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품종별 들깻잎 열수추출물의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의 함량 및 항산화력 비교
Quantification of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3 = no.205, 2009년, pp.302 - 306  

이현순 (고려대학교 식품공학부) ,  이현아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  홍충의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  양성용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  홍성유 ((주)바이오버드) ,  박상률 (밀양시 농업기술센터) ,  이호정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  이광원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품종별 들깻잎의 기능성 건강식품에 항산화력 측정과 생리활성물질인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의 함량 분석을 통하여 항산화관련 기능성 식품소재에 적합한 들깻잎의 품종을 찾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분쇄한 각 품종별 들깻잎을 환류 추출하여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한 물질을 각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보라들깨와 동글2호가 각각 69.4 g GAE/kg DM, 61.8 g GAE/kg DM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항산화 실험 결과, FRAP에서는 보라들깨가 796 mM $FeSO_4$ $7H_2O/g$ DM로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로 동글2호가 748 mM $FeSO_4$ $7H_2O/g$ DM으로 높았고, DPPH 결과에서는 $SC_50$값이 동글2호가 241 ${\mu}g$ DM/mL로 가장 항산화력이 높았고, 그 다음으로 261 ${\mu}g$ DM/mL로 보라들깨였다. 플라보노이드 함유량 측정에서는 늘보라들깨가 64.5 g QE/kg DM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HPLC를 통하여 이미 잘 알려진 항산화제인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의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caffeic acid는 보라들깨에서, rosmarinic acid는 동글2호에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즉, 이 종합적인 비교를 통하여 항산화능력과 생리활성물질 함유량 측면에서 보라들깨와 동글2호가 가장 적합한 품종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identify adequate species for the harvest of Perilla frutescens leaves, which provide profou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harbor abundant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Namchun, Donggeul-2, Bora, Sae-bora and Neul-bora variants of the plant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품종의 들깻잎이 생산되고 있으나 각 품종별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어 식용되고 있는 들깻잎의 품종별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 의 함량을 측정하여 현재는 단순히 식용소재로만 소비되는 들깻잎을 기능성 식품소재, 피부미용, 노화방지 등의 건강식품으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품종에 따른 성분을 종합적 비교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품종별 들깻잎의 기능성 건강식품에 항산화력 측정과 생리활성물질인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의 함량 분석을 통하여 항산화관련 기능성 식품소재에 적합한 들깻잎의 품종을 찾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1)Different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 Radar charts demonstrating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pecies of leaves of Perilla frutescens1). 1)Scale expressed as the ratio when each value is compared with correspondingly maximum. A, NamChun; B, Donggeul-2; C, Bora; D, Saebora; E, Neul-bora; I, Flavonoid; II, Total polyphenol; III, FRAP; IV, DPPH; V, Caffeic acid content; VI, Rosmarinic acid cont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들깻잎의 생리활성기능은? 과거에는 주로 종실유 를 채취할 목적으로 들깨가 재배되어 왔으나 최근 육류의 소비 증가, 외식문화의 발달 및 웰빙에 의한 쌈채소 소비 시장의 급성장으로 최근 들깻잎용 품종이 개발되어 연중 생산이 가능해졌다(2). 최근 들깻잎의 항돌연변이 효과에 관한 보고에서 aflatoxin B1에 의하여 유발되는 돌연변이가 억제되었으며, 이러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 phytol 및 methyl 11,14,17-eicosatrienoate 등이 동정된 바 있다(3). 또한 들깻잎은 중요한 생리활성물질로서 종양세포에 직접적인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며(4), UV나 ethyl methane sulfonate(EMS)에 의한 Salmonella와 Drosophila의 돌연변이 유발을 억제한다(3).
rosmarinic acid가 맥아당을 포도당으로 분해시키는 작용을 해서 혈중에 흩어진 당분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기작을 통해 인체에 주는 이로움은? 또한 식후에 영양소가 혈중으로 들어가기 위해 혈액상태가 일시적으로 걸쭉해 지는데 rosmarinic acid는 맥아당을 포도당으로 분해시키는 작용을 해서 혈중에 흩어진 당분을 체외로 배출시킨다. 그로 인해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하고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을 예방한다고 보고되고 있다(2).
Glutathione이란? Glutathione(L-γ-glutamyl-L-cysteinylglycine, GSH)은 glutamic acid, cystein, glycine으로 구성된 tripeptide로 생체에서 가장 풍부한 sulfhydryl group의 급원으로서 활성산소기(reactive oxygen radical, ROS)에 의한 세포 손상 등의 독성에 대하여 방어 작용을 하는 세포 내 방어물질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GSH의 생합성에는 γ-glutamylcystein synthetase(γ-GCS)가 매우 중요한 효소이다(5). 본 연구진의 앞선 연구결과 들깻잎 열수 추출물이 tert-butyl hydroperoxide로 유도된 간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며 투여한 실험동물의 간 조직에서 정상 대조군보다 GSH의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Lee JI, Han ED, See ST, Park HW. Study on the evaluation of oil quality and the differences of fatty acid composition between varieties in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on bar. japonica Hara). Korean J. Breed. 18: 228-233 (1986) 

  2. Hyun KW, Kim JH, Song KJ, Lee JB, Jang JH, Kim YS, Lee JS. Physiological functionality in geumsan Perilla leaves from greenhouse and field cultiv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75-979 (2003) 

  3. Oh SI.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in 7 common vegetables taken by Kor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44-1350 (2003) 

  4. Park HS, Ahn B, Yang CB. Studie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and Perilla protein isol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350-356 (1990) 

  5. John JH, Hisham LH. L-Gamma-glutamyl-L-cysteinyl-glycine (glutathione; GSH) and GSH-related enzymes in the regulation of pro-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A signaling transcriptional scenario for redox(y) immunologic sensor(s). Mol. Immunol. 42:987-1014 (2005) 

  6. Kim MK, Lee HS, Kim EJ, Won NH, Chi YM, Kim BC, Lee KW. Protective effect of aqueous extract Perilla frutescens on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oxidative hepatotoxicity in rats. Food Chem. Toxicol. 45: 1738-1744 (2007) 

  7. Didier T, Anne-Dominique L, Eric H, Jacqueline AM, Karine F, Celine J, Gerard C, Pierre P. Chicoric acid, a new compound able to enhance insulin release and glucose uptake. Biochem. Biophys. Res.Commun. 377: 131-135 (2008) 

  8. Yang CB. Studies on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610-615 (1992) 

  9. Meng L, Lozano YF, Gaydou EM, Li B.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phenols extracted from Perilla frutescens varieties. Molecules 14: 133-140 (2008) 

  10. Yu HE. Screening of bioactive compounds from mushroom Pholiota sp. Korean J. Mycol. 14: 79-84 (2006) 

  11. Park KW. Healthy function and research situation of herbs in Korea. TALS, ALRIC, Korea 2: 27-32 (2002) 

  12. Ryu HS, Kim HS. Studies on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mixture of pine needles, Sedum sarmentosum BUNGE, hijkiaorme, buckwheat, and perilla leaves on the immune function activation. Korean J. Food Nutr. 21: 269-274 (2008) 

  13. Cho MS. A study of intakes of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18: 601-612 (2003) 

  14. Appel HM. Limitations of folin assays of foliar phenolics in ecological studies. J. Chem. Ecol. 27: 761-778 (2001) 

  15. Zoran M, Dorde M, Nada K.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ydis stigma extracts. Biores. Technol. 96: 873-877 (2005) 

  16. Benzie IF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96) 

  17. Wang KJ, Zhang YJ, Yang CR.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from rhizomes of Polygonum paleaceum. J. Ethnopharmacol. 96: 483-487 (2005) 

  18. Kim JH, Bruce CC. Examination of fungal stress response genes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as a model system: Targeting genes affecting aflatoxin biosynthesis by Aspergillus flavus link. Appl. Microbiol. Biotechnol. 67: 807-815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