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자기효능감, 외모관심, 외모만족,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계층적 연구
A Structural Study on Social Self-Efficacy, Appearance Concern, Body Cathexi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1 no.2, 2009년, pp.271 - 277  

이현옥 (경북대 의류학과) ,  구양숙 (경북대 장수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influence of Social Self-Efficacy, Appearance Concern, Body Cathexi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9 women aged for 20 to 50 living in Daegu. The questionnaires were conveniently sampled from Decem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회적 자기효능감, 외모관심, 외모만족, 외모관리 행동 서로 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해 보기위해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Fig. 1과 같은 연구모형을 개발하였고 각 구성개념들 간의 관련성에 대한 영향관계를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인간의 행동과 판단에 영향을 주고 자신감을 말하는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외모관심, 외모만족, 외모관리행동 간에는 밀접한 영향력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구조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가설의 체계적 검정을 위해 측정항목의 개념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 검정을 하였다. 먼저 각각의 요인들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측정항목들의 단일차원성을 분석하기위해 SPSS 14.
  •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자기효능감, 외모관심, 외모만족, 외모관리행동 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파악하고자 하며 이러한 연구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내면적 자신감과 외모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관련성에 대한 개념정리를 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외모관련 산업의 마케팅 전략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외모관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외모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외모관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 외모관심은 외모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 외모관심은 외모관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 외모만족은 외모관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사회에서 외모는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시대를 막론하고 아름다움에 대한 여성들의 욕망에는 변함이 없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외모는 자신을 표현하는 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외모에 대한 관리는 자신의 상품가치에 대한 경쟁력을 높이는 수단으로 생각되고 있다. 또한 외모는 객관적인 판단이 아닌 주관적인 판단으로 자신에 대한 자신감의 정도에 따라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또한 외모는 객관적인 판단이 아닌 주관적인 판단으로 자신에 대한 자신감의 정도에 따라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기효능감이란 사람들이 주어진 상황에서 자신이 맡은 일을 얼마나 잘 수행할수 있을지에 대한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자기효력감이라 고도 한다. 자기효능감은 인간의 행동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변인 중의 하나로써 특별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행동 들을 자신이 달성할 수 있다는 신념과 개인이 어떠한 일이나 행동에 대한 결과를 기대하여 수행해 나가는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이다(이태훈, 2005).
사회적 효능감이 외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기효능감과 신체만족도에 관련된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외모만족도가 높은 학생은 생활하는데 자신감이 있고 자기조절 능력이 있으며, 어려운 과제를 잘 수행할 수 있어 신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전준선, 2006). 외모 만족 수준이 높은 아동들이 외모만족 수준이 낮은 아동들보다 성취효능감, 사회효능감,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는데, 외모 만족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남에게 자신을 표현하는데 더 적극적이고 자신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자신의 현재 행동이나 미래행동, 과제수행에 대해 더 긍정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외모에 만족하는 경우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사회활 동에 적극적이며 안정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언숙, 2007). 이수정(2004)의 연구에서도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에서 신체상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정미자(2007)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신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효능감은 외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계수. (2004).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SPSS 아카데미. p.160 

  2. 김광경, 이금실, 정미실. (2001). 다차원적 신체이미지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2), 358-365 

  3. 김양진, 강혜원. (1992). 자아존중과 의복행동간의 상관 연구-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4(4), 305-331 

  4. 김은주. (1991).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고애란, 김양진. (1996). 청소년의 의복행동에 대한 자기중심성, 자의식, 신체만족도의 영향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4), 667-681 

  6. 권세혁. (2004). SAS, SPSS 활용 설문조사 분석. 자유아카데미. p.168 

  7. 문혜경, 유태순. (2001).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우울성향 및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의복태도와 화장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 51(5). 77-94 

  8. 윤소영. (2007). 여대생의 외모관리에 대한 의식 및 태도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명희, 이은실. (1997).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노년여성의 외모관심과 자신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6), 1072-1081 

  10. 이수정. (2004). 여대생의 대인불안, 자기효능감 및 신체상과의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이언숙. (2007). 초등학생의 외모만족과 성이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옥희. (1985). 노년기 여성의 의복선호와 의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태훈. (2005). 특기, 적성교육이 남자 중학생의 신체만족감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논문 

  14. 이현옥, 구양숙. (2006). 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의 동기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8(1), 113-122 

  15. 임숙자, 황선진, 이종남, 이승희. (2002). 현대의상사회심리학. 수학사. p. 200 

  16. 장미선. (2003). 청소년기 자녀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과 가족변인.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전용민. (2003). 여자 청소년의 영상매체 이용도, 사회적 가치와 의복 및 신체태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전준선. (2006).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간접적으로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미자. (2007).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가정환경, 신체만족도 및 공격성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조선배. (1996). 구조방정식모델. 영지문화사. p. 57-58 

  21. 차진희. (1994). Body Image, Genderlogy, 의복 性 정체감 사이의 상관관계 연구-대전,충남북 지역의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홍혜영. (1995).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게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2(84) 

  24. Cox, C.L., & Glick, W.H.(1986). Resume evaluations and cosmetics use: when more is not better. Sex Role, 14. 51-58 

  25. Fornell, C., & Larcker, D.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February), 39-50 

  26. Goffman, E.(1961). Identity kits In M.E. Roach & J. B. Eicher(Ed.), Dress, adornment, and the social order(p. 246).New York:John Wiley & Sons 

  27. Hair, Jr., J. F., Anderson, R.E., Tatham, R.L., & Black, W.C.(1995).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4th ed.). New Jersey: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pp 642-654 

  28. Kaiser, S.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N.Y:Macmillan Publishing Company, pp. 157-167 

  29. Myerson, L. (1971). Somatopsychology of physical disability In W.M. Cruickshank (Eds.), Psychology of exceptional childeren and Youth(pp. 1-74). Englewood cliffs, NJ:Prentice-Hall 

  30. Nunnally, J.C. (1967). Psychometric Theory(2nd ed). McGraw-Hill. 199-206 

  31. Sherer, M., Maddux, J.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ocobs, B., & Roger, R.W. (1982). The Self-efficacy scale: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51, 663-671 

  32. Zimmermanm, B. J., & Martinez-Pons, M. (1986). Development of asttuctured interview for asse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 614-6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