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허베이스피리트호 원유유출사고로 오염된 태안연안의 경시변화 -현장관측(육안 및 사진분석)을 중심으로-
Time-elapes Change of Oil-polluted Taean Coastal Area by the Hebei Spirit Oil Spill Incident - Focusing on the Field Surveying(Vision and Photos) -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12 no.3, 2009년, pp.111 - 123  

정재성 (순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정정조 (순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허베이스피리트호의 원유유출로부터 오염된 해안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태안군 이원면 만대(가로림만)로부터 소원면 파도리 해변까지 11개 정점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관측한 결과 관측지점 10개 정점 모두에서 잔존유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구름포 해변의 경우 아직도 토양중에 잔존유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오염된 태안 해안의 조속한 복원은 100만이 넘는 자원봉사자와 지역주민의 방제노력이 이루어낸 성과라고 판단되며, 또한 파도의 반복적인 작용에 의해서 조간대에 표착한 표착유가 제거되었으리라 판단된다. 조간대에 표착해 있던 원유의 일부는 물리화학적 그리고 생물학적 풍화작용으로 분해되었고, 나머지 기름은 모래입자나 미세토립자(minerals)와 부착되어 기름과 미세토립자의 합체물(OMA)의 형태로 조간대나 조하대에 분산되었으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ime-elapse change of oil-polluted Taean coastal area with by Herbei Spirit oil spill incident. From Mandae of Iwonmeyon to Padori beach of Sowonmeyon, field monitering was conducted at eleven surveying points surveying. The specific conclusions from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erbei Spirit호의 원유유출로부터 오염된 해안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태안군 이원면 만대로 부터 소원면 파도리까지 11개 정점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ebei Spirit호의 원유유출로 오염된 해안이 어떻게 복원되어 가는지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태안군 이원면 만대로부터 소원면 파도리 해변까지 11개 정점에서 사진촬영 및 현장관측을 통해 경시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erbei Spirit호 사고로 유출된 원유에 대한 조사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1). 1차 조사는 2007년 12월 8일(Hebei Spirit호 원유유출사고로부터 1일 경과), 2차는 2007년 12월 10일~12일(3일~5일 경과), 3차는 2008년 1월 5일~6일(29일~30일 경과), 4차는 2008년 12월 26일(384일 경과)후에 수행하였다.
유출된 원유는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 유출된 원유는 주변의 온도, 유출된 원유의 종류 및 조성, 파랑 등과 같은 영향인자들에 의해서 물리적·화학적 변성이 수반되며 emulsion의 형태를 거쳐 tar형태로 변화되는 풍화과정(weathering processes)을 겪게 된다.
Hebei Spirit호의 원유 유출사고는 제주도와 추자도까지 어떤 형태로 이동하였는가? 이번 Hebei Spirit호의 원유 유출사고로 인해 주변해역은 물론 70 km의 해안선과 충남, 전남·북 101개 도서지역이 유출된 원유에 의해서 오염되었으며 심지어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추자도까지 tar ball과 tar mat의 형태로 유출된 원유가 이동하였다. 이때 풍화과정 중에 있는 유출유는 바람과 조류에 의해서 이류(advection)하게 되고 이번 Hebei Spirit호의 원유유출 사고에서처럼 연안 조간대에 표착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기현, 이기한, 안지원, 박신영, 임운혁, 2008, "2007년 태안 원유유출사고 주변지역의 지정악취성분들에 대한 예비조사", 한국환경분석학회지, 11권, 1호, 39-45. 

  2. 김혜영, 정태윤, 박용덕, 2008, "충남 태안 지역 청소년의 만성병 관련 건강행위와 구강건강행위의 연관성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2권, 2호, 182-193. 

  3. 이은주, 이상모, 이군택, 김인성, 깅용학, 2008, "태안 유출원유의 생물정화를 위한 유용미생물의 적용", 한국환경과학회지, 17권, 7호, 795-799. 

  4. 김기현, 이기한, 안지원, 박신영, 임운혁, 2003, "Laboratory study for the identification of parameters affecting the penetration behavior of spilled crude oil in a coastal sandy beach", 한국지하수토양환경공학회지, 8권, 1호, 81-86. 

  5. 정정조, 2004, "조간대에서 분산유와 풍화유의 토양침투거동과 해수의 침투에 미치는 영향", 한국폐기물학회지, 21권, 3호, 206-213. 

  6. 정정조, 이영식 2005, "연안조간대에 표착된 기름이 입자상물질의 토양침투에 미치는 영향의 실험적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7권, 10호, 1030-1034. 

  7. 정정조, 2008, "유출된 기름의 해상 및 해안에서의 거동 및 방제기술", 대한환경공학회지, 30권, 2호, 136-145. 

  8. 정정조, 2008, "사질조간대 표착유의 방제를 위한 유화분산제의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11권, 4호, 227-231. 

  9. 정정조, 2009, "연안 조간대에 표착한 유출유의 OMA 형성영향인자의 평가",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2권, 3호, 발행예정. 

  10. 緖方正名, 藤澤邦康, 1991, "石油による海洋汚染と環境及び生物 モニタリング,日本水産資源保護協會, 東京, 15-42. 

  11. 細川恭史, 桑江朝比呂, 1997, "干潟驗置によるメソコスム驗", 土木學會論文集, Vol. 82, 12-14. 

  12. Floch, S. L., Guyomarch, J., Merlin, F.-X., Stoffyn-Egli, P., Dixon, J. and Lee, K., 2002, The influence of salinity on oilmineral aggregate formation. Spill Science & Technology Bulletin, 8(1), 65-71. 

  13. Gema Rodriguez Trigo, Jan Paul Zock, Isabel Isidor Montes, 2007, "Health Effects of Exposure to Oil Spills", Vol. 43, 628- 635. 

  14. Guyomarch, J., Floch, S. L., and Merlin, F.-X., 2002, Effect of suspended mineral load, water salinity and oil type on the size of oil-mineral aggregates in the presence of chemical dispersant. Spill Science & Technology Bulletin, Vol. 8, No. 1, pp. 95-100. 

  15. Harris, G. W. and Wells, P. G., 1979, A laboratory study on the adhesion of crude oil to beach sand on the presence of a dispersant. Spill Technol. Newsletter. 4, 293-298. 

  16. Jhonston, R., 1970, "The decomposition of crude oil residence in sand columns", J. Mar. Biol. Ass. U. K., Vol. 50, 925-937. 

  17. Kepkay, P. E., Bugden, J. B. C., Lee, K. and Stoffyn-Egli, P., 2002, Application of ultraviolet fluorescence spectroscopy to monitor oil-mineral aggregate formation. Spill Science & Technology Bulletin, 8(1), 101-108. 

  18. Khelifa, A., Stoffyn-Egli, P., Hill, P. S. and Lee, K., 2002, Characteristics of oil droplets stabilized by mineral particles : effects of oil type and temperature. Spill Science & Technology Bulletin, 8(1), 19-30. 

  19. Khelifa, A., Stoffyn-Egli, P., Hill, P. S. and Lee, K., 2005, Effects of salinity and clay on oil-mineral aggregation.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59, 235-254. 

  20. Lee, K., Weise, A. M. and St-Pierre, S., 1996, Enhanced oil biodegradation with mineral fine interaction. Spill Science & Technology Bulletin, 3(4), 263-267. 

  21. Lee, K., Stoffyn-Egli, P. and Owens, E. H., 2002, The OSSA II pipeline oil spill: Natunral mitigation of a riverine oil spill by oil-mineral aggregate formation. Spill Science & Technology Bulletin, 7(3-4), 149-154. 

  22. Omotoso, O. E., Munoz, V. A. and Mikula, R. J. (2002), Mechanisms of crude oil-mineral interactions. Spill Science & Technology Bulletin, 8(1), 45-54. 

  23. Owens, E. H., 1978, Mechanical dispersal of oil stranded in the littoral zone. J. Fish. Res. Board Can., 35, 563-572. 

  24. Owens, E. H. and Lee, K., 2003, Interaction of oil and mineral fines on shorelines: review and assessment. Marine Pollution Bulletin 47, 397-405. 

  25. Samiullah, Y., 1985, "Biological Effects of Marine Oil Pollution", Oil & Petrochemical Pollution, Vol. 2, 235-264. 

  26. Stoffyn-Egli, P. and Lee, K., 2002, Form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il-mineral aggregates. Spill Science & Technology Bulletin, 8(1), 31-44. 

  27. Whitfield, J., 2003, "How to clean a beach", Nature, Vol. 422, 628-6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