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질 보강근 및 섬유와 함께 보강된 FRP 보강근 보강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
Flexural Behavior of FRP Bar Reinforced HSC Beams with Different Types of Reinforcing Bar and Fiber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3 no.3, 2011년, pp.273 - 280  

양준모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신현오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민경환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윤영수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질 보강근의 조합 및 섬유의 혼입을 변수로 한 10개의 고강도 콘크리트 보를 제작하고 구조 실험을 수행하고 균열 후 강성, 처짐, 균열 양상, 연성에 대한 거동을 살펴보았다. 6개 부재는 철근, CFRP 보강근, GFRP 보강근의 조합으로 2단 휨 배근되었고, 4개 부재는 CFRP 보강근 혹은 GFRP 보강근으로만 2단 배근되고 강섬유 및 합성 섬유를 혼입하였다. FRP 보강근 내측에 철근을 처짐 및 균열 제어용으로 하이브리드 배근함으로써 FRP 보강근 보강 보의 낮은 강성, 큰 처짐, 낮은 연성, 깊은 균열 및 넓은 균열폭을 제어할 수 있었다. 또한, 섬유의 혼입을 통해 FRP 보강근 보강 보의 빠르고 깊은 균열이 제어되고 연성 및 내하력이 향상되었다. 섬유 혼입된 FRP 보강근 보강 콘크리트 부재 설계 시 섬유 혼입에 의해 증가된 콘크리트의 극한 압축 변형률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n high-strength concrete beam specimens, which have various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flexural reinforcement and short fibers were constructed and tested. Six beams were reinforced with two layers of steel, CFRP, and GFRP bar combinations. The other four beams were reinforced with two la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이질 보강근이 여러 열로 보강된 보에 대한 거동을 살펴보고, 또한 FRP 보강근 보강 보의 큰 변형 및 낮은 연성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총 10개의 고강도 콘크리트 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고 균열 후 강성, 처짐, 균열 양상, 연성 등에 대한 거동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7은 모든 실험체의 사용 하중에서의 균열 양상을 도시하고 있다. FRP 보강근 보강 부재의 설계는 처짐과 균열의 지배를 주로 받는 것을 감안하여 사용 하중은 56 kN (0.33Mn)으로 가정하였다. Fig.
  • 9). 또한, 극한 하중의 80%로 하중이 감소된 지점을 파괴점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RP 보강근의 탄성계수는 다른 보강근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FRP 보강근의 탄성계수는 철근의 탄성계수보다 작다. CFRP(carbon FRP) 보강근의 경우가 약 120~150 GPa의 탄성계수를 가지고 있어 철근의 경우와 가장 작은 차이가 나고, AFRP(aramid FRP) 보강근과 GFRP(glass FRP) 보강근의 경우는 탄성계수가 약 35~50 GPa로서 철근의 탄성계수 200 GPa과 4배 이상의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FRP 보강근의 작은 탄성계수로 인해 FRP 보강근 보강 보는 동일 보강근 비를 가지는 철근 보강 콘크리트 보 보다 더 큰 처짐 및 균열폭을 가지게 되고, 이 큰 처짐 및 균열폭은 사용 한계 상태에 대해 반드시 검토되어야만 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 사용되는 철근의 대체재로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 사용되는 철근의 대체재로 FRP(fiber reinforced polymer) 보강근을 사용하려는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비부식성을 가진 FRP 보강근이 철근의 부식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FRP 보강근 보강 보의 취성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철근은 항복강도 이후에 비탄성적으로 거동하는 반면 FRP 보강근은 파괴 시까지 완전 탄성 거동을 보이고 취성적으로 파괴되기 때문에 FRP 보강근 보강 콘크리트 보에서는 철근 보강 보와 같은 연성 파괴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FRP 보강근 보강 보의 취성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압축 파괴가 FRP 보강근의 파단에 의한 파괴 이전에 선행되도록 설계(over-reinforced beam, 과대 보강근 보)하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설계 방법은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에서는 콘크리트의 취성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피하도록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Concrete Reinforced with FRP Bars," ACI 440.1R-06, Farmington Hills, MI, 2006, 44 pp. 

  2.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CSA), "Design and Construction of Building Components with Fibre Reinforced Polymers," CAN/CSA S806-02, Rexdale, Ont., Canada, 2002, 206 pp. 

  3.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JSCE), "Recommendation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Concrete Structures Using Continuous Fiber Reinforcing Materials," Concrete Engineering Series 23, A. Machida ed., Tokyo, Japan, 1997, 325 pp. 

  4. 이주하, 양준모, 윤영수, "2방향 슬래브의 성능 향상을 위한 집중 배근된 FRP 바의 적용,"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9권, 6호, 2007, pp. 727-734. 

  5. ASTM International, "Standard Test Method for Flexural Performance of Fiber-Reinforced Concrete (Using Beam with Third-Point Loading)," ASTM C1609-07, West Conshohocken, PA, 2007, 9 pp. 

  6. Morgan, D. R., Mindess, S., and Chen, L., "Testing and Specifying Toughness for Fiber Reinforced Concrete and Shotcrete," Proc., 2nd Univ.-Industry Workshop on Fiber- Reinforced Concrete and Other Advanced Composites- Fiber-Reinforced Concrete-Modern Developments, N. Banthia and S. Mindess, ed., Toronto, 1995, pp. 29-50. 

  7. Aiello, M. A. and Ombres, L., "Structural Performances of Concrete Beams with Hybrid (Fiber-Reinforced Polymer- Steel) Reinforcements,"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Vol. 6, No. 2, 2002, pp. 133-140. 

  8. Rashid, M. A., Mansur, M. A., and Paramasivam, P., "Behavior of Aramid Fiber-Reinforced Polymer 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Beams under Bending,"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Vol. 9, No. 2, 2005, pp. 117-127. 

  9. Rafi, M. M., Nadjai, A., and Ali, F., "Experimental Testing of Concrete Beams Reinforced with Carbon FRP Bars," Journal of Composite Materials, Vol. 41, No. 22, 2007, pp. 2657-2673. 

  10. Theriault, M. and Benmokrane, B., "Effects of FRP Reinforcement Ratio and Concrete Strength on Flexural Behavior of Concrete Beams,"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Vol. 2, No. 1, 1998, pp. 17-16. 

  11.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Design Considerations for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ACI 544.4R-88 (Reapproved 1999), Farmington Hills, MI, 1988, 18 pp. 

  12. Alsayed, S. H. and Alhozaimy, A. M., "Ductility of Concrete Beams Reinforced with FRP Bars and Steel Fibers," Journal of Composite Materials, Vol. 33, No. 19, 1999, pp. 1792-1806. 

  13. Naaman, A. E. and Jeong, S. M., "Structural Ductility of Concrete Beams Prestressed with FRP Tendons,"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RILEM Symposium (FRPRCS-2): Non-Metallic (FRP) for Concrete Structures, Ghent, Belgium, 1995, pp. 379-3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