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강섬유의 표면처리에 따른 섬유보강 고강도콘크리트와 CFRP 보강근의 부착특성
Bond Properties of CFRP Rebar in Fiber 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with Surface Treatment Methods of Reinforcing Fibers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1 no.3, 2009년, pp.275 - 282  

박찬기 (공주대학교 지역건설공학) ,  원종필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차상선 (공주대학교 지역건설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CFRP 보강근과 고강도콘크리트의 부착강도에 미치는 보강섬유의 표면처리 방법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표면을 친수성 물질로 코팅된 구조용 PVA 섬유 및 기하학적 변형으로 변형된 절곡형 폴리올레핀계 구조용 합성섬유를 보강섬유로 사용하였다. 섬유의 표면처리 방법에 따른 고강도콘크리트의 강도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압축강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고강도콘크리트와 CFRP 보강근 사이의 부착특성은 직접 부착강도시험을 의하여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는 섬유의 표면처리 방법은 고강도콘크리트와 CFRP 보강근 사이의 부착거동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고강도콘크리트에 섬유의 첨가는 할렬균열의 발생 및 성장을 조절함으로써 고강도콘크리트와 CFRP 보강근 사이의 부착거동, 부착강도 및 상대부착강도의 증가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surface treatment method of reinforcing fiber on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rebar (CFRP rebar) and high strength concrete have been evaluated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PVA fiber is coated with a proprietary hydrophobicoiling agent and crimped ty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콘크리트 내에서 역학적 거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하학적변형을 한 보강섬유와 화학적 부착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표면을 친수성 처리한 보강섬유를 적용하여 표면처리 방법이 고강도콘크리트와 CFRP 보강근의 부착거동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콘크리트와 CFRP 보강근의 부착 거동에 미치는 표면처리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표면을 기하학적으로 변형시킨 절곡형 폴리올레핀계 구조용 합성섬유와 표면을 친수성처리한 구조용 PVA섬유를 사용한 Table 3과 같은 고강도콘크리트 배합을 실시하였다. 섬유의 사용량은 체적비로 1%를 적용하여 절곡형 폴리올레핀계 구조용 합성섬유와 표면친수성 처리 구조용 PVA 섬유를 각각 9 kg/m3 및 12.
  •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콘크리트의 취성적 성질과 FRP 보강근의 부착파괴 원인이 되는 할렬균열의 발생 및 파괴를 억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보강섬유의 표면처리방법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부착성능 향상을 위하여 표면형상 변화에 의한 역학적 부착성능 향상을 도모한 절곡형 폴리올레핀계 구조용 합성섬유와 표면을 친수성 물질로 처리함으로써 화학적 부착성능을 향상시킨 구조용 PVA 섬유를 적용하였다.
  •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고강도콘크리트의 강도영향을 최소화하고 섬유의 효과만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대부착 강도 개념을 본 연구에서는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Xial19)이 제안한 식 (2)를 이용하여 상대부착강도의 계산을 하였다.

가설 설정

  • 고강도콘크리트와 FRP 보강근 및 보강철근의 부착거동은 콘크리트의 할렬균열에 의하여 파괴되는 거동을 보여주고 있다.8) 할렬파괴의 주요원인은 리브가 콘크리트에 쐐기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할렬균열이 발생하여 파괴가 발생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성섬유의 경우 콘크리트와 부착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합성섬유의 경우 콘크리트와 부착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방법으로는 섬유의 표면형상을 변화시켜 콘크리트와 역학적 부착성능을 증가시키는 방법과 섬유의 표면을 친수성 물질로 처리하여 부착성능을 증가시키는 화학적 처리방법이 있다.10,11) 섬유표면의 기하학적 변형을 통한 부착성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섬유인 절곡형 (crimped type) 폴리올레핀계 섬유가 있으며, 표면을 친수성 물질로 처리하여 부착성능을 향상시킨 화학적 처리방법의 대표적인 섬유로 직선형의 구조용 PVA섬유가 있다.
보강철근의 부식을 극복하기 위한 재료는? 최근 들어 보강철근의 부식에 대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섬유보강 폴리머 보강근 (fiber reinforced polymer rebar, FRP 보강근)이 개발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 적용하 기 위한 연구와 검토가 증가하고 있다.1) 콘크리트구조물의 인장보강재로서 FRP 보강근은 경량이고 인장강도가 큰 장점과 혹독한 환경 조건에 노출되었을 경우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FRP 보강근의 장점은? 최근 들어 보강철근의 부식에 대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섬유보강 폴리머 보강근 (fiber reinforced polymer rebar, FRP 보강근)이 개발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 적용하 기 위한 연구와 검토가 증가하고 있다.1) 콘크리트구조물의 인장보강재로서 FRP 보강근은 경량이고 인장강도가 큰 장점과 혹독한 환경 조건에 노출되었을 경우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경량이며 인장강도가 크고, 부식에 대한 우려가 없다는 특성은 대형화, 장대화, 초고층화되어 가는 현대 콘크리트구조물의 특성을 고려할 때 자중 및 단면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재료로 적용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CI Report 440R, “State-of-the-Art Report on Fiber Reinforced Plastic Reinforcement for Concrete Structure,” American Concrete Institute Committee 440, 1996, pp. 1-30 

  2. 원종필, 박찬기, 김황희, 이상우, “강섬유 혼입률에 따른 고강도콘크리트와 GFRP 보강근의 부착특성,”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7권, 2A호, 2007, pp. 265-270 

  3. Mazloom, M., Ramezanianpour, A. A., and Brooks, J. J., “Effect of Silica Fum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26, 2004, pp. 37-357 

  4. Shannag, M. J., “High Strength Concrete Containing Natural Pozzolan and Silica Fum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22, 2002, pp. 399-406 

  5. Chan, Y. W., Chu, S. H., “Effect of Silica Fume on Steel Fibre Bond Characteristics in Reactive Powder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4, 2004, pp. 1167-1172 

  6. Reda, M. M., Shrive, N. G., and Gillott, J. E., “Microstructural Investigation of Innovative UHPC,”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9, 2002, pp. 323-329 

  7. Bonneau, O., Vernet, C., Moranville, M., and Aitcin, P., “Characterization of the Granular Packing and Percolation Threshold of Reactive Powder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0, 2000, pp. 1861-1867 

  8. Won, J. P., Park, C. G., Kim, H. H., Lee, S. W., and Won, C., “Bond Behavior of FRP Reinforcing Bars in High-Strength Steel fibre-Reinforced Concrete,” Polymers & Polymer Composites, Vol. 15, No. 7, 2007a, pp. 569-578 

  9. Won, J. P., Park, C. G., Kim, H. H., Lee, S. W., and Jang, C. I., “Effect of Fibres on the Bonds between FRP Reinforcing Bars and High-Strength Concrete,”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Vol. 39, No. 7, 2007, pp. 747-755 

  10. Sahmaran, M. and Li, V. C., “Durability of Mechanically Loaded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under Highly Alkaline Environment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30, No. 2, 2008, pp. 72-81 

  11. 원종필, 임동휘, 박찬기, 한일영, 김방래, “구조용 합성섬유의 최적형상함수 결정,”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2002, 14권, 4호, pp. 474-482 

  12. 박찬기, 원종필, 이상우, 김종옥, “구조용 폴리비닐알코올섬유보강 고강도 콘크리트와 탄소섬유 보강 폴리머 보강근의 부착강도,”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civil expo 대전, 2008. 10, pp. 1452-1455 

  13. ACI Report 440H,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Concrete Reinforced with FRP Bars,” American Concrete Institute Committee 440, 2000, pp. 10-30 

  14. Somboonsong, W., Harris, H. G., and Ko, K., “Ductile Hybrid Fibre Reinforced Plastic Reinforcing Bar for Concrete Structures: Design Methodology,” ACI Materials Journal, Vol. 95, No. 6, 1998, pp. 655-666 

  15. Won, J. P. and Park, C. G., “Effect of Environmental Exposure on the Mechanical and Bonding Properties of Hybrid FRP Reinforcing Bars for Concrete Structures,” Journal of Composite Materials, Vol. 40, No. 12, 2006, pp. 1063-1076 

  16. 원종필, 박찬기, “촉진 열화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보강용 고연성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의 부착 특성,”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4권, 5A호, 2004, pp. 969-979 

  17. Vijay, P. V., Aging and Design of Concrete Members Reinforced with GFRP Bars,” PhD. Thesis,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West Virginia University, Morgantown, West Virginia, USA, 1990, pp. 100-168 

  18. Soroushian, P., Ravanbakhsh, S., and Nagi, M. A., “Laboratory Evaluation and Field Application of Concrete Reinforcement with Aramid Fiber-Reinforced Polymer Bars,” ACI Materials Journal, Vol. 99, No. 6, 2002, pp. 6, 584-590 

  19. Xial, J. and Falkner, H., “Bond Behavior between Recycled Aggregate Concrete and Steel Rebar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1, 2007, pp. 395-401 

  20. Cosenza, E., Manfredi, G., and Realfonzo, R., “Behavior and Modeling of Bond of FRP Rebar to Concrete,” Journal of Composite Construction, 1987, Vol. 1, No. 2, pp. 40-45 

  21. Tepers, R., “Cracking of Concrete Cover along Anchored Deformed Reinforcing Bars,”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Vol. 31, No. 6, 1979, pp. 3-12 

  22. 변도균, 신현묵, 문제길, 철근콘크리트, 제10판, 동명사, 2008, pp. 194-1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