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3년부터 2008년까지 경북대학교병원 구강내과를 내원한 삼차신경통 환자 90명의 임상 소견 및 약물 치료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삼차신경통 환자는 40대 이상이 94.4%를 차지하였고 남녀비가 1:2.1로 여성에서 거의 2배 정도 호발하였다. 2. 삼차신경의 상악분지에 단독으로 이환된 경우가 51.1%로 가장 많았고 좌우비가 1:2.9로 우측에 더 자주 발생하였다. 3. 85명(94.4%)의 환자가 경북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기 전 삼차신경통을 치료하기 위해 다른 의료기관을 내원한 경험이 있었다. 3. 40명(44.4%)의 환자가 현재 치료 중인 전신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4. Carbamazepine 단독 투여로 69명(76.7%)의 환자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때 사용된 Carbamazepine의 일일 용량은 평균 402.9mg이었다. 반면에 16명(17.8%)의 환자는 Carbamazepine과 다른 약물을 복합 투여하여 효과를 나타내었고 사용된 Carbamazepine 일일 용량은 평균 618.8mg이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병용 약물은 Baclofen이었다. 나머지 5명(5.6%)의 환자는 Carbamazepine으로 효과를 얻지 못했다. 5. Carbamazepine 단독 투여에 효과가 있었던 69명 중 39명은 내원 기간 동안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30명은 Carbamazepine에 대한 효과가 감소하였거나 부작용으로 인해 복합 투약을 시행하였거나 다른 약물로 교체 또는 신경외과로 의뢰하였다. 6. 54명(60%)의 환자에서 Carbamazepine 투여 후 현기증, 졸음, 오심, 혈구 감소, 피부 발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였으나 대부분 그 정도가 미약하거나 일시적이었고 11명의 환자가 부작용으로 인해 Carbaamzepien 투약을 중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igeminal neuralgia is defined "a sudden, usually unilateral, severe, brief, stabbing, recurrent pain in the distribution of one or more branches of the fifth cranial nerve". The initial treatment of choice for trigeminal neuralgia is medical therapy. In patients with medically intractable pain 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환자마다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의 종류나 용량, 부작용 발생 정도가 다양하고, 같은 환자라 하더라도 약물에 대해 일정한 반응을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삼차신경통의 치료에 있어서 임상가의 경험과 판단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삼차신경통 환자의 치료 결과에 대한 후향적 분석이 삼차신경통의 치료법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경북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삼차신경통 환자의 임상 소견과 약물 치료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차신경통은 어떤 질환인가? 삼차신경통은 삼차신경의 분지에 편측으로 반복적인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지에 이환되며, 통증은 극심하고 찌르는 듯한 양상으로 갑작스럽게 시작되어 짧게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1) 거의 50%에 달하는 환자들이 발통역(trigger zone)을 가지고 있어서 이 부위를 약간만 건드려도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식사, 대화, 세면 등과 같은 일상적인 활동도 피하려 한다.
삼차신경통의 특징은 무엇인가? 삼차신경통은 삼차신경의 분지에 편측으로 반복적인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지에 이환되며, 통증은 극심하고 찌르는 듯한 양상으로 갑작스럽게 시작되어 짧게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1) 거의 50%에 달하는 환자들이 발통역(trigger zone)을 가지고 있어서 이 부위를 약간만 건드려도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식사, 대화, 세면 등과 같은 일상적인 활동도 피하려 한다.
본 논문의 삼차신경통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소견 및 약물 치료에 대한 결과는 무엇인가? 2003년부터 2008년까지 경북대학교병원 구강내과를 내원한 삼차신경통 환자 90명의 임상 소견 및 약물 치료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삼차신경통 환자는 40대 이상이 94.4%를 차지하였고 남녀비가 1:2.1로 여성에서 거의 2배 정도 호발하였다. 2. 삼차신경의 상악분지에 단독으로 이환된 경우가 51.1%로 가장 많았고 좌우비가 1:2.9로 우측에 더 자주 발생하였다. 3. 85명(94.4%)의 환자가 경북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기 전 삼차신경통을 치료하기 위해 다른 의료기관을 내원한 경험이 있었다. 3. 40명(44.4%)의 환자가 현재 치료 중인 전신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4. Carbamazepine 단독 투여로 69명(76.7%)의 환자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때 사용된 Carbamazepine의 일일 용량은 평균 402.9mg이었다. 반면에 16명(17.8%)의 환자는 Carbamazepine과 다른 약물을 복합 투여하여 효과를 나타내었고 사용된 Carbamazepine 일일 용량은 평균 618.8mg이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병용 약물은 Baclofen이었다. 나머지 5명(5.6%)의 환자는 Carbamazepine으로 효과를 얻지 못했다. 5. Carbamazepine 단독 투여에 효과가 있었던 69명 중 39명은 내원 기간 동안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30명은 Carbamazepine에 대한 효과가 감소하였거나 부작용으로 인해 복합 투약을 시행하였거나 다른 약물로 교체 또는 신경외과로 의뢰하였다. 6. 54명(60%)의 환자에서 Carbamazepine 투여 후 현기증, 졸음, 오심, 혈구 감소, 피부 발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였으나 대부분 그 정도가 미약하거나 일시적이었고 11명의 환자가 부작용으로 인해 Carbaamzepien 투약을 중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erskey H, Bogduk N. Classification of Chronic Pain:Description of Chronic Pain Syndromes and Definitions of Pain Terms. Seattle: IASP Press;1994;59-71 

  2. 이승우 외. 구강진단학. 5판, 서울, 1996, 신흥인터내셔날, pp. 164-166 

  3. Headache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2nd edition.Cephalagia 2004;24(suppl 1):9-160 

  4. Sindrup SH, Jensen TS. Pharmacotherapy of trigeminal neuralgia. Clin J Pain 2002;18(1):22-27 

  5. Johns TP, Zakrzewska JM. Evidence-based approach to the medical management of trigeminal neuralgia. Br J Neurosurg 2007;21(3):253-261 

  6. Krafft RM. Trigeminal neuralgia. Am Fam Physician 2008;77(9):1291-1296 

  7. Prasad S, Galetta S. Trigeminal neuralgia: historical notes and current concepts. Neurologist 2009;15:87-94 

  8. Cambell FG, Graham JG, Zilkha KJ. Clinical trial of carbamazepine(Tegretol) in trigeminal neuralgia.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66;29:265-267 

  9. Rockliff BW, Davis EH. Controlled sequential trials of carbamazepine in trigeminal neuralgia. Arch Neurol 1966;15:129-136 

  10. Killian JM, Fromm GH. Carbamazepine in the treatment of neuralgia. Arch Neurol 1968;19:129-136 

  11. Nicol CF. A four year double-blind study of tegretol in facial pain. Headache 1969;9:54-57 

  12. Friis ML, Kristensen O, Boas J et al. Therapeutic experiences with 947 epileptic out-patients in oxcarbazepine treatment. Acta Neurol Scand. 1993;87(3):224-227 

  13. Fromm GH, Terrence CF, Chattha AS. Baclofen in the treatment of trigeminal neuralgia: double-blind study and long-term follow-up. Ann Neurol 1984;15:240-244 

  14. Fromm GH, Terrence CF. Comparison of L-baclofen and racemic baclofen in trigeminal neuralgia.Neurology 1987;37:1725-1728 

  15. Katusic S, Beard CM, Bergstralh E et al. Incidence and Clinical Features of Trigeminal Neuralgia, Rochester, Minnesota, 1945-1984. Ann Neurol 1990;27:89-95 

  16. Barker FG II, Jannetta PJ, Bisonette DJ, Larkins MV, Jho HD. The long-term outcome of microvascular decompression for trigeminal neuralgia. N Engl J Med 1996;334:1077-1083 

  17. Neto HS, Camilli JA, Marques MJ. Trigeminal neuralgia is caused by maxillary and mandibular nerve entrapment: Greater incidence of right-sided facial symptoms is due to the foramen rotundum and foramen ovale being narrower on the right side of the cranium. Med Hypotheses 2005;65(6):1179-1182 

  18. 고성희 외. 치과약리학. 5판, 서울, 대한나래출판사, pp.288-308 

  19. Delcker A, Wilhelm H, Timmann D, Diener HC. Side effects from increased doses of carbamazepine on neuropsychological and posturographic parameters of humans. Eur Neuropsychopharmacol 1997;7(3):213-218 

  20. Sobotka JL, Alexander B, Cook BL. A review of carbamazepine's hematologic reactions and monitoring recommendations. DICP 1990;24(12):1214-1219 

  21. De Vriese AS, Philippe J, Van Renterghem DM, et al. Carbamazepine hypersensitivity syndrome: report of 4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ine 1995;74(3):144-151 

  22. Ivry S, Shteinmintz D, Tabenkin H. Carbamazepine hypersensitivity symptoms. Harefuah 2000;138(7):545-547 

  23. Taylor JC, Brauer S. Long-term treatment of trigeminal neuralgia with carbamazepine. Postgrad Med J 1981;57(663):16-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