LA, "Noise-enhanced human sensorimotor function", IEEE Eng Med Biol Mag, Vol. 22, No. 2, pp. 76-83, 2003. DOI: http://dx.doi.org/10.1109/MEMB.2003.1195700 

  14. Nnoaham KE, Kumbang J,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for chronic pain", Cochrane Database Syst Rev, 3, p. CD003222, 2008. 

  15. Chesterton LS, Foster NE, Wright CC, Baxter GD, Barlas P, "Effects of TENS frequency, intensity and stimulation site parameter manipulation on pressure pain thresholds in healthy human subjects", Pain, Vol. 106, No. 1-2, pp. 73-80,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304-3959(03)00292-6 

  16. Garrison DW, Foreman RD,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n spontaneous and noxiously evoked dorsal horn cell activity in cats with transected spinal cords", Neurosci Lett, Vol. 216, No. 2, pp. 125-128, 1996. DOI: http://dx.doi.org/10.1016/S0304-3940(96)13023-8 

  17. Milsom I, Hedner N, Mannheimer C,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high-intensity transcutaneous nerve stimulation and oral naproxen on intrauterine pressure and menstrual pain in patients with primary dysmenorrhea", Am J Obstet Gynecol, Vol. 170, No. 1 Pt 1, pp. 123-129, 1994. 

  18. Nichols DS, Glenn TM, Hutchinson KJ, "Changes in the mean center of balance during balance testing in young adults", Phys Ther, Vol. 75, No. 8, pp. 699-706, 1995. 

  19. Iverson BD, Gossman MR, Shaddeau SA, Turner ME, Jr., "Balance performance, force production, and activity levels in noninstitutionalized men 60 to 90 years of age", Phys Ther, Vol. 70, No. 6, pp. 348-355, 1990. 

  20. Toda T, Hayashi H, "The inhibitory effect of substance P antagonist, CP-96,345, on the late discharges of nociceptive neurons in the rat superficial spinal dorsal horn", Neurosci Lett, Vol. 158, No. 1, pp. 36-38, 1993. DOI: http://dx.doi.org/10.1016/0304-3940(93)90606-L 

  21. Richardson KA, Imhoff TT, Grigg P, Collins JJ, "Using electrical noise to enhance the ability of humans to detect subthreshold mechanical cutaneous stimuli", Chaos, Vol. 8, No. 3, pp. 599-603, 1998. DOI: http://dx.doi.org/10.1063/1.166341 

  22. Mannheimer JS, "Electrode placements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Phys Ther, Vol. 58, No. 12, pp. 1455-1462, 1978. 

  23. Hiraoka K, "Neural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in humans", Electromyogr Clin Neurophysiol, Vol. 42, No. 6, pp. 359-366, 2002. 

  24. Binder-Macleod SA, Halden EE, Jungles KA, "Effects of stimulation intensity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human motor units", Med Sci Sports Exerc, Vol. 27, No. 4, pp. 556-565, 1995. DOI: http://dx.doi.org/10.1249/00005768-199504000-00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