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나라시대 지배계층의 여자복식
The Women's Costume of the Ruling Class on Nara Period of Japan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1 no.5, 2009년, pp.701 - 708  

이자연 (신라대학교 패션산업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women's clothes described in Gilsang-Cheonyeo-Sang in Nara period of Japan to gain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clothes of the ruling class women at that time. Gilsang-Cheonyeo-Sang was made in Nara period of Japan when Japan sent envoys and students to Tang, a dynas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603년 제정의 관위12계부터 693년 제정의 복제에는 대부분 남자복식에 한하고, 아스카시대에 제정된 것이기 때문에 본 장에서는 710년부터 전개되는 나라시대를 중심으로 전, 후에 제정된 율령 중, 나라시대의 제도가 가장 많이 반영되었다고 이해되고 있는 대보율령(大寶律令)과 양로령(養老令)의 복제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기로 한다.
  • 또한 머리에는 장식품으로 치장을 하고, 목과 팔에는 각각 목걸이와 팔찌를 하였으며, 어깨에 영건을 걸치고 발에는 운두가 있는 석을 신고 있다. 길상천녀상의 구성복식과 양상에 대하여 논의하기로 한다.
  • 여자의 경우 비교적 상세한 규정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는 대보율령과 양로령에 의한 복제라 할 수 있는데, 대보율령을 수정하여 새로이 영을 개정한 것이 양로령인 점을 고려하면 언급한 두 율령의 조문은 내용면에서 거의 차이가 없다(김문길, 1998)고 보아진다. 따라서 내용면에서 두 율령이 차이가 없다는 점, 양로령이 당의 율령을 참고로 일본의 실정에 맞게 제정한 점, 양로령의 제정과 유물의 제작시기가 동시대인 점 등을 고려하여 양로령의 여자 복제와 유물의 복식을 비교하여 길상천녀상의 복식의 근거를 밝힘과 동시에 나라시대 지배계층 여자복식의 양상에 관하여 유추하여 보기로 한다.
  • 따라서 본 장에서는 길상천녀상에 나타난 복식의 명확한 파악을 위해 당시 지배계층의 복식에 관하여 제정된 복제에 기록된 복식과 길상천녀상의 복식을 비교·분석하기로 한다.
  • 본 연구는 나라시대의 길상천녀상에 묘사된 여자복식의 분석을 통하여 당시 지배계층 여자복식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 연구한 것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나라시대에는 견당사와 유학승, 유학생을 중국에 파견하여 선진문물을 수용하고, 또한 주변민족과의 교류를 통하여 국제적 색채가 짙은 문화를 습득하는 등 대륙 문화의 유입으로 일본은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크게 발달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외래문화의 영향에 의한 것이라 추정되는 나라시대의 길상천녀상(吉祥天女像)에 묘사된 여자복식의 근거와 양상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이 시대 복식의 명확한 이해를 높이고, 동시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가의 복식연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함에 그 목적을 둔다.
  • 본 장에서는 복제에 나타난 복식과 유물자료인 길상천녀상에 묘사된 복식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길상천녀상에 묘사된 복식의 근거와 특성에 관하여 파악하기로 한다.
  • 이와 같은 상반된 논의의 규명을 위하여 필자는 더하여진 구성복식의 논의와 함께 길상천녀상에 묘사된 복식의 근거에 관하여 파악하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에 있어 나라[奈良]시대는 어떤 시대로 이해되고 있는가? 일본에 있어 나라[奈良]시대는 한반도를 비롯한 당나라와의 활발한 외교로 인하여 불교, 건축, 조각 회화 음악 등 다방면에 걸쳐 새로운 문화가 들어오기 시작한 시대로 이해되고 있다. 즉, 이 시대에는 국가 지도자가 적극적으로 대륙의 문물을 수입하여 정치 사회면에서 새로운 국가체제를 창건하였고 정신 생활면에서는 불교의 수용과 그 융성에 열의를 쏟았던 시기였다.
나라시대의 수도는 어디인가? 율령제도로 행정적 기반을 다졌던 일본 고대국가는 이를 더 확고하게 하기위해 수도를 헤이죠오쿄오[平城京]로 천도를 하고, 이후 도읍인 나라[奈良]를 중심으로 정치가 펼쳐진 80여년간을 나라시대라 한다.
나라시대에는 어떻게 국제적 색채가 짙은 문화를 습득하였는가? 이 시기의 정치, 외교, 문화적인 면을 살펴보기로 하면, 우선 대외관계에서 630년부터 견당사를 파견하기 시작하여 중국의 선진문물을 수용하였으며, 특히 유학생과 유학승을 동반한 견당사는 중국의 주변민족 및 인도, 사라센, 서유럽 등지의 사람들과 교류하는 등 각종 문물을 직접 접함으로서 국제적 색채가 짙은 문화를 습득하기에 이르렀다. 견당사와 유학생들은 이러한 외국의 문물을 접함으로서 견문을 넓히는 한편 선진문물을 일본국내에 들여와 종래의 것과는 다른 문화를 전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문길. (1998). 일본역사와 문화. 서울: 형설출판사, p. 55 

  2. 김영숙. (1999).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도서출판 미술문화 

  3. 이자연. (2006). 복제를 통하여 본 일본 아스카·나라시대의 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5), 523-529 

  4. 이자연. (2008). 일본 지배계층 복식의 변화와 양상. 한복문화, 11(3), 85-94 

  5. 이정옥, 남후선, 권미정, 전현선. (2000). 중국복식사. 서울: 형설출판사, p. 147 

  6. 박동석, 박진우, 최영호. (2000). 일본역사와 정치 그리고 문화. 서울: 좋은날, pp. 46-49 

  7. 최순우, 정양모, 안휘준, 김종태, 이성미, 허영환. (1993). 월드아트콜렉션. 서울: 삼성출판사, p. 146 

  8. 北村哲郞. (1999). 일본복식사 (이자연 역). 서울: 경춘사. (1992) 

  9. 井筒雅風. (2004). 일본여성복식사 (이자연 역). 서울: 경춘사. (원저 1986 출판) 

  10. 華梅. (2008). 복식 (김성심 역). 서울: 도서출판 대가. (2004) 

  11. 相川佳予子. (1984). 服裝史. 東京: 相川書房, p. 124 

  12. 北村哲郞. (1992). 日本服飾史. 東京: 衣生活硏究會, p. 34, p. 40 

  13. ?根?隆. (1974). 奈良朝服飾の硏究. 東京: 吉川弘文館, p. 62, p.66, p. 3, p.63, pp.12-13, p171 

  14. 井筒雅風. (1989). 日本女性服飾史. 京都: 光林社, p. 33, p. 32. p.44 

  15. 大沼淳. (1986). 服飾辭典. 東京: 文化出版局, p. 684 

  16. 田中陽子. (1999). 藥師寺吉祥天女像の服飾に關する一考察.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stume. 16, 55-67 

  17. 杉本正年. (1979). 東洋服裝史論攷. 東京: 文化出版局, p. 292 

  18. 沈從文. (1981). 中國古代服飾硏究. 香港: 中華商務聯合印刷, p. 272 

  19. 周錫保. (1986). 中國古代服飾史. 北京: 中國戱劇出版社, p. 254 

  20. 段文傑. (1988). 中國美術全集 敦煌壁畵 (上). 上海: 人民出版社, p. 287 

  21. 諸葛鎧. (2007). 文明的輪回. 北京: 中國紡織出版社, p. 3 

  22. 華梅. (2005). 中國服裝史.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56, p. 13, p. 1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