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Dynamic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Upo Wetland.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2 no.2, 2009년, pp.232 - 241  

이정준 (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이정호 (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5년 3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매월 우포늪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8강 35과 86속 213종의 식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수는 14${\sim}$50의 범위였으며, 평균 출현종수는 34${\pm}$10종으로 조사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2005년 8월에 161 cells $mL^{-1}$로 가장 낮았으며, 2006년 8월에 159.283 cells $mL^{-1}$로 가장 높았다. 특히 2006년 하계에는 남조류에 의한 수화 발생으로 극단적으로 높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나타내였다. 총 34회에 걸친 조사에서 우점종은 총 13종으로 나타났으며, 녹조류와 남조류의 종들이 각각 4회씩 우점하였다. 우포늪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을 살펴보면, 동계에는 은편모조강과 와편모조강, 규조강의 종들이 높은 구성비를 나타내었으며, 비동계 기간에는 녹조류와 규조강의 종들이 주요 출현종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2006년 하계에는 남조강의 종들이 높은 구성비를 나타내었다. 종다양도지수는 0.50${\sim}$2.86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매년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for Upo wetland from march 2005 to December 2007 on monthly basis. During the investigation, totally 213 phytoplankton taxa which belonged to 86 genera of 35 families in 8 classes were observed. Chlorophyceae was the most diverse in the U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계절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강 (Class)별 출현 양상을 밝히고자하였다. 더욱이 우포늪을 대상으로 보고되 었던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본 조사를 통해 분석된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식물플랑크톤 주요 종과 군집의 변화 상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 양상과 출현종수의 계절적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 우점종 현황을 분석하여 주요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을 조사하였다. 또한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계절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강 (Class)별 출현 양상을 밝히고자하였다. 더욱이 우포늪을 대상으로 보고되 었던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본 조사를 통해 분석된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식물플랑크톤 주요 종과 군집의 변화 상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포늪을 대상으로 수중생태계 내에서 1차생산자로서 수환경 요인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 양상과 출현종수의 계절적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 우점종 현황을 분석하여 주요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7)

  1. 강병국. 2004. 우포 가는 길:자연생태계의 보고, 그 모든 이야기. 동학사 

  2. 강정훈, 함규황. 1997. 우포늪 일대의 조류. 한국조류학회지 4(1): 35-46 

  3. 강호철, 주용규. 1999. 자연습지의 구조적 특성과 갈대 (Phramites japonica)의 적정생육수섬. 한국정원학회지 17(4): 191-200 

  4. 고진석, 여운기, 이승윤, 지홍기. 2005. Mattress/Filter를 이용한 하천변습지의 수질정화.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2005 공동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5. 곽승준, 유송동, 이충기. 2002.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우포늪의 보존가치 추정. 국제경제연구 8(3): 203-225 

  6. 곽영주, 박상용, 강인준. 2005. 환경지리정보 기반의 환경평가 적용시 습지분포 및 규모예측.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3(3):53-57 

  7. 구본학, 김귀곤. 2001a. 우리나라 습지 유형별 분류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2): 11-25 

  8. 구본학, 김귀곤. 2001b. RAM (일반기능평가기법)을 이용한 내륙 습지 기능 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3): 38-48 

  9. 구자용, 박의준, 김영택. 2005. GIS의 공간중첩 기법을 이용한 내륙습지 경계 재셜정. 국토지리학회지 39(4): 563-574 

  10. 구자용, 서종철. 2007. 위성영상과 지리정보를 이용한 우리나라의 산지습지 가능지 추출. 한국지형학회지 14(1): 53-65 

  11. 권기진, 이보아, 변채호, 남종민, 김재곤. 2006. 습지식물의 적정 서식 환경:1. 줄과 애기부들.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1): 72-88 

  12. 권동희. 2006. 한국의 습지지형 연구 성과와 과제. 한국지형학회지 13(1): 25-34 

  13. 권영수, 이현숙, 유정칠. 2004. 한강 강서습지생태공원 얼대의 조류.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연구보고 9(1): 49-57 

  14. 김구연, 이찬우, 주기재. 2004. 우포늪 물억새 (Miscanthus sacchariflorus) 군락에서 생장초기에 잘라주기와 태워주기에 따른 성장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7(2): 255-262 

  15. 김범철, 김은경, 표동진, 박동호, 허우명. 1995. 국내 호수에서의 남조류 독소 발생.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1(3): 231-237 

  16. 김병선, 구자용. 2005.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한 내륙습지 관리 권역 설정. 한국GIS학회지 13(2): 167-183 

  17. 김상운. 2007a. 창녕문의 자연늪 현황 및 관리방안-우포늪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18. 김재경, 안소은. 2006. 메타분석을 활용한 편익 이전 연구-하구습지 가치펑가에 대한 적용을 중심으로. 2006년 경제학공동학술대회 환경경제학회 발표논문 

  19. 김철수, 손성곤, 이정환, 오경환. 2000. 아산호 습지에서 관속식몰의 군집 구조와 생산성 및 영양염류의 흡수. 한국생태학회지 23(3): 201-209 

  20. 김한순.1993. 창녕군 일대의 자연늪 및 저수지에 대한 담수조류의 분류생태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학위논문 

  21. 김한순. 2001. 우포늪과 목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 한국육수학회지 34(2): 90-97 

  22. 김한순, 정 준.1993. 창녕군 자연늪의 담수조류상. 한국육수학회지 26(4): 305-319 

  23. 김형민. 2006. 우포늪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학위논문 

  24. 김흥태. 2007b. 우포늪에 서식하는 복족류의 중금속 생물축적. 서울대학교 학위논문 

  25. 도윤호, 장민호, 김동균, 주기재. 2007. 우포늪 범람에 의한 먼지벌레류(딱정벌레목, 딱정별레과)의 다양성과 종조성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40(2): 346-351 

  26. 문현숙. 2005. 습지의 발달 환경과 특성-경기도 산지를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2(4): 55-67 

  27. 박기현. 2007. 계절변화에 따른 우포늪의 습생.수생관속식물 군락의 변화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학위논문 

  28. 박미영, 임유라, 김귀곤, 주영우. 2006. 유휴농경지에서 발생되는 습지의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2): 1-15 

  29. 박희두. 2005.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의 습지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2(1): 1-12 

  30. 서동조. 2006. 위성영상의 규칙기반 분류기법을 적용한 우포늪 유역의 버점오염원 정보추출. 서울대학교 학위논문 

  31. 안소은. 2007. 우리나라 습지의 환경적 가치: 메타회귀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16(1): 65-98 

  32. 양홍모. 2002. 하천수정화 연못-습지 시스템의 갈대 습지셀 초기 질산성질소 제거. 한국환경농학회지 21(4): 274-278 

  33. 양홍모. 2005. 하천수를 정화하는 갈대습지의 개수부에 의한 질소제거 비교.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1): 37-44 

  34. 양홍모. 2006. 하천수정화 여과습지에서 성장하는 갈대의 영양 염류 흡수량.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1): 89-99 

  35. 양홍준, 금지돈, 이용호. 2001. 원동습지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3(4): 261-266 

  36. 오홍식, 임인추, 김병수, 김완병, 박행신. 2002 제주도의 주요 습지에 도래하는 도요.물떼새류의 현황.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연구보고 8(1): 9-25 

  37. 윤광성. 2007. 묵논 습지의 토양 및 식생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2): 129-142 

  38. 윤춘경, 장재호, 정광옥, 함종화. 2004. 습지-연못 연계시스템에 의한 수질개선과 농업적 재이용 타당성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7(3): 344-354 

  39. 이갑숙, 박세나. 1998. 창녕군 우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대구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15: 393-408 

  40. 이동준. 2007. 우포늪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접의 장기생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반조사. 창원대학교 학위논문 

  41. 이석원, 유정칠. 2007. 한강 강서습지생태공원 일원에 도래하는 월동 수금류의 개체수 변동 및 분포현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연구보고 10(1): 1-9 

  42. 이정준. 2008. 우포늪에서 수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동태 및 예측. 대구대학교 학위논문 

  43. 이정호. 2002. 대청호 남조류 수화 발달의 생태기작 연구 (2차 년도). 한국수자원공사 보고서 (WRRI -WR-02-07) 

  44. 이진환. 1986. 한라산 백록담의 식물플랑크톤 연구. 제주도연구 3: 327-331 

  45. 이진환. 1987. 한라산 백록담의 식물플랑크톤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0(2): 101-112 

  46. 이찬원, 권영택. 2000. 습지 퇴적물의 생태 환경독성도 평가. 한국습지학회지 2: 69-85 

  47. 이춘석, 류남형. 2003. 습지 수제부에서 삽목방법에 따른 갯버들 생장율 및 토양 유설 억제 효과.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3): 56-68 

  48. 장병오, 신성욱, 최기룡. 2006. 지리산 왕등재늪의 식생 변천사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9(3): 287-293 

  49. 장용구, 김상석. 2006. E-GIS 기반의 습지분포 및 규모예측.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50. 정연숙, 오현경, 노찬호, 황길순. 1999. 습지식물의 지상부 제거가 생산력에 영양염류 제거량에 미치는 효과. 환경생물 17(4): 459-165 

  51. 정영호. 1974. 한강의 Microflora에 관한 연구(제 8보). 한국식물학회지 17(2): 63-68 

  52. 정영호, 노경희. 1987. 함안 자연늪산 규조류의 분류. Proc. Coll. Natur., Sci. SNU 12: 75-100 

  53. 정영호, 이옥민.1986. 함안 자연늪산 물먼지류의 분류학적 연구. Proc. Coll. Natur., Sci. SNU 11: 51-98 

  54. 정영호, 최홍근. 1987. 함안소재 자연늪의 수생관속식물상. 환경생물 5(1): 17-28 

  55. 정현기. 2008. 우포습지내 환경학적 변이와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역동성과 연안지역으로 이동하는 지각류의 야외 관찰:Moina macrocopa의 무리형성. 부산대학교 학위논문 

  56. 조경학.1992. 우포자연학습원 환경 설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학위논문 

  57. 주영옥. 2004. 창녕 우포늪의 보전 방안. 경북대학교 학위논문 

  58. 주위홍, 구본학. 2006. 습지 유형 분류 체계별 습지 분류 특성.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6): 153-161 

  59. 최상호. 2000. Lim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mpacts of floating aquatic plants on the Woopo wetland. 부산대학교 학위논문 

  60. 최철만, 정은주, 이인섭. 2003. 부산 일광산 습지의 식물상. 한국환경과학회지 12(12): 1227-1233 

  61. 한융호, 김동엽, 안원용. 2002. 일윌저수지의 습지 환경과 식생 발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슬학회지 5(2): 9-16 

  62. 한현아. 2000. 자연습지 우포 퇴적물에 함유된 인의 존재형태별 분포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학위논문 

  63. 황길순, 김범철, 김호섭, 전만식. 2000. 습지에 의한 수질개선 효과. 한국육수학회지 33(3): 295-303 

  64. Chen, W. , S.W. Ann, W. Shi and Q. Mi. 2003.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assessment of soil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us in soil of new bom river mouth wetlands. J. Environ. Sci. 12(2): 111-117 

  65. Choi, J.H. and S.S. Park. 2004. Role of wetland plants as oxygen and water pump into benthic sediment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4): 436-447 

  66. Choi, S.H., H. Ha, Y.H. Ju, H.W. Kim and G.J. Joo. 199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W oopo wetland, S.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1(4): 273-281 

  67. Fogg, G.E. and B. Thake. 1987. Algae culture and phytoplankton ecology. 3rd ed. Univ. of Wisconsin Press, Wisconsln 

  68. Hom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McGrawHill Inc., New York 

  69. Hutchinson, G.E. 1967. A Treaties on Limnology. Vol. 2. John Willey & Sons. Inc., New York 

  70. Lee, H.J., J.S. Cha and H.C. Park. 2006. Nest distribution ofthe Eurasian Coot (Fulica atra) at Upo Wetland, Ramsar site, Korea. Kor. J. Orni. 13(2): 31-37 

  71. Schoen, S. 1988. Cell counting. In: Experimental Phycology A Laboratory Manual (Christopher, S.L., J.C. David and P.K. Bruno,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72. Shannon, 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roy of communication. Illinoise Univ. Press, Urbana 

  73. Shin, W.S. and J.C. Park. 2003. Sorption kinetics of hydrophobic organic compounds in wetland soil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3): 295-303 

  74. Verhoeven, J.T.A., B. Arheimer, C. Yin and M.M. Herfting. 2006. Regional and global concems over wetlands and water quality. TREND in Ecol. Evol. 21(2): 96-103 

  75. Welch, P.S. 1952. Limnology. 2nd. McGraw-Hill Inc., New York 

  76. Woo, Y.K., E.J. Park, K.S. Lee and D.W. Lee. 1996. Effects of Persicaria thunbergii on nitrogen retention and loss in wetland microcosoms. Korean J. Ecol. 19(2): 179-189 

  77. Yang, W.J. and N. Moores. 1998. Woopo Wetland: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ith relevance to existing and future development proposals. Environ. Res. Inst., Kyungnam Univ. 21: 57-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