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죽상경화반 유발 토끼 대동맥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가돌리니움 조영제에 대한 경화반의 조영증강에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고, 경화반 취약성의 대표적인 두 특징인 조직병리학적인 지질풍부 성분과 대식세포 풍부 성분과 비교하여 조영증강이 어떤 조직 소견에서 기인하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뉴질랜드 흰토끼 (4마리, 무게 3.0 $\sim$ 3.5 kg, 수컷)를 죽상경화반 모델로 사용하였다. 고콜레스테롤식이와 이중 풍선 손상을 이용하여 대동맥 죽상경화반을 유발하였다. 3-T 자기공명영상을 사용하여 가돌리니움 조영제를 투여하기 전과 후에 T1-강조영상을 얻었다. 자기공명영상과 상응하는 조직병리절편 (n=35)을 4개나 3개의 구역으로 나누었다 (n=130). 자기공명영상에서의 조영증강비 (ER, ER=SIpost/SIpre)를 각 구역마다 계산하여 조직병리의 지질풍부영역과 대식세포 풍부 영역과 비교하였다. 결과: 지질풍부 구역은 72개였고 섬유성구역은 58개였다. 대식세포풍부영역을 포함한 구역은 105개였고 포함하지 않은 구역은 25개였다. 조영증강비는 섬유성구역보다 지질풍부구역에서 높았다 (평균 조영증강비 2.25 $\pm$ 0.41 vs. 2.72 $\pm$ 0.65, p=0.013). 조영증강비는 지질성분을 제어했을 때 대식세포풍부영역과 잘 비례하지 않았다 (correlation coefficient -0.203, p=0.236). 결론: 표준 가돌리니움 기반의 세포외 조영제를 사용하였을 때 지질풍부 경화반은 섬유성 경화반보다 강한 조영증강을 보였다. 대식세포 침윤은 조영증강 정도와 비례하지 않았다. 초기부터 진행된 병기의 다양한 경화반 모델을 사용하고 조영증강과 관련된 모든 가능한 인자를 사용하여 조영제 투여 후 최적의 영상획득 시간을 결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We sought to evaluate enhancement of plaque with gadolinium-based contrast agent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comparison with histopathology, namely lipid-rich and macrophage-rich components that were two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plaque vulnerability using atherosclero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ulticontrast plaque imaging and contrast enhanced imaging for evaluation of atherosclerotic plaques in human coronary artery will be possible in near future.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contrast enhancement in plaques and to predict vulnerability of plaques based on the association of enhancement and representative components of vulnerabilig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Virmani R, Burke AP, Farb A, Kolodgie FD. Pathology of the vulnerable plaque. J Am Coll Cardiol 2006;47:C13-18. 

  2. Falk E, Shah PK, Fuster V. Coronary plaque disruption. Circulation 1995;92:657-671. 

  3. Carr S, Farb A, Pearce WH, Virmani R, Yao JS. Atherosclerotic plaque rupture in symptomatic carotid artery stenosis. J Vasc Surg 1996;23:755-566. 

  4. Virmani R, Kolodgie FD, Burke AP, Farb A, Schwartz SM. Lessons from sudden coronary death: a comprehensiv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scheme for atherosclerotic lesions.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0;20:1262-1275. 

  5. Yuan C, Kerwin WS, Marina S, et al. Contrast-enhanced high resolution MRI for atherosclerotic carotid artery tissue characterization. J Magn Reson Imaging 2002;15:52-67. 

  6. Cai J, Hatsukami TS, Ferguson MS, et al. In vivo quantitative measurement of intact fibrous cap and lipid-rich necrotic core size in atherosclerotic carotid plaque; comparison of high-resolution,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histology. Circulation 2005;112:3437-3444. 

  7. Kerwin WS, O'brien KD, Ferguson MS, Polissar N, Hatsukami TS, Yuan C. Inflammation in carotid atherosclerotic plaque: a dynamic contrast-enhanced MR imaging study. Radiology 2005;241:459-468. 

  8. Kerwin W, Hooker A, Spilker M, et al. Quantit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alysis of neovesculature volume in carotid atherosclerotic plaque. Circulation 2003;107:851-856. 

  9. Calcagno C, Cornily JC, Hyafil F, et al. Detection of neovessels in atherosclerotic plaques of rabbits using dynamic contrast enhanced MRI and 18F-FDG PET.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8;28:1311-1317. 

  10. Ibrahim T, Makowski MR, Jankauskas A, et al. Serial contrast-enhanced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monstrates regression of hyperenhancement within the coronary artery wall in patients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J Am Coll Cardiol Img 2009;2:580-588. 

  11. Lobbes MB, Miserus RJJHM, Heeneman S, et al. Atherosclerosis: contrast-enhanced MR imaging of vessel wall in rabbit model-comparison of gadofosveset and gadopentetate dimeglumine. Radiology 2009;250:682-691. 

  12. Barkhausen J, Ebert W, Heyer C, Debatin JF, Weinmann HJ. Detection of atherosclerotic plaque with gadofluorine-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irculation 2003;108:605-609. 

  13. Ohtsuki K, Hayase M, Akashi K, Kopiwoda S, Strauss HW. Detection of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receptor expression in experimental atherosclerotic lesions: an autoradiographic study. Circulation 2001;104:203-208. 

  14. Ogawa M Ishino S, Mukai T, et al. F-FDG accumulation in atherosclerotic plaques: immunohistochemical and PET imaging study. J Nucl Med 2004;45:1245-1250. 

  15. Wasserman BA, Smith WI, Trout HH III, Cannon RO III, Balaban RS, Arai AE. Carotid artery atherosclerosis: in vivo morphologic characterization with gadolinium-enhanced double-oblique MR imaging-initial results. Radiology 2002;223:566-573. 

  16. Aoki S, Aoki K, Ohsawa S, Nakajima H, Kumagai H, Araki T. Dynamic MR imaging of the carotid wall. J Magn Reson Imaging. 1999;9:420-4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