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itamin E Acetate를 함유한 Nano-emulsion 제조와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Vitamin E Acetate의 경표피 흡수에 관한 In Vitro 연구
Preparation of Vitamin E Acetate Nano-emulsion and In Vitro Research Regarding Vitamin E Acetate Transdermal Delivery System which Use Franz Diffusion Cell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5 no.2, 2009년, pp.91 - 101  

박수남 (서울산업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김재현 (서울산업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양희정 (서울산업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원보령 (서울산업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안유진 (서울산업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강명규 (서울산업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과 의약품 분야에서 항산화 물질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용성 비타민인 vitamin E acetate (VEA, tocopheryl acetate)를 이용한 스킨토너 제형의 나노 입자 크기의 에멀젼을 제조하고, 이 에멀젼을 이용해 ICR outbred albino mice (12주령 약 50 g, 암컷) 피부로의 VEA 침투와 receptor phase 조성에 따른 VEA의 용해도 차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VEA를 0.07 wt% 함유한 nano-emulsion의 입자는 에탄올(ethanol, EtOH) 함량이 많을수록 그 크기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고 계면활성제 함량이 많은 경우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Receptor phase에서 적절한 EtOH 함량이 VEA의 용해도를 증가시켰다. EtOH 함량이 5.0, 40.0 wt%인 경우보다 10.0, 20.0 wt% 일 때 VEA의 용해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Receptor phase의 계면활성제 종류 역시 VEA 용해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학구조와 HLB값이 다른 세 가지 계면활성제를 비교한 결과 sorbitan sesquioleate (Arlacel 83; HLB 3.7) > POE (10) hydrogenated castor oil (HCO-10; HLB 6.5) > sorbitan monostearate (Arlacel 60; HLB 4.7)순으로 VEA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하였다. Receptor phase에 첨가된 산화 방지제 종류에 따라서도 VEA의 용해도는 차이를 보였다. Ascorbic acid를 함유한 시료는 EDTA-2Na가 첨가된 시료보다 VEA 용해도가 높았고 이 두 가지 산화방지제를 혼합한 시료와 초기에 비슷한 용해도를 보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양상이 달라져 최종 24 h 뒤에는 2배 정도의 높은 용해도를 보였다. 네 가지 다른 함량의 VEA 함유 nano-emulsion을 이용하여 쥐 피부 Franz diffusion cell 실험을 수행한 결과 EtOH 함량이 10.0 wt%인 경우에 128.8 ${\mu}g/cm^2$으로 VEA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이것은 초기 VEA 투입량인 220.057 ${\mu}g/cm^2$과 비교하여 58.53 %가 투과된 것으로 EtOH 함량이 1.0, 20.0 wt%인 에멀젼과 비교해 볼 때 각각 45 %, 15 %씩 높았다. 동일한 EtOH 농도로 제조한 에멀젼과 비교했을 때, 0.5 wt%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에멀젼의 입자 크기는 계면활성제 0.007 wt% 에멀젼 입자 크기의 1/20 정도인 26.0 nm로 매우 작았다. 하지만 쥐 피부를 투과하는 VEA의 양은 54.848 ${\mu}g/cm^2$ 로 128.8 ${\mu}g/cm^2$ 의 투과량을 보인 0.007 wt% 계면활성제 함유 에멀젼보다 적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VEA를 함유한 nano-emulsion의 피부 투과도와 receptor phase 조성에 따른 VEA의 용해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이용하여 VEA를 피부 내로 침투시키는 데 필요한 최적의 조건을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osmetics and medical supply field as a antioxidant material. The stable nano particle emulsion of skin toner type containing VEA was prepared. To evaluate the skin permeation, experiments on VEA permeation to the skin of the ICR outbred albino mice (12 weeks, about 50 g, female) and on diff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타민 E의 최초 발견은? 비타민 E (α-tocopherol)는 1922년 Evans와 Bishop에 의해 쥐의 대사에 필수적인 요소로 최초 발견되었다[1]. 비타민 E가 발견된 이래로 80년이 넘는 오랜 기간 동안 비타민 E의 잠재 기능이나 거동, 높은 생물학적 효능[2]에 있어서 광범위한 관점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천연의 비타민 E가 갖고 있는것은? 천연의 비타민 E는 α, β, γ, 그리고 δ-토코페롤(tocopherol)의 네 가지 토코페롤과 이에 대응하는 네 가지 토코트리에놀(α, β, γ, δ-tocotrienols)의 총 8종의 이성질체를 갖는 지용성 비타민이다[2,4-7]. 천연 비타민 E 8종의 광학 이성질체 중 쥐에 대한 흡수작용과 유기체 내에서의 비타민 E 활성의 평가에서 생물학적 활성이 가장 큰 것은 천연의 R,R,R-α-토코페롤이라고 알려져 있다[8-1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는 어디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가? 비타민 E 아세테이트(vitamin E acetate, VEA)로도 잘 알려져 있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는 알파 형태인 C31H52O3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17]. 현재 VEA는 피부 크림과 같은 피부용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VEA는 그 자체로 페놀성 히드록실기가 방어되고 덜 산화적 산물을 제공하기 때문에 비타민 E를 대체하여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 M. Evans and K. S. Bishop, On the existence of a hitherto unrecognized dietary factor essential for reproduction, Science, 56, 650 (1922) 

  2. R. Brigelius-Floheand M. G. Traber, Vitamin E: function and metabolism, J. FASEB, 13(10), 1145 (1999) 

  3. R. Stocker and J. F. Keaney Jr., Role of oxidative modifications in atherosclerosis, Physiol. Rev., 84, 1381 (2004) 

  4. D. F. Counts, F. Skreko, J. McBee, and A. G. Wich, The effect of retinyl palmitate on skin composition and morphometry, J. Soc. Cosmetic Chemists, 39(4), 235 (1988) 

  5. B. Idson, Vitamins and the skin, Cosmet. Toilet, 108, 7992 (1993) 

  6. E. Herrera and C. Barbas, Vitamin E: action, metabolism and perspectives, J. Physiol. Biochem., 57(2), 43 (2001) 

  7. L. Packer, S. U. Weber, and G. Rimbach, Molecular aspects of alpha-tocotrienol antioxidant action and cell signalling, J. Nutr., 131(2), 369 (2001) 

  8. S. N. Park,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3, 75 (1997) 

  9. H. Moller, A. Ansmann, and S. Wallat, The effects of vitamin E on the skin in topical applications, Fat. Sci. Technol., 8, 295 (1989) 

  10. M. J. Fryer, Evidence for the photoprotective effects of vitamin E, Photochem. Photobiol., 58, 304 (1993) 

  11. M. G. Traber and J. Atkinson, Vitamin E, antioxidant and nothing more, Free Radic. Biol. Med., 43(1), 4 (2007) 

  12. X. Wang and P. Quinn, Vitamin E and its function in membranes, Prog. Lipid Res., 38(4), 309 (1999) 

  13. R. Brigelius-Floh $\'{e}$ , Vitamin E: the shrew waiting to be tamed, Free Radic. Biol. Med., 46(5), 543 (2009) 

  14. K. Briviba and H. Sies, Peroxynitrite does not decompose to singlet oxygen ( $^{1}O_2$ ) and nitroxyl (HNO), FEBS Lett., 355, 287 (1994) 

  15. S. Clough, A. Heidemann, and H. Kraxenberger, Torsional relaxation of methyl-group nuclear-spinsymmetry species, Phys. Rev. Lett., 42, 1298 (1979) 

  16. H. Niki, P. D. Maker, C. M. Savage, and L. P. Breitenbach, Fourier transform infrared study of the kinetics and mechanism for the reaction of hydroxyl radical with formaldehyde, J. Phys. Chem., 88, 5342 (1984) 

  17. G. M. Beijersbergen van Henegouwen, H. E. Junginger, and H. de Vries, Hydrolysis of R,R,R-alpha-tocopheryl acetate (vitamin E acetate) in the skin and its UV protecting activity (an in vivo study with the rat), J. Photochem. Photobiol. B., 29(1), 45, (1995) 

  18. S. Shahriar, Nanoemulsion formation by phase inversion emulsification: on the nature of inversion, Langmuir, 22, 5597 (2006) 

  19. J. S. Kim, D. H. Kwon, D. H. Lim, G. S. Kim, and C. Y. Kang, in vitro study of transdermal delivery system for caffein in slim patch type, J. Kor. Pharm. Sci., 36(2), 97 (2006) 

  20. D. W. Nierenberg, D. C. Lester, and T. A. Colacchio, Determination of tocopherol and tocopherol acetate concentrations in human fece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aphy, 2(413), 79 (1987) 

  21. X. Qingyi, N. Mitsutoshi, N. Hiroshi, I. Satoshi, and L. Xinqi, The effects of ethanol content and emulsifying agent concentration on the stability of vegetable oil-ethanol emulsions, J.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12(78), 1185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