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편성물의 합사조건에 따른 역학특성과 드레이프성의 변화
Changes on Drap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eft Knitted Fabrics with Folded Yarn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1 no.3, 2009년, pp.460 - 464  

김미라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  전연희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  안승국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drap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with folded yarn conditions. The samples were knitted 100% cotton yarn with hand-knitting machine. Mechan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by Instron and Kawabata tester. Drapability was measured by Drape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시료의 특성 변수를 합사조건과 밀도로 하고 그 외의 조건은 동일하게 통제하여 시료를 제직하였다. 이에 따라 위편성물의 인장강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고찰해보고, 의복으로 많이 사용되어 지는 위편성물의 특징에 따라 외관상 형태와 직접적으로 연관 지을 수 있는 특성중의 하나인 드레이프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사수와 밀도에 따른 역학특성과 드레이프성을 알아보기 위해 면사를 단사와 2, 3 합사로 제직하였고 밀도를 2단계로 구분한 연구 결론은? 인장강도는 course보다 wale 방향이 더 높았고 대체적으로 밀도가 상대적으로 크고, 합사수가 많아질수록 높아졌다. 표면 특성은 밀도가 크고, 합사수가 많아질수록 마찰계수 값이 작게 나타났는데, 이는 구성사 간의 홈과, 표면의 요철이 보다 적게 형성되어 나타난 결과였다. 압축특성은 밀도가 크고, 합사수가 많아질수록 LC와 WC값은 감소하고 RC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압축력과 부피감이 좋아져서 나타난 결과였다. 드레이프율은 합사수가 많아질수록, 밀도가 커질수록 낮았는데 이것은 편사의 굵기가 가늘면 강도가 낮아지고, 굵으면 뻣뻣한 느낌이 들어 촉감과 드레이프성이 낮아진다고 생각되어 진다. 이에 따라, 드레이프성은 단사 직물이 2합사와 3합사 직물보다 더 좋았고, 합사수가 많아질수록 강도와 압축특성이 좋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편성물은 무엇에 따라 역학특성이 크게 변화할 수 있는가? 이에 따라 편성물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실용성, 쾌적성 또한 중요한 요소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쾌적성은 직물의 역학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편성물은 섬유의 종류, 편성 밀도, 편성구조, 구성사에 따라 역학특성이 크게 변화할 수 있다(Hallos et al, 1990). 일반적으로 편사의 굵기가 너무 굵게 되면 편성물의 촉감이 좋지 않고, 편사의 굵기가 너무 가늘어도 역학적 특성과 관계되어 물성이 좋지 않게 된다.
인장강도란? 인장강도는 일정폭을 구성하는 실들이 거의 동시에 절단되는 경우에 대한 저항력을 말한다.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강복춘, 박신웅, 이훈준. (1998). 면사의 번수와 꼬임수가 위편성물의 형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섬유공학회지, 35(12), 755-763 

  2. 권진, 권명숙. (2007). 위편성물에서 rib와 milan stitch의 편성결합이 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1(1), 68-76 

  3. 노의경, 유효선. (2007). 위편성물의 혼용률 및 편환장이 주관적 질감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1(7), 1128-1138 

  4. 박신웅, 강복춘, 황영구. (1995). 더블니트 위편성물의 역학적 특성과 태에 관한 연구, 한국섬유공학회지, 32(9), 859-868 

  5. 이덕래, 최경은. (1996). 면/마 혼방비율이 편성물의 드레이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섬유공학회지, 33(12), 1074-1082 

  6. 조혜진, 이원자. (2004). 편성조직이 위편성물의 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8(8), 1153-1164 

  7. 주정아, 주정아, 유효선. (2004). 위편성물 소재의 구성특성이 주관적 질감 및 감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8(11), 1516-1523 

  8. Knapton, J.J.F. (1969). Geometry of complex knitted structures, Textile research journal, 39(9), 889-892 

  9. Hallos, R.S., Burnip, M.S., & Weir, A. (1990). The handle of double jersey knitted fabric part : Polar profiles, Journal of the textile institute, 81(1), 15-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