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Ginseng Radix Rubra water extract(RGE) has been used in vivo test for its beneficial effects on neuronal survival and neuroprotective functions, particularly in connection with APP-related dementias and Alzheimer's disease (AD). APP derived from proteolytic processing of the ${\b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논의 중 APP 형질전환 초파리를 활용한 치매치료제 개발은 아직 미미하고 이를 직접 이용한 효과 실험은 현재까지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APP를 분자생물학적으로 조작한 초파리에 대하여 연구해 보는 것은 극히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 실험을 진행하게 되었다.
  • 또한 항산화34,35), 면역기능강화36,37) 등의 약리적효능과 중추신경계의 작용으로 학습 및 기억에 관한 작용이 보고38)되고 있지만 치매 초파리 모델을 통한 紅蔘의 작용에 관한 연구는 아직 없었다. 이에 저자는 紅蔘水抽出物(Ginseng Radix Rubra Water Extract, RGE)을 APP(Amyloid precursor protein) 형질 전환한 초파리를 이용하여 초파리의 생존률, 비행 상승 능력, 비행횟수를 정상군과 RGE를 투여한 그룹과 비교 관찰한 바,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痴呆이란 무엇인가? 痴呆는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노령인구 약 8.2~10.8 %에서 나타날 정도로 흔하며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대표적인 노년기 질환으로1) 후천적으로 지적능력을 상실하고 인지장애, 행동 및 성격의 점진적 황폐화라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는 퇴행성질환이다2).
알츠하이머 병의 특징은 무엇인가?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 AD)은 가장 많은 유형의 치매로3,4) 대뇌 피질이나 해마에 생기는 뇌위축과 노인반, 신경섬유다발 그리고 신경세포의 과립공포변성, Hirano체 등의 조직학적 소견을 특징으로 하며5-7), 베타 아밀로이드(β-amyloid, Aβ)는 노인반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AD가 발생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추정되고,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발생시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신경세포사멸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한의학에서 문헌적, 임상적으로 痴呆의 치료와 예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 한의학에서 痴呆는 임상증후상 呆病, 健忘, 癲狂, 虛勞 등의 범주에 포함되고, 주요병인으로는 年勞虛衰, 飮食失調, 情志失調, 中毒外傷, 痰飮, 瘀血 등이 관여하며, 辨證으로는 肝腎不足, 氣血虧虛, 痰濁阻竅, 氣滯血瘀가 제시되고9) 治法으로는 補益肝腎, 益氣補血, 豁痰開竅, 活血化瘀通竅를 활용한다10). 특히 문헌적, 임상적으로 치료와 예후에 있어서 元氣와 胃氣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9)

  1. Lee DY, Lee JH, Ju YS, et al.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older people in an urban population of Korea. The Seoul study. J Am Geritar Soc. 2002;50:1233-9. 

  2. 대한신경과학회. 신경학. 군자출판사. 2007:406. 

  3. 李符永 譯. ICD-10 정신 및 행동장애 분류. 서울: 一潮閣. 1994:63-6. 

  4. 김지혁.황의완. 동의정신의학. 서울:현대의학서적사. 1992:256-71, 327-30, 663-4. 

  5. Yankner BA. Mechanism of neuronal degeneration in Alzheimer's disease. Neuron. 1996;16:921-3. 

  6. Alzheimer's disease collaborative group. The structure of the presenilin 1(SI82) gene and identification of six novel mutation in early onset AD families. Nat Genet. 1995;11(2):219-22. 

  7. 김승업. 치매. 알츠하이머병. 서울:삶과 꿈. 1997:54-80. 

  8. Selkoe DJ. Amyloid $\beta$ -protein and the genetics of Alzheimer's disease. J. Biol. Chem. 1996;271:18295-8. 

  9. 전국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과서편찬위원회 편. 한의신경정신과학. 서울: 집문당. 2007:327-8. 

  10. 陳貴延, 楊思澍. 實用中西醫結合診斷治療學. 北京:中國醫藥科技術出版社 1990:824-6. 

  11. 張介賓. 景岳全書. 서울:一中社. 1992:846. 

  12. 錢鏡湖. 辨證奇文全書. 臺北:甘地出版社. 1980:222-5, 223-5. 

  13. Kaufman D. Aphasia and related disorders. In Clinical Neurology for Psychiatrists W. B. Saunders Philadelphia. 1990:146-71. 

  14. Summers WK, Majovski LV, Marsh GM, et al. Oral tetrahydroaminoacridine in long term treatment of senile dementia . Alzheimer type. New Engl. J Med 1986;15:1241-5. 

  15. Reisberg B, Doody R, Stoffler A, et al. Memantine in moderate-to-severe Alzheimer's disease. N Engl. J Med 2003;348(14):1333-41. 

  16. 이정현, 오병훈, 유계준. 치매환자에서 동반된 행동정신증상에 대한 새로운 향정신병 약물의 치료효과,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000;11(3):232-7. 

  17. 정영조, 이승환. 치매의 예방과 관리. 仁濟醫學. 2000;21(1):11-9. 

  18. 이성률, 강형원, 김상태, 류영수. 遠志와 石菖蒲 혼합추출액의 pCT105로 유도된 신경 세포암 세포주에 대한 抗痴?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4):1037- 49. 

  19. 이상원, 김상호, 김태헌, 강형원, 류영수. 遠志 디클로로메탄분획이 CT105에 의한 신경 세포 상해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2):507-16. 

  20. 최혁, 김상호, 이대용, 안대종, 강형원, 류영수. CT105로 유도된 痴?모델에서 石菖蒲 수추출액이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2;13(2):173-94. 

  21. 장현호, 최혁, 양현덕, 김상태, 김태헌, 강형원, 유영수. 釣鉤藤 디클로로메 탄분획이 CT105에 의한 신경세포 상해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6):1810-20. 

  22. 우주영, 김종우, 황의완, 김현택, 박순권 . 調胃升淸湯이 흰쥐의 방사형 미로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7;8(1):69-79. 

  23. 우주영, 김종우, 황의완, 김현택, 박순권 . 調胃升淸湯이 흰쥐의 방사형 미로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7;8(1):69-79. 

  24. 박은혜, 정명숙, 박창범, 지상은, 이영혁, 배현수, 신민규, 김현택, 홍무창. 六味地黃 湯加減方-1,2가 학습과 기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16(5):976-88. 

  25. 심대식, 노삼웅, 이진우, 이은아, 조종운, 배현수, 신민규, 홍무창. 六味地黃湯加味方 에 의한 흰쥐 기억력 향상과 관련된 Hippocampus 부위의 특이 유전자 발현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3):684-92. 

  26. 이상룡, 정인철. 聰明湯과 山査聰明湯이 CT105로 유도된 Alzheimer's disease 병태 모델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1):138-48. 

  27. 안기영, 이성균, 이승희, 김상우, 신진봉, 송봉근, 이언정. 허혈유발 흰쥐에 있어서의 인지 장애에 미치는 加減聰明湯의 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7;28(2): 01-12. 

  28. 김민수, 이은용. 人蔘약침이 에탄올 중독 흰쥐의 해마에서 c-fos 생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3;20(3): 131-40. 

  29. 신민교. 臨床本草學. 서울:영림출판사. 1989:166. 

  30. 신길구. 申氏本草學. 서울:수문사. 1982:2-8. 

  31. Kim YS, Kang KS and Kim SI. Study on antitumo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Panax ginseng : comparison of effects of neutral and acidic polysaccharide fraction. Arch Pharm Res. 1990;13(4):330-7. 

  32. Park KM, Jeong TC, Kim YS, Shin HJ, Nam KY and Park JD. Immunomodulatory effect of acidic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neg). Natural product sciences 2000;6:31-7. 

  33. Hikino H, Oshima Y, Suzuki Y and Konno C. Isolation and hypoglycemic activity of panaxans I, J, K and L, glycans of Panax ginseng roots. J Ethnopharmocol. 1985;14(2-3):255-9. 

  34. 오미현, 정해영, 양한석, 김규원, 정한영, 오우라히꼬끼치, 요코자와다카꼬. Ginsenoside Rb2가 노화촉진마우스 (SAM-R/1)의 항산화물질에 미치는 영향. Korean Biochem J. 1992;25(5):492-8. 

  35. 성금수, 전철, 권용훈, 김경현, 장재철. 홍삼 추출물 투여가 생쥐간에서 항산화효소 활성과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효과. 고려인삼학회지. 2000;24(1):29-34. 

  36. 서성옥, 정철헌, 조민영, 손길수. 소화기계 암의 수술후 면역기능에 대한 고려 홍삼의 효과. 고려인삼학회지. 1998;22(1):32-42. 

  37. 김기환, 정인성, 정희용, 조성기, 윤연숙 . 홍삼다당체의 항암면역증강작용. 고려인삼학회지. 1997;21(2):78-84. 

  38. Kurimoto H, Nishijo H, Uwano, T, Yamaguchi, H, Zhong, YM, Kawanishi, K and Ono T. effects of nonsaponin fraction of Red Ginseng on learning deficits in aged rats. Physiology & Behavior. 2004;82:345-55. 

  39. Selkoe DJ. Cell biology into therapeutic advances in Alzheimer’s disease. Nature 1999;399:A23-A31. 

  40. Katzman R. Apolipoprotein E4 as the genetic susceptibility for Alzheimer's disease. In the Alzheimer's Disease. Terry RD. Katzman R. and Bick KL.(eds), Raven Press. New York. 1994;455-7. 

  41. Markesbery WR and Ehmann WD. Brain trace elements in Alzheimer's disease. In Alzheimer's Disease. neurotoxicology. 1986;7(1):195-206. 

  42. Giacobini E. Cholinesterase inhibitors stabilize Alzheimer’s disease. Ann NY Acad Sci 2000;920:321-7. 

  43. Amenta F, Parnetti L, Gallai V, Wallin A. Treatment of cognitive dysfunction associated with Alzheimer’s disease with cholinergic precursors: Ineffective treatments or inappropriate approaches Mech Ageing Dev. 2001;122:2025-40. 

  44. 정인철, 이상룡. 도담익기활혈탕이 치매병 태모델의 생화학적 변화 및 기억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1;15:260-76. 

  45. 방재선, 윤현덕, 신오철, 신유정, 박치상 . 加味寧神丹이 CT105로 유도된 Neuro2A 세포주에서의 抗痴?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3):603-16. 

  46. 김보경, 이상룡. 안신청뇌탕이 치매병태모델의 생화학적 변화 및 기억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16:240-55. 

  47. 박지운, 이상용, 정인철. 日黃連이 痴?병태모델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4;15(1):87-100. 

  48. 黃大東 外. 實用中醫內科學,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9:378-81. 

  49. 郭字鵬 外. 謝海洲治療腦萎縮經驗, 中醫雜誌. 1997;38(10):586-7. 

  50. 김성욱, 주승균, 구병수. 健忘의 病因 및 治療에 관한 文獻考察.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1;12(2):69-84. 

  51. Attele AS, Wu JA, and Yuan CS, Ginseng Parmacology. multiple constituents and multiple actions. Biochem Pharmacol. 1999;58:1685-93. 

  52. Park, JD. Recent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J Sci. 1996;20:389-96. 

  53. Konno C, Sugiyama K, Kano M, Takahashi M and Hikino H. Isolation and hypoglycemic activity of panaxans A, B, C, D and E, glycans of Panax ginseng roots. Planta Medica 1984;50:443-8. 

  54. Lee SD, Lee KS, Okuda H and Hwang WI. Inhibitory effect of crude acidic polysaccharide of korea ginseng on lipolutic action oftoxohormone-L from cancerous ascites. Korea J Sci. 1990;14:10-3. 

  55. Okuda H. Biological activities of non-saponin compound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Proc. Int'l Ginseng Symp. on Korean Ginseng. The Society for Korean Ginseng. Seoul. Korea. 1990;15-9. 

  56. Park KM, Kim YS, Jeong TC, Joe CH, Shin HJ, Lee YH, Nam KY and Park JD. Nitric oxide is involved in the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acidic polysaccharide from Panax ginseng. Planta Medica. 2001;67:122-6. 

  57. Park JD, Kim YS, Park KM, Shin HJ, Jeong TC, Lee YH and Nam KY. B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soluble non-saponin constituents from Korean red ginseng .-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acidicpolysaccharide. Proc. of '99 Korea-Ginseng Symp. 1999:191-209. 

  58. Hikino. H, Oshima Y, Suzuki Y and Konno C. Isolation and hypoglycemic activity of panaxans F, G, H, I, J, K and L, glycans Panax ginseng roots. Shoyakigaku Zasshi 1985;39:331-7. 

  59. Shin KS, Kiyohara H, Matsumoto T, Yamada H. Rhamnogalacturonan II from the leaves of Panax ginseng C.A. Meyer as a macrophage Fc receptor expression-enhancing polysaccharide. Carbohydrate Res. 1997;300(3):239-49. 

  60. Saito H, Suba K, Schwab M and Thoenen H. Potentiation of the NGF-mediated nerve fiber outgrowth by ginsenoside Rb1 in organ cultures of chick dorsal root ganglia. Jpn J Pharmacol. 1977;27:445-51. 

  61. Benishin CG. Actions of ginsenoside Rb1 on cholin uptake in central cholinergic nerve ending. Neurochem Int. 1992;21(1):1-5. 

  62. Lim JH, Wen TC, Matsuda S, Tanaka J, Maeda N, Peng H, Aburaya J, Ishikara K and Sakanaka M. Protection of ischemic hippocampal neurons by ginsenoside Rb1, a main ingredient of ginseng root. Nurosci Res. 1997;28:191-200. 

  63. Liu M, Zhang JT. Protective effects ginsenoside Rg1 and Rb1 on cultured hippocampal neurons. Yao Hsueh Pao. 1995;30:674-8. 

  64. Liao B, Newmark H and Zhou R. Neuroprotective effects of ginseng total saponin and ginsenoside Rb1 and Rg1 on spinal cord neurons in vitro . Exp Neurol. 2002;173(2):224-34. 

  65. Choi X, Saji H, Iida Y, Magata Y and Yokoyma A. ginseng pretreatment protects against transient global cerebral ischemia in the rat: measurement of local cerebral glucose utilization by [ $^{14}C$ ] dexoyglucose autoradiography. Biol Pharm Bull. 1996;19(4):644-6. 

  66. Min L and Juntian Z. Effects ginsenoside Rb1 and Rg1 on synaptosomal free calcium level, ATPase Calmodulin in rat hippocampus. Chin Med J. 1995;108(7):544-7. 

  67. Chu GX and Chen X. 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s on acute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of rats. China J Pharmacol Toxicol 1989;3:18-23. 

  68. 이은아, 주인수, 허균, 묵인희. B103세포에서 베타아밀로이드(25-35) 독성에 대한 Ginsenoside Rb1과 Rg1의 보호효과. 대한신경학회지. 1999;17(5):688 -93. 

  69. Sohn EH, Do H, Kang NS, Jang SA, Park SK, Lee HR, Rhee DK and Pyo SK. Effects of Non-saponin Red Ginseng Components on the Function of brain cells. Ginseng Res. 2008;32(1):6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