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지기 림프부종환자에서 MLD가 부종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nual Lymph Drainage on the Edema and Quality of Life in Lymphedema Patients of Maintenance Phase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1 no.4, 2009년, pp.89 - 96  

김성중 (강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노효련 (한국인지운동발달연구소 부설 삼성특수아동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nual lymph drainage (MLD) on edema and the quality of life (QOL) of lymphedema patients in the maintenance phase. Method: Forty five lymphedema patients, who had completed intensive decongestive therap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a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림프부종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 중에 하나라고 널리 알려져 있는 MLD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일반적으로 MLD는 복합적 부종감소 치료의 한 부분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집중적 부종 치료기 이후에 정기적으로 붕대를 감으면서 자가-MLD를 시행하고 있었던 부종 유지기의 환자들이 전문가에 의한 MLD를 적용 받을 시 부종 감소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것으로 유지기의 부종 감소 및 삶의 질 변화를 통하여 정기적인 전문 치료사에 의한 MLD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림프부종의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치료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수술을 하지 않는 대부분의 림프부종 환자들은 여러 형태의 보존적인 방법을 이용해 부종을 치료하거나 관리를 하게 되는데 그 중 가장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어서 학계에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은 manual lymph drainage (MLD), 압박법, 치료적 운동, 피부관리로 구성된 복합적 부종감소 치료 (complex decongestive therapy, CDT)이다.2-4 복합적 부종 감소 치료는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복합적 부종 감소 치료는 두 단계로 이루어 지는데, 이 두 단계는 무엇인가? 2-4 복합적 부종 감소 치료는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단계는 집중적 치료기(decongestive phase)로 부종에 대한 전문과정을 교육받은 전문가에 의해서 주도적으로 이루어진다. 치료 기간은 보통 일주에서 두 달 정도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다양하며 평균적으로 부종 감소는 치료 후 2주 정도에서 정점에 이르게 된다.5 이 시기에 부종의 감소는 치료사에 의해서 최대로 이루어지지만 환자나 보호자는 붕대법, 운동법, 피부 관리, 자가 MLD 등 부종 관리에 필요한 요소들을 철저하게 교육받아야 한다. 두 번째 단계는 유지기 (maintenance phase)로 집중적 치료기에 교육 받은 방법을 이용하여 환자나 보호자에 의해 가정(家庭)에서 실시되는 단계이다. 이 시기에서는 집중적 치료기에서 숙지했던 부종 관리 방법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전문가에 의한 부종 감소가 최대로 유지가 될 수 있도록 환자를 비롯한 가족 구성원들의 협조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4,6
스타킹 등을 이용한 압박법의 효과는? 압박은 조직압을 상승시키고 혈관에서 여과에 의해서 유출되는 성분들을 최대한 억제시키며 혈관으로의 재흡수와 림프관으로의 조직액의 이동을 촉진시킨다.12-14 이런 효과로 인해 다른 치료 없이 스타킹 등을 이용한 압박법만을 적용해도 부종의 감소가 7∼17% 정도 이루어진다고 하였다.15 MLD는 미세 림프관의 긴장도를 개선시키고 운동성을 증가시켜 부종의 외관도 개선을 시키지만 일반적으로 압박법과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16 60% 이상의 부종 감소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17,18 MLD에 대한 효과만으로 제시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humacker HB. Management of moderate lymphedema. Arch Surg. 1981;116(8):1097-8. 

  2. Kim SJ. Lymphedema. Seoul, Jungdam media, 2002:109- 207. 

  3. Bruno C. Theory and Practice of Lymph Drainage Therapy. Arizona, I.H.H.Publishing, 2001:231-76. 

  4. Ko DS, Lerner R, Klose G et al. Effective treatment of lymphedema of the extremities. Arch Surg. 1998;133(4):452-8. 

  5. Weissleder H, Schuchhardt C. Lymphedema Diagnosis and Therapy. 3rd ed. K?ln, Viavital, 2001:358-9. 

  6. Brennan MJ, DePompolo RW, Garden FH. Focused review: Postmastectomy lymphedema. Arch Phys Med Rehabil. 1996;77(3 Suppl):S74-80 

  7. Casley-smith JR, Casley-smith JR. Treatment of lymphedema by complex physical therapy, with and without oral and topical benzopyrones: What should therapists and patients expect. Lymphlogy. 1996;29(2):76-82. 

  8. Hwang JH, Kwon JY, Lee KW et al. Changes in lymphatic function after complex physical therapy for lymphedema. Lymphology. 1999;32(1):15-21. 

  9. Didem K, Ufuk YS, Serdar S, Zumre A. The comparison of two different physiotherapy methods in treatment of lymphedema after breast surgery. Breast Cancer Res Treat. 2005;93(1):49-54. 

  10. Kim SJ, Kwon OY, Yi CH. Effects of Manual Lymph Drainage on Cardiac Autonomic Tone in Healthy Subjects. Int J Neurosci. 2009;119(8):1105-17 

  11. Mondry TE, Riffenburgh RH, and Johnstone PA. Prospective trial of complete decongestive therapy for upper extremity lymphedema after breast cancer therapy. Cancer J. 2004;10(1):42-8. 

  12. Casley-smith JR, Casley-smith JR. Modern treatment for lymphedema. Adelaide, The Lymphoedema Association of Australia, Inc., 1994:117-63. 

  13. Olszewski WL. Lymph Stasis: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In: Olszewski WL, eds, Clinical picture of lymphedema. Florida, CRC Press, 1991:348-76. 

  14. Partsch H, Rabe E, Stemmer R. Compression therapy of the extremities. Paris, E.P.F., 2002:218. 

  15. Johansson K, Lie E, Ekdahl C et al. A randomized study comparing manual lymph drainage with sequential pneumatic compression for treatment of post-operative arm lymphedema. Lymphology. 1998;31(2):56-64. 

  16. Franzeck UK, Spiegel I, Fischer M et al. Combined physical therapy for lymphedema evaluated by fluorescence microlymphography and lymph capillary pressure measurements. J Vasc Res. 1997;34(4):306-11. 

  17. Boris M, Weindorf S, Lasinski B. Persistence of lymphedema reduction after non-invasive complex lymphedema therapy. Oncology. 1997;11(1):99-109. 

  18. Williams, AF, Vadgama A, Franks PJ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study of manual lymphatic drainage therapy in women with breast with breast cancer related lymphoedema. Eur J Cancer Care. 2002;11(4):254-61 

  19. Hutzschenreuter PO, Wittlinger H, Wittlinger G et al.Post-mastectomy arm lymphedema: Treated by manual lymph drainage and compression bandaging therapy. Arch Phys Med Rehabil. 1991;1:166. 

  20. Johansson K, Albertsson M, Ingvar C et al. Effects of compression bandaging with or without manual lymph drainage treatment in patients with postoperative arm lymphedema. Lymphology. 1999;32(3):103-10. 

  21. Sitzia J, Sobrido L.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receiving conservative treatment for limb lymphoedema using Nottingham Health Profile. Qual Life Res. 1997;6(5):373-84. 

  22. Pereira de Godoy JM, Braile DM, de Fatima Godoy M et al. Quality of life and peripheral lymphedema. Lymphology. 2002;35(2):72-5. 

  23. McNeely ML, Magee DJ, Lees AW et al. The addition of manual lymph drainage to compression therapy for breast cancer related lymphedem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east Cancer Res Tret. 2004;86(2):95-106. 

  24. Ganz PA. Sexual functioning after breast cancer: A conceptual framework for future studies. Ann Oncol. 1997;8(2):105-7. 

  25. Lee CO. Quality of life andbreast cancer survivors. Psychosocial and treatment issues. Cancer Pract. 1997;5(5):309-16. 

  26. Ware JE, Kosinski M, Gandek B. SF-36 Health Survey: Manual & interpretation guide. Lincoln, RI, QualityMetric Incorporated, 2003;6(1)-6(22). 

  27. Foldi E, Foldi M. Lymphoedema; Methods of Treatment and Control. 5th ed. Stuttgart, Gustav Fischer Verlag, 1991:63-98. 

  28. Kim SJ, Yang HS, Yi CH. Intertester and intratester reliability of tape measurement on lower extremities. KAUTPT. 2000;7 (1):38-45. 

  29. Galland C, Auvert JF, Flahault A et al. Why and how postmastectomy edema should be quantified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 Treat. 2002;75(1):87-9. 

  30. Megens AM, Harris SR, Kim-Sing C et al. Measurement of upper extremity volume in women after axillary dissection for breast cancer.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2): 1639-44. 

  31. Brennan MJ, Weitz J. Lymphedema 30 years after radical mastectomy. Am J Phys Med Rehabil. 1992;71(1):12-4. 

  32. Bunce IH, Mirolo BR, Hennessy JM et al. Post-mastectomy lymphoedema treatment and measurement. Med J Aust. 1994;161(2):125-8. 

  33. Dennis, B. Acquired lymphedema: A chart review of nine women's responses to intervention. Am J Occup Ther. 1993; 47(10):891-9. 

  34. Foldi M. Treatment of lymphedema. Lymphology. 1994;27 (1):1-5. 

  35. Moyer A. Psychosocial outcomes of breast-conserving surgery versus mastectomy: A meta-analytic review. Health Psychol. 1997;16(3):284-98. 

  36. Koh SB, Chang SJ, Kang MG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n measurement instrument for health status assessment in occupational workers.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997;30(2):251-66. 

  37. Kim SJ, Yi CH, Kwon OY. Effects of complex decongestive therapy on edema and the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unilateral lymphedema. Lymphology. 2007;40(3):143-51. 

  38. Kim SJ, Park YD. Effects of complex decongestive physiotherapy on the oedema and the quality of life of lower unilateral lymphoedema following treatment for gynecological cancer. Eur J Cancer Care. 2008;17(5):463-8. 

  39. Weiss JM, Spray BJ. The effect of complete decongestive 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peripheral lymphedema. Lymphology. 2002;35(2):46-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