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약합편(方藥合編)에 수재된 신경정신과(神經精神科) 관련 주요 처방(處方)에 대한 연구(硏究)
Analysis of the Important Herb Medications Corresponded with Neuropsychiatry of "Bang-Yak-Hap-Pyun"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0 no.1, 2009년, pp.89 - 106  

김지훈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구병수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김근우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신경정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the herb medications corresponded with neuropsychiatry of "Bang-Yak-Hap-Pyun". Methods : The herb medications of "Bang-Yak-Hap-Pyun" Sang.Jung.Ha-Tong(上.中.下統) and "Enlargement side prescriptions" (增補方) are selected by comment on the chief vi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처방을 證候별로 재분류하여 上·中·下統에서 나타난 주요 證候의 비율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東醫寶鑑』을 비롯한 『方藥合編』의 형성에 영향을 준 서적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方藥合編』의 처방을 보다 잘 이해하고 정확한 임상적 활용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이에 저자는 이 논문을 통해 『方藥合編』 上·中·下統 및 增補方에 있는 신경정신과 관련 주요 처방의 전사 과정을 고찰하였다.
  • com)의 데이터베이스에 특허출원이 되거나 관련 논문이 있는 처방을 응용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 문헌고찰을 수록하였다. 처방의 인용 문헌은 각 처방의 상단부에 표시되어 있는 引用醫書의 약자를 조사하여 신경정신과 관련 처방 중 『東醫寶鑑』에서 인용되고 있는 것은 『東醫寶鑑』 각 편의 내용 중에서 다시 조사하여 인용 빈도수 별로 醫書의 종류와 인용된 醫書의 시대적 배경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方藥合編』에 수재된 신경정신과 관련처방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무엇인가? 1. 『方藥合編』上 ․ 中 ․ 下統처방 중 신경정신과 관련 처방은 上統 8개 ․ 中統 23개 ․ 下統 24개로 모두 55개이며, 增補方 처방 중 신경정신과 관련 처방은 40개다. 2. 『方藥合編』上 ․ 中 ․ 下統에 수재된 신경정신과 관련 처방은 신경증의 비율이 높고, 『方藥合編』 增補方에 수재된 신경정신과 관련 처방은 정신증의 비율이 높았다 3. 『方藥合編』上․中․下統 처방 중 신경정신과 관련 처방에 영향을 준 서적을 살펴본 결과 55개의 처방 중 53개의 처방이 『東醫 寶鑑』을 통하여 전사되었다. 그러므로 『方藥合編』의 신경정신과 처방은 『東醫 寶鑑』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4. 『方藥合編』增補方은 『東醫寶鑑』을 중시 하면서도 『東醫寶鑑』 以後에 국내에 유입 된 서적에 수재된 처방을 소개하였고, 『方 藥合編』上․中․下統의 인용서적에 기재되 었으나 『方藥合編』上 ․ 中 ․ 下統으로 전사되진 않았던 처방을 기재하였다. 따라서 『方藥合編』增補方은 『方藥合編』上․ 中․下統을 보충하기 위해 노력하였던 것으로 사료된다​​​​​​​.
方藥合編이란 무엇인가? 『方藥合編』은 1869년 惠菴 黃度淵先生이 완성한 『醫方活套』를 기반으로 『損益本 草』을 합하고 '用藥綱領' 및 '救急禁忌' 등의 十數種을 보충하여 1885년에 그 아들 黃 必秀가 정리하여 編述한 것이다. 이후 몇 차례에 걸쳐 개정 및 증보판들이 출판되어 국내외로 널리 보급되었다.
醫方活套의 目錄은 處方을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가? 처방이 수록된 부분인 醫方活套의 目錄은 處方을 上統, 中統, 下統으로 분류하여 上統에 는 補劑를, 中統에는 和劑를, 下統에는 攻劑를 수록하고 있다. 이러한 분류는 神農本草經에서 藥物을 上品, 中品, 下品, 三品으로 분류한 것과 비슷한 것으로써 上, 中, 下統으로 處方을 분류한 점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시도된 독창성이 있는 처방분류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편. 한의신경정신과학. 서울:집문당. 2005:206-14, 227-40, 256-97, 303-33, 386-95. 

  2. 이형구, 송병기, 최용태, 송효정, 채병윤, 송 일병, 이경섭, 류기원, 김병운, 두호경, 이윤 호, 박동원, 정규만, 황의완, 강성길, 김창환, 류봉하, 박동석, 배형섭, 신현대, 김성수, 이경섭, 고형균, 김덕곤, 안병철, 우홍정, 김영석, 박영배, 정승기, 김재규, 고병희, 김중호, 김지혁, 최도영, 이종수, 정석희, 조동현, 조기호, 오태환. 標準疾病死因分類(韓醫). 서울:대한한의사협회. 1994:205-10. 

  3. 신순식, 최선미, 신민규, 양기상, 최승훈, 박 경모, 박종현, 심범상, 김성우, 이인선, 노석 선, 정진홍, 이진용, 김달래, 임형호, 김윤범, 박성식, 송태원, 김종우, 최윤정, 이승기.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연구III. 서울: 한국한의학연구원. 1997:449-86. 

  4. 黃度淵原著. 方藥合編. 서울:南山堂. 1998:120, 129-33, 136-8, 154, 157, 160-2, 165, 171-6, 184-9, 194, 197-9, 201-10, 218-9, 224-9, 241, 268, 271, 277-9, 296, 300, 305-11, 314, 317-21, 324, 334, 336, 340, 345-8, 350, 352-3, 355-6. 

  5. 許浚著. 對譯東醫寶鑑. 서울:法人文化社. 1999:163-5, 169-70, 172, 174, 186, 189-90, 193-4, 198, 204, 238, 277, 279, 281, 283, 285, 306, 313, 336, 489, 492-3, 499, 735, 922, 953, 965, 978, 1016, 1018, 1022, 1036, 1038, 1040, 1045, 1052, 1079, 1111, 1180, 1211, 1278, 1285-6, 1332, 1369, 1680, 1692, 1704. 

  6. 신재용편저. 방약합편해설. 서울:전통의학연구소. 1993; 43, 48, 54, 57, 60-61, 74-75, 82-83, 108-109, 120-121, 126-127, 137-138, 142-150, 162-163, 168, 199-202, 207, 213-218, 227-229, 233-235, 239-241, 254-255, 263-264, 275, 282, 287, 293, 295, 297, 303-308, 310, 313, 322, 324-325, 328, 333-337, 343-344, 346-347. 

  7. 程國彭著. 醫學心悟. 北京:人民衛生出版社. 2006:201. 

  8. 虞搏著. 醫學正傳. 서울:成輔社. 1986:69, 87, 199, 263, 268, 364. 

  9. ?廷賢著. 壽世保元.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96:228, 469, 494. 

  10. ?廷賢著. 古今醫鑑. 江西:江西科學技術出版社. 1990:127, 160, 191, 193, 201, 259, 266, 464. 

  11. 李?著. 醫學入門. 北京:中國中醫藥出版社. 1999:293, 302, 316, 318, 491, 525, 532, 541, 543, 546, 570, 557, 600, 604, 612-4. 

  12. 朱震亨著. 丹溪心法. 北京:人民衛生出版社. 2005:25, 98, 105, 211. 

  13. 劉完素著. 素門病機氣宜保命集. 北京:中醫 古籍出版社. 1998:111. 

  14. 孫思邈著. 備急千金要方. 北京:人民衛生出 版社. 1996:217, 310. 

  15. 陳師文等奉?撰. 四庫全書741 中國醫學大 系9 太平惠民和劑局方. 서울:鼎談. 1990:486, 493-4, 519-21, 527-8, 532, 537-8, 563, 588-9, 653, 695. 

  16. 陳自明著. 四庫全書742 中國醫學大系10 婦 人大全良方. 서울:鼎談. 1990:505-6, 542. 

  17. 곽금화. 方藥合編 婦人科 관련 處方에 대한 硏究.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2001:89. 

  18. 李?著. 四庫全書745 中國醫學大系13 蘭室 秘藏. 서울:鼎談. 1990:566. 

  19. 陳言著. 四庫全書743 中國醫學大系11 三因 極一病證方論. 서울:鼎談. 1990:336-7. 

  20. 陳言著. 四庫全書743 中國醫學大系11 濟生方. 서울:鼎談. 1990:487. 

  21. 楊士瀛著. 四庫全書744 中國醫學大系12 仁 齊直指. 서울:鼎談. 1990:372. 

  22. 張機著. 四庫全書734 中國醫學大系2 傷寒 論注釋. 서울:鼎談. 1990:240, 242-3, 248, 289, 304. 

  23. 劉完素著. 四庫全書744 中國醫學大系12 宣 明方論. 서울:鼎談. 1990:785, 813 

  24. 危亦林著. 世醫得效方.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7:199, 204, 827. 

  25. 陣士鐸. 石室秘錄. 서울:書苑堂. 2000:24-5, 68-9, 190, 197-8. 

  26. 周命新. 國譯韓醫學大系1 醫門寶鑑1. 서울: 海東. 1999:79, 81. 

  27. 周命新. 國譯韓醫學大系2 醫門寶鑑2. 서울: 海東. 1999:95. 

  28. 慶云閣. 醫學摘粹.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3:163. 

  29. 張機著. 四庫全書734 中國醫學大系2 金? 要略論注. 서울:鼎談. 1990:19. 

  30. 王肯堂著. 證治準繩.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5:257. 

  31. 張介賓. 景岳全書. 서울:한미의학. 2006:2611, 2744, 2847, 2824. 

  32. 錢乙著. 小兒藥證直訣. 서울:醫聖堂. 2002:111, 129, 136, 154. 

  33. 張?著. 張氏醫通.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 社. 1995:983. 

  34. 傅山著. 傅靑註男女科. 北京:中國醫藥出版社. 1999:18, 43, 61. 

  35. 沈金鰲著. 雜病源流犀燭. 北京:中國中醫藥 出版社. 1994:273. 

  36. 王伯岳主編. 中醫兒科學. 서울:醫聖堂. 1996:914. 

  37. 江克明編著. 校訂方劑學大辭典. 서울:醫聖堂. 1991:70, 426, 663, 867, 900, 982. 

  38. ?廷賢著. 對譯萬病回春. 서울:法人文化社. 2007:181, 260, 378, 499, 511-513, 521, 856. 

  39. 하기태. 景岳全書가 朝鮮後期 주요의서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2001:13-6. 

  40. 윤용갑, 강무수. 方藥合編에 收錄된 處方의 主治別 系統分類와 引用文獻에 對한 考察. 원광한의대논문집. 1986;4(1):192-5. 

  41. 권보형, 이상용. 전광의 증상에 관한 동서 의학적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3;4(1):27-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