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치과의원 환자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recognition, understanding of the use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in dental clinics patients원문보기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application of oral hygiene supplies among dental clinic patients in a bid to stress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he right awareness and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application of oral hygiene supplies among dental clinic patients in a bid to stress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he right awareness and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ultimately to help promote the oral health of people in general.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14 patients who visited dental clinics in North Jeolla Province in June 2009. Results : 1. Out of oral hygiene supplies, the largest number of the patients investigated(74.6%) were best cognizant of dental floss, and the greatest group(77.7%) had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use of toothpick. Currently, the oral hygiene supplies that were most widely in use were toothpicks(43.2%). 2. As to the relationship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application of oral hygiene supplies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50.0 percent of the patients who understood the use of toothpick found themselves to be in good health, and the gaps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ose who were aware of dental floss, the largest group(51.4%)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good shape, and in the event of those who understood the use of dental floss, the greatest group(49.2%) deemed themselves to be in good health. Out of those who understood the use of mouse rinse, the largest group(53.7%) thought they were in good health(p<0.05). 3. Recognition of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its use and whether to use it currently or not were identified as parents to use oral hygiene supplies recommended by dental clinics(p<0.05). 4. Recognition of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its use and whether to use it currently or not were identified as patients to use oral hygiene supplies recommended by dental clinics(p<0.05). 5. The largest group of those who didn't put dental floss to use didn't use it for other reasons unspecified in the questionnaire, and the second greatest group of them didn't use it since it was so onerous to do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ason why they didn't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p<0.05). 6. Awareness of dental floss and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the use of the two and whether to use the two at present or not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whether they were likely to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 in the future. And whether they were likely to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 in the fut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wareness of mouse rinse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of it as well(p<0.05). Conclusions : Dental hygienists have to provide patients with various data of oral hygiene devices through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n only patients caring in dental clinics can choose the appropriate devices to claim for their own disease.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application of oral hygiene supplies among dental clinic patients in a bid to stress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he right awareness and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ultimately to help promote the oral health of people in general.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14 patients who visited dental clinics in North Jeolla Province in June 2009. Results : 1. Out of oral hygiene supplies, the largest number of the patients investigated(74.6%) were best cognizant of dental floss, and the greatest group(77.7%) had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use of toothpick. Currently, the oral hygiene supplies that were most widely in use were toothpicks(43.2%). 2. As to the relationship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application of oral hygiene supplies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50.0 percent of the patients who understood the use of toothpick found themselves to be in good health, and the gaps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ose who were aware of dental floss, the largest group(51.4%)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good shape, and in the event of those who understood the use of dental floss, the greatest group(49.2%) deemed themselves to be in good health. Out of those who understood the use of mouse rinse, the largest group(53.7%) thought they were in good health(p<0.05). 3. Recognition of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its use and whether to use it currently or not were identified as parents to use oral hygiene supplies recommended by dental clinics(p<0.05). 4. Recognition of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its use and whether to use it currently or not were identified as patients to use oral hygiene supplies recommended by dental clinics(p<0.05). 5. The largest group of those who didn't put dental floss to use didn't use it for other reasons unspecified in the questionnaire, and the second greatest group of them didn't use it since it was so onerous to do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ason why they didn't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p<0.05). 6. Awareness of dental floss and interdental brush, understanding of the use of the two and whether to use the two at present or not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whether they were likely to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 in the future. And whether they were likely to use the oral hygiene supplies in the fut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wareness of mouse rinse and understanding of the use of it as well(p<0.05). Conclusions : Dental hygienists have to provide patients with various data of oral hygiene devices through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n only patients caring in dental clinics can choose the appropriate devices to claim for their own diseas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자는 전북지역의 치과의원에 내원한 치과환자를 중심으로 구강위생용품의 인지도와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구강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올바른 인지와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강건강에 불편함이 있어 치과의원에 내원하고 있는 환자를 중심으로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와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각 개인이 구강내 치면세균막을 관리하는 방법 중 칫솔질이 가장 효과적이나 칫솔질만으로 완벽하게 관리할 수 없으며, 특히 치간에 있는 치면세균막을 제거하기는 더욱 어렵다.
본 연구는 2009년 6월 전북지역 치과의원을 내원한 환자 314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올바른 인지와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 필요성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구강위생용품의 인지도와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를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제안 방법
전북지역 치과의원을 방문한 환자에게 치과위생사가 연구 목적을 설명한 후 설문을 자기기입식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구강환경관리용품 사용실태 조사에 관한 설문항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2,3,5,15).
전북지역 치과의원을 방문한 환자에게 치과위생사가 연구 목적을 설명한 후 설문을 자기기입식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구강환경관리용품 사용실태 조사에 관한 설문항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2,3,5,15). 설문의 내용은 일반적인 특성 6문항과 구강위생용품 인지도와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에 따른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의 내용은 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구강환경관리용품 사용실태 조사에 관한 설문항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2,3,5,15). 설문의 내용은 일반적인 특성 6문항과 구강위생용품 인지도와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에 따른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전북지역 치과의원을 방문한 환자 중 비확률표본추출법인 편의추출법에 의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이 완료된 400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86부를 제외한 314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데이터처리
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구강위생용품 인지도와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에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X2 분포를 따르는 교차분석법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판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0.05로 고려하였다.
성능/효과
치과에 내원한 환자가 구강위생용품을 인지하는 경우는 치실 74.6%, 전동칫솔 64.4%, 양치용액 61.0% 순으로 나타났으며, 용도이해는 이쑤시개가 77.7%, 전동칫솔 64.8%, 양치용액 59.8%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사용률이 가장 높은 구강위생용품은 이쑤시개 43.
8%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사용률이 가장 높은 구강위생용품은 이쑤시개 43.2%, 치실 38.0% 순이었으며, 가장 낮은 구강위생용품으로 전동칫솔이 8.3% 나타났다(표 2).
구강위생용품 인지도, 용도이해, 사용실태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을 살펴보면, <표 3>과 같다. 이쑤시개의 용도를 이해하는 환자에게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다 50.0%, 보통이다 30.3%, 건강하지 않다가 19.7%로 응답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5). 치실의 인지도와 용도를 이해하고 있는 경우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51.
치실의 용도이해에 따른 구강진료의 필요성은 필요하다 78.2%, 보통이다 17.9%, 필요하지 않다 3.9%로 응답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5). 그 외 구강위생용품 인지도와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에 따른 구강진료 필요성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보이지 않았다(표 4).
05). 그 외 구강위생용품 인지도와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에 따른 구강진료 필요성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보이지 않았다(표 4).
환자의 구강위생용품 인지도와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에 따른 미사용 동기는 치실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환자 중 26.6%는 사용하기 불편해서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5). 그 외 환자의 구강위생용품 미사용 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표 6).
치실을 인지하고 있는 74.3%와 치간칫솔을 인지하고 있는 75.8%가 ‘향후 사용 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치실의 용도를 이해하고 있는 73.7%와 치간칫솔의 용도를 이해하는 78.4%가 향후 사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5).
치간 청결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구강위생용품은 그 종류가 다양하며 용도에 따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치면세균막 관리와 청결 및 치은 마사지 등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16).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들에게 구강위생용품 중 이쑤시개, 치실, 치간칫솔, 전동칫솔, 양치용액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구강위생용품의 인지도와 용도이해 및 현재 사용 여부를 복수응답으로 빈도를 조사한 결과 치실의 인지도가 74.6%로 가장 높게 나타나, 김17)의 보고 74.1%와 유사하였다. 또한 구강위생용품 중 이쑤시개의 용도를 77.
측정이 간단한 주관적 구강건강 지표를 적극 이용하여 치과치료의 필요도를 탐색하거나, 치료결과의 평가에 적극 활용함이 바람직하지만 환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은 종종 임상가의 평가와 일치하지 않는다18). 구강위생용품 인지도와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을 살펴본 결과 주관적 구강건강이 건강하다고 한 환자의 경우 이쑤시개의 용도를 이해하는 환자가 50.0%, 치실의 인지도가 있는 환자 51.4%와 용도를 이해하고 있는 환자 49.2%, 양치용액에 대한 용도를 이해하는 있는 환자 53.7%로 나타났다. 이는 구강건강관리에 관심을 갖고 있는 환자가 구강위생용품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있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구강위생용품 인지도와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에 따른 구강진료 필요성을 살펴본 결과 치실의 용도를 이해한 환자는 구강진료의 필요성이 있다고 78.2%로 나타났으나, 기타 구강위생용품의 인지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구강진료실을 방문한 환자들이 치과진료 후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구강보건교육을 경험하면서 이루어진 결과라고 사료된다.
9%가 치실 사용법을 숙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정환자 40.7%, 치주질환자 26.9%, 인공치아매식환자 27.8%가 사용법을 숙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15)은 자신의 잇몸이나 치아 상태를 잘 파악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구강위생용품을 선택하는 인식 고취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향후 사용 가능성 여부에 대한 조사결과 치실을 인지하고 있는 환자 중 74.3%가, 치간칫솔을 인지하고 있는 환자 중 75.8%가, 치간칫솔의 용도를 이해한 환자 중 78.4%가, 치간칫솔을 현재 사용하는 환자 중 80.0%가 향후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할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양치용액을 인지하고있는 환자 중 72.
1. 구강위생용품 중 인지도는 치실이 7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용도이해는 이쑤시개가 77.7%로 가장 높았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것도 이쑤시개가 4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구강위생용품 인지도와 용도이해 및 사용실태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을 살펴보면, 이쑤시개의 용도를 이해하는 환자에게서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가 건강하다고 50.0%가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5). 치실의 인지도와 용도를 이해하고 있는 경우 건강하다가 51.
05). 치실의 인지도와 용도를 이해하고 있는 경우 건강하다가 51.4%와 49.2%로 조사되었으며, 양치용액에 대한 용도를 이해하는 경우 건강하다가 53.7%로 응답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5).
3. 구강위생용품 중 치실의 용도이해에 따른 구강진료의 필요성은 필요하다가 78.2%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5).
4. 치과에서 권장하여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게 된 환자들은 치간칫솔의 사용을 인지하고, 용도를 이해하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경우로 나타났다(p<0.05).
5. 구강위생용품 중 치실을 사용하지 않는 환자에 따른 구강위생용품 미사용 동기는 기타의 이유와 사용하기 불편해서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5).
6. 구강위생용품 중 치실과 치간칫솔의 인지도, 용도이해, 현재 사용에 따른 구강위생용품 향후 사용 가능성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5). 양치용액의 인지도와 용도이해에 따른 구강위생용품의 향후 사용 가능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
05). 치실의 인지도와 용도를 이해하고 있는 경우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51.4%와 49.2%로 나타났으며, 양치용액에 대한 용도를 이해하는 경우 건강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53.7%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5).
후속연구
또한, 예방적 차원의 구강위생관리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방법들을 폭넓게 교육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해 주어 다각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으로 구강보건교육 및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15). 그러기 위해서 향후 구강위생용품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구강상태에 따라 다양한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0%는 김3)의 보고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광고 혹은 상점의 판촉물, 음식점 내에 비치되어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인지도와 현재 사용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난 치간칫솔 및 인지도와 용도를 이해한 것에 비해 사용률이 저조한 전동칫솔 등을 대중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로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구강건강 인식은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학적 요인, 객관적 구강상태 요인, 구강보건의식행태 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8).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조사대상자를 전북지역의 치과의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여 확대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사료되며, 추후 치과진료실의 질환별 환자요구도와 측정된 가치관을 기초로 하여 구강위생용품 사용 실태에 따른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구강건강 인식은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학적 요인, 객관적 구강상태 요인, 구강보건의식행태 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8). 따라서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도가 구강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 구강위생용품 이용도나 중요성에 관한 향후 연구를 함으로써 구강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구강위생용품의 올바른 정보 제공과 계속관리에 의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국민의 치아발거의 주된 원인이 되는 구강병은 무엇인가?
구강건강은 전신건강의 일부로서, 구강건강상태가 불량할 때는 대인관계에도 제한을 받을 수 있다2,3). 우리나라 국민의 치아발거의 주된 원인이 되는 구강병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다4). 구강건강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강병의 발생요인이 되는 치면세균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야 한다5).
치면세균막이란 무엇인가?
구강건강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강병의 발생요인이 되는 치면세균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야 한다5). 치면세균막이란 치아표면의 점착성 당단백질 피막에 구강내 세균이 부착한 후 군락을 형성하여 치면의 일부를 덮고 있는 막을 말하며6) 치면세균막 관리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칫솔질이다7). 그러나 치간 부위는 치아배열과 인접한 치관 및 치조골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8), 적절한 형태를 이루지 못하면 위생관리가 어려워 치간유두의 기능뿐만 아니라 치주조직에도 중대한 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다9).
국민의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키기 위하여 구강위생용품에 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적극적인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심과 김11) 및 정등1)은 치간칫솔의 두부형태에 따라 치면세균막 제거율이 다르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등12) 과 윤 등13)은 전동칫솔을 사용하여 회전법으로 칫솔질을 시행할 경우 일반 칫솔 사용 보다 치면세균막 제거 및 치은염 완화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구강위생용품들의 올바른 사용법은 구강건강 향상에 기여할 수있으나 잘못된 인지와 사용법은 오히려 구강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10). 따라서 국민의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키기 위하여 구강위생용품에 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적극적인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14).
참고문헌 (19)
정미정, 신승철, 조자원. 고정성 치열교정 장치 장착치아에 대한 치간칫솔의 치면세균막 제거효과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7;31(4):602-610.
Heins PJ, Wieder SM. A histologic study of the width and nature of inter-radicular space in human adult pre-molars and molar. J Dent Res 1986;65:948-95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