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화자향약방(三和子鄕藥方)"의 부원(復原)연구
A Study of the Restoration of Samhwajahyangyakbang 원문보기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v.15 no.3 = no.27, 2009년, pp.1 - 10  

김진희 (한국한의학연구원) ,  안상우 (한국한의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mhwajahyangyakbang, a medical book of Hyangyak which was presumed to be published by Samhwaja in the late Goryeo dynasty, became the original source of Hyangyakganibang. As Hyangyakganibang became the original source of Hyangyakjesengjipseongbang which was supplemented to be Hyangyakjipseongba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향약집성방』내의 『삼화자방』 유문을 집록하는 한편 <한의고전명저총서>를 검색하여 누락된 『삼화자향약방』의 유문을 채록하고 1942년에 출간된 『향약집성방(전)』과 1994년에 출간된 『한국의학대계』 권3∼7,(『향약집성방』 영인본) 그리고 <한의고전명저총서>에서 제공하는 『의방합편』의 원문이미지와 대조하여 정밀하게 복원하였다. 또 기존연구들에서 보이는 『향약집성방』의 병증문의 오류를 바로잡고, 혼란을 조성할 수 있는 조문 수에 대한 표현도 기준을 세워 정리하였다.
  • 한편 『향약구급방』 중간본의 발문에는 “옛날에 대장도감에서 이 책을 간행하였는데 세월이 오래됨에 따라 판이 이지러지고 구판본은 거의 볼 수가 없었다. 오늘에 이르러 의흥군에 부임한 최자하가 이 책을 중간하여 의료의 혜택을 넓히고자 생각하여 개인이 갖고 있던 알아보기 좋은 판본을 꺼내어 감사인 이지강에게 고하니 감사가 즉시 최자하가 부임한 현에 침자할 것을 명하여 그 뜻을 이루게 하였다.”45)라는 내용이 있다.
  • 이에 논자는 『삼화자향약방』의 복원을 진행하면서 이전에 발견되지 않은 『삼화자향약방』의 유문들을 보충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 내용을 보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약제생집성방』이 증보된 것이 곧 『鄕藥集成方』이므로 『삼화자향약방』은 『향약간이방』 및 『향약집성방』으로 이어지는 여말선초 향약의서들의 중요 저본임을 알 수 있으나 한계는? 그러나 이렇게 중요한 서적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실물이 희소하고 문헌 기록도 미미하여 관련 연구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다행히 『향약집성방』에 일부 유문이 남아있어 이를 바탕으로 신영일의 『삼화자향약방』 조문의 연원에 대한 연구3)와 손창학의 『삼화자향약방』의 간행시기에 대한 연구 4) 총 2편이 있을 따름이다.
『삼화자향약방』과 같이 실전된 의서를 복원한 사례는? 『삼화자향약방』과 같이 실전된 의서를 복원한 사례는 『御醫撮要』 및 『簡奇方』 등이 있다. 『어의촬요』는 『醫方類聚』의 전산복원본을 바탕으로 유문을 검색하고 『향약집성방』등에 남아있는 유문들과 대조하여 중복 처방을 수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어의촬요는 어떤 방식으로 진행했는가? 『삼화자향약방』과 같이 실전된 의서를 복원한 사례는 『御醫撮要』 및 『簡奇方』 등이 있다. 『어의촬요』는 『醫方類聚』의 전산복원본을 바탕으로 유문을 검색하고 『향약집성방』등에 남아있는 유문들과 대조하여 중복 처방을 수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의방유취』의 특성상 『의방유취』의 어의촬요편이 아닌 여타 편에서 채록된 경우에는 고안을 함께 수록하여 대조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신근, 鄕藥集成方 1-5, 韓國醫學大系 3-7, 서울: 여강출판사, 1994. 

  2. 유효통 외, 세종조명찬 鄕藥集成方(全), 서울: 한성도서주식회사, 1942. 

  3. 김남일, 맹웅재, 신영일, 안상우 등 공저, 韓醫學通史, 경기도 고양: 대성의학사. 2006. 

  4. 김신근, 韓醫藥書攷,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5. 金烋 著, 張伯偉 編, 海東文獻總錄, 朝鮮時代書目叢刊柒, 北京: 中華書局, 2004. 

  6. 안상우, 高麗 醫書 御醫撮要의 복원, 한국의사학회지, 2001;14(2):83-107 

  7. 안상우, 失傳醫書 簡奇方의 復原연구, 서지학연구, 2008;40:269-293. 

  8. 신영일, 鄕藥集成方에 나타난 三和子鄕藥方 條文의 淵源에 대한 연구, 방제학회지, 1997;5(1):85-98. 

  9. 신영일, 鄕藥救急方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 대학원, 1994. 

  10. 신영일, 고려시대 의학에 대한 고찰, 동신대학교논문집, 1995;7:345-395. 

  11. 손창학, 三和子鄕藥方의 刊行時期에 對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 대학원, 1992. 

  12. 김종권, 鄕藥集成方의 引用文獻 分析, 서지학연구, 2006;35:183-229. 

  13.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고전명저총서", 한의학 지식정보자원 웹서비스 

  14. 한국고전번역원, 陽村先生文集, 한국고전종합DB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