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농지역에서 작물재배 형태에 따른 농약의 잔류성과 유출특성
Characteristics of Pesticide Runoff and Persistence on Agricultural Watershed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28 no.2, 2009년, pp.194 - 201  

박병준 (국립농업과학원 유해물질과) ,  권오경 (국립농업과학원 유해물질과) ,  김진경 (국립농업과학원 유해물질과) ,  김진배 (국립농업과학원 유해물질과) ,  김진호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윤순강 (국립농업과학원 기획조정과) ,  심재한 (전남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 ,  홍무기 (국립농업과학원 유해물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농지역에서 비점오염원인 농약의 살포가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유출량을 평가 하였다. 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일대 폐쇄권역에서 소수계내 물 중 잔류농약은 20종의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살균제 4종, 살충제 10종, 제초제 6종이었고, 검출범위는 0.008${\sim}$7.59 ppb 수준으로 배출수 기준보다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대하천 유입전 소수계 물 중 시기별 잔류농약 성분은 살균제가 5${\sim}$8월, 살충제는 7${\sim}$8월 및 제초제는 5${\sim}$7월에 주로 검출되었고, 밭에 사용하는 농약보다 수도용 농약이 검출 빈도가 높았다. 또한 강우강도가 높을 때는 밭토양의 토사 유출로 밭에 사용하는 농약이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작물 재배조건별 검출된 잔류농약성분은 고추밭 토양 6종, 과수원 토양 4종, 참깨밭 토양 3종 및 논토양 5종으로 총 13종이 검출되었으며, 검출 범위는 0.001${\sim}$0.109 ppm 수준이었다. 공주시 정암면 고성리 영농지역의 소수계내 물 중 농약잔류성분은 13종(살균제2, 살충제6, 제초제5)의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범위는 0.01${\sim}$7.21ppb 수준으로 잠정 배출수 기준보다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농약 종류별 검출양상은 살균제는 5${\sim}$8월, 살충제는 7${\sim}$8월, 제초제는 5${\sim}$6월에 주로 검출되었으며 강우시간별 물 중 농약잔류량은 강우시작 3${\sim}$5시간에 최고농도가 검출되었고 수도용 농약의 검출 빈도가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exposure of non-point source pesticide pollution in agricultural watershed and to investigate pesticide distribution and runoff from agricultural land, paddy field, upland and orchard, this experiment was carry out during crop growing seasons. The pesticide were detected twenty pe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농약에 대한 작물과 환경 중 잔류성에 대한 연구 및 평가기법이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살포후의 하천수계나 지표수인 호소수 등에 대한 잔류농약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유출과 원단위 유출율 산정의 연구는 미미하다9,10). 따라서 본 연구는 대단위 영농지역에서 살포농약의 작물재배유형별, 강우와 비강우시 유출에 따른 표면유출 양상과 지역단위 소수계로의 환경노출 및 부하량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비점오염이란 무엇인가? 농업비점오염(non-point source)은 작물생산을 위해 농경지를 기초로 한 농업 활동에서 유래되어 유출수, 유거수 등에 의해 지표수나 지하수계로 유입되어 오염을 초래하는 경우로 직접적인 발생원을 동정, 추적할 수 없는 오염원을 말한다. 이에 의한 오염의 빈도는 간헐적이고 강수량과 기후조건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주로 물의 이동에 의해 운반되고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1,2).
영농활동 중 비점오염원의 오염물질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에 의한 오염의 빈도는 간헐적이고 강수량과 기후조건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주로 물의 이동에 의해 운반되고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1,2). 영농활동에서 주요한 비점오염원으로는 토사 및 비료 및 농약 등으로 강도, 작물재배방법, 지형, 토양유형, 기상, 토지이용유형, 피복상태 등이 오염물질발생에 중요한 요인들이다3,4). 국내의 비점오염 연구는 토사와 무기염류물질조사로 농약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농업비점오염 빈도에 밀접하게 관련 있는 환경 요인은 무엇인가? 농업비점오염(non-point source)은 작물생산을 위해 농경지를 기초로 한 농업 활동에서 유래되어 유출수, 유거수 등에 의해 지표수나 지하수계로 유입되어 오염을 초래하는 경우로 직접적인 발생원을 동정, 추적할 수 없는 오염원을 말한다. 이에 의한 오염의 빈도는 간헐적이고 강수량과 기후조건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주로 물의 이동에 의해 운반되고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1,2). 영농활동에서 주요한 비점오염원으로는 토사 및 비료 및 농약 등으로 강도, 작물재배방법, 지형, 토양유형, 기상, 토지이용유형, 피복상태 등이 오염물질발생에 중요한 요인들이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ladviko, E. J., van Scoyoc, G. E., Monke, E. J., Monk, K. M., and Pask, W. (1991) Pesticide and nutrient movement into subsurface tile drains on a silt loam in In Indiana. J. Environ. Qual. 20, 264-270 

  2. Sin, E. S., Choe, J. Y., and Lee, D. H., (2001)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surface runoff from rural area. Journal. of Korea Society on Water Quality 17(3), 299-311 

  3. Leom. L.F., Soulis, E. D., Kouwen, N., and Farquhar, G. J. (2001) Nonpoint source pollution: A distributed water quality modelling approach, Water Res. 35, 997-1007 

  4. Curbrovsky. N. M., Dratzer, C. R., Brown., L. R., Gronberg, J. M., and Burow, K. R. (1998) Water quality in the San Joaquin-Tulare Basins, California, 1992-95. Circ. 1159. U.S. Geol. Survey. Reston, VA 

  5. Lee, K. B., Kim, J. C., Kim, J. G., Lee, D. B., Park, C. W., and Kim, J. D. (2005) Assessment of Pollutant Loads for Water Enhancement in the Mankyeong River, Kor. J. Environ. Agric. 24(2), 83-90 

  6. Kim, J. H., Lee, J. S., Ryu, J. S., Lee, K. D., Jung, G. B., Kim, W. I., Lee, J. T., and Kwun, S. K. (2005)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Discharge in a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during Farming Season, Kor. J. Environ. Agric. 24(2), 77-82 

  7. Albanis, T. A., Hela, D. G., Sakellarides, T. M., and Konstantinou, I. K. (1998)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thier metabolites in surface and underground waters of Imathia (N. Greece) by solid phase extraction disks and gas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824, 59-71 

  8. DeCoursey, D. G. (1985) Mathematical models for nonpoint water pollution control, J. Soil Water Consery. 40, 408-413 

  9. Fenelon, J.M., and Moore, R. C. (1998) Transport of agrichemicals to ground and surface water in a small central Indiana watershed. J. Environ. Qual. 27, 884-894 

  10. Larson, S. J., Capel, P. D., Goolsby, D. A., Zaugg, S. D., and Sandstrom, M. W. (1995) Relations between pesticide use and reverine flux in the Mississippi River Basin, Chemosphere 31, 3305-3321 

  11. Kim, J. H. (2007)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ffluent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rural watersheds.,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2. Park, B. J., Park, H. J., Lee, B. M., Ihm, Y. B., and Choi, J. H. (2005) Persistence and degradation of herbicide molinate in paddy-soil environment, Kor. J. Pesti. Sci. 9(1) 60-69 

  13. Hamilton, D. J., Ambrus, A., Dieterle, R. M., Felsot, A. S., Harris, C. A., Holland, P. T. Katayama, A., Kurihara, N., Linders, J., Unsworth, J., and Wong, S. S., (2003) Regulatory limits for pesticide residues in water. Pure Appl. Chem. 75(8), 1123-1155 

  14. Park, B. J., Park, S. W., Kim, J. K., Park, K. H., Kim, W. I., and Kwon, O. K. (2008) Distribution of pesticide applied with different formuations and rice growing stages in paddy fields, Kor. J. Pesti. Sci. 12(1) 74-81 

  15. Kim, C. S., Lee, B. M., Park, B. J., Jung, P. K., Choi, J. H., and Ryu, G. H. (2006) Runoff diazinon and metolachlor by rainfall simulation and from soybean field lysimeter, Kor. J. Pesti. Sci. 10(4) 279-2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