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통증은 포괄적이고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복합현상이기 때문에 통증을 보다 잘 이해하고 더 나은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의 삶의 질과 심리적 상태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비치성 구강안면통증 환자들이 느끼는 통증의 정도와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제한(pain interference)을 평가하고 심리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 및 연령, 통증의 지속기간과 진단에 따른 차이를 함께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3개월간 단국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구강내과구강안면통증클리닉에 내원한 초진환자들 중에서 간이동통목록(Brief Pain Inventory, BPI)과 병원불안우울척도(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의 두 가지 설문지에 답하고, 비치성 구강안면통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의사와의 첫 면담 전 대기실에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작성 후에는 진료실에서 임상검사와 면담을 통해 진단을 내렸다. 총 163명의 환자들이 연구에 포함되었는데, 남녀비 1:1.5, 평균 연령 34.6세, 평균 통증지속기간 13.3개월이었다. 진단에 따라 삼차신경통군(Trigeminal Neuralgia group; TN), 신경병성동통군(Neuropathic Pain group; NeP), 만성안면통증군(Persistent Idiopathic Facial Pain; PIFP), 턱관절장애군(TMD)으로 나누고 TMD는 저작근장애군(TMD-m), 관절장애군(TMD-j) 및 근육-관절 복합군(TMD-c)으로 세분하였다. 비치성 구강안면통증 환자들은 중등도의 통증과 중등도의 일상생활 제한을 보였다. 3개월 이상의 만성통증을 가진 환자들은 급성군에 비해 높은 수준의 불안과 우울척도를 보였다(p<0.05). TMD 환자들보다 삼차신경통, 만성안면통증 및 신경병성통증 환자들의 통증이 심하고 pain interference가 컸으며 불안과 우울척도도 높았다 (p<0.05). Pain interference는 통증의 강도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울 및 불안척도와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00). 우울 및 불안척도는 통증의 강도와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결론적으로 구강안면통증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통증 자체의 조절뿐 아니라 통증으로 인한 심리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평가와 심리사회적 측면에서의 지원(psychosocial support)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Pain is a comprehensive, biopsy chosocial phenomenon, improved understanding and successful management of pain need assess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st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ain severity and pain-related interference to daily lives for pa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ain severity and pain-related interference to daily lives for patients with non-dental, OFP and a possible relation of OFP with psychological morbidity. Relation with factors such as gender, age, pain duration and diagnosis was also assess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Okeson JP. Bell's orofacial pains: The clinical management of orofacial pain. 6th ed., Chicago, 2005, Quintessence, pp. 3 

  2. Simpson KH. Chronic non-cancer pain In: Chronic pain. Dickman A & Simpson KH eds. Oxford, 2008, Oxford University Press 

  3. Breivik H, Collett B, Ventafridda V et al. Survey of chronic pain in Europe: prevalence, impact on daily life, and treatment. Eur J Pain 2006;10:287-333 

  4. Main CJ, Waddell G. Behavioural responses to examination. A reappraisal of the interpretation of non-organic signs. Spine 1998:23:2367-2371 

  5. Aggarwal VR, McBeth J, Zakrzewska JM, Lunt M, Macfarlane GJ. Are reports of mechanical dysfunction in chronic oro-facial pain related to somatisation? A population based study. Eur J Pain 2008;12:501-507 

  6. Murray H, Locker D, Mock D, Tenenbaum HC. Pain and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referred to a craniofacial pain unit. J Orofac Pain 1996;10:316-323 

  7. Macfarlane TV, Blinkhorn AS, Davies RM, Kincey J, Worthington HV. Oro-facial pain in the community: prevalence and associated impact.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2;30:52-60 

  8. Siccoli MM, Bassetti CI, Sndor PS. Facial Pain:clinical differential diagnosis. Lancet Neurol 2006;5:257-267 

  9. Zakrzewska JM. Diangosis and management of non-dental orofacial pain. Dent Update 2007;34:134-139 

  10. Chung JW, Kim JH, Kim HD et al. Chronic orofacial pain among Korean elders: prevalence, and impact using the graded chronic pain scale. Pain 2004;112:164-170 

  11. Jaafar N, Razak IA, Zain RB. The social impact of oral and facial pain in an industrial population. Ann Acad med Singapore 1989;18:553-555 

  12. Radbruch L, Loick G, Kiencke P et al. Validation of the German version of the Brief Pain Inventory. J Pain Symptom Managel 1999;18:180-187 

  13. Zigmond AS and Snaith RP.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 Scand 1983;67:361-370 

  14. Headache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2nd ed. Cephalagia 2004;24(suppl 1) 

  15. Stohler CS. Chronic orofacial pain: Is the puzzle unraveling? Journal of Dental Education 2001;65:1383-1392 

  16. Keogh E, McCracken LM, Eccleston C. Do men and women differ in their response to interdisciplinary chronic pain management? Pain 2005;114:37-46 

  17. Spinhoven P, Ormel J, Sloekers PP et al. A validation study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S) in different groups of Dutch subjects. Psycho Med 1997;27:363-370 

  18. Loeser JD, Melzack R. Pain: an overview. Lancet 1999;353:1607-1609 

  19. Auerbach SM, Laskin DM, Frantsve LM, Orr T. Depression, pain, exposure to stressful life events, and long-term outcome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patients. J Oral Maxillofac Surg 2001;59:628-633 

  20. Wikson KG, Eriksson MY, D'Eon JL, Mikail SF,Emery PC. Major depression and insomnia in chronic pain. Clin J Pain 2002;18:77-83 

  21. Jung JS, Hur YK, Choi JK.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Korean J Oral Med 2006;31:127-139 

  22. List T. Dworkin SF. Comparing TMD diagnoses and clinical findings at Swedish and US TMD centers using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Orofac Pain 1996;10:240-252 

  23. Forssell H, Santalahti P, Puukka P, Talo S. Searching for an assessment instrument to determin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pain profiles for the purposes of primary health care. Int J of Rehabil Res 2005;28:203-209 

  24. Kafas P, Leeson R. Assessment of pain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he bio-psychosocial complexit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6;35:145-1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