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냉간압연공정에서 공정변수에 따른 엣지 크랙 성장에 관한 연구
Study of Edge Crack Growth According to Rolling Condition in Cold Rolling 원문보기

소성가공 = Transactions of materials process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s, v.18 no.5 = no.111, 2009년, pp.377 - 384  

(부산대학교 대학원 정밀가공시스템) ,  이상호 (부산대학교 대학원 정밀가공시스템) ,  이성진 (POSCO 기술연구소) ,  이종빈 (POSCO 기술연구소) ,  김병민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hape of edge cracking in rolling process generally occurred "V" shape. This cracking is successively generated at width edge of strip. The edge cracking is developed to center of strip during rolling process. In the results, the strip is occurred fracture, and the productivity is gone down be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장력은 냉간압연에서 압연하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정변수이다. 따라서 장력이 엣지 크랙의 진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압연공정에서의 장력의 변화에 따른 초기 엣지 크랙 크기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정조건이 엣지 크랙의 진전에 대한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실제 공정에서 발생하는 엣지 크랙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해석에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냉간압연에서 엣지 크랙의 진전에 대해 해석을 수행하여 압연조건이 엣지 크랙의 진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초기 두께가 2.
  • 따라서 본 해석에 의해 엣지 크랙 진전을 예측함에 있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을 통해 압연 공정조건에 따라서 엣지 크랙 진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엣지 크랙은 어디에 발생하는가? 냉간압연공정에서 발생되는 엣지 크랙은 귀가 톱날처럼 깨져 들어간 홈으로 중, 후판, 강대에 발생한다. 이런 엣지 크랙은 판의 품질에도 영향을 줄뿐더러 작업과정에서 엣지에서 발생한 크랙으로 인해 판의 절판으로 이어져 조업시간의 상승을 가져오며 생산율을 떨어뜨린다.
엣지 크랙이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는? 냉간압연공정에서 발생되는 엣지 크랙은 귀가 톱날처럼 깨져 들어간 홈으로 중, 후판, 강대에 발생한다. 이런 엣지 크랙은 판의 품질에도 영향을 줄뿐더러 작업과정에서 엣지에서 발생한 크랙으로 인해 판의 절판으로 이어져 조업시간의 상승을 가져오며 생산율을 떨어뜨린다. 또한 엣지 크랙의 크기가 크면 폭의 정밀도에 영향을 주며 소재의 낭비도 적지 않다.
전기강판의 엣지 크랙진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해서 비교 검토한 실험 결과는 어떠한가? (1) 초기 엣지 크랙 크기에 따라서 압연후 엣지 크랙 진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폭 방향 엣지 크랙 크기가 감소 또는 압연 방향 엣지 크랙 크기가 증가할수록 절판의 가능성이 줄어든다. 따라서 압연 방향의 초기 엣지 크랙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엣지 크랙의 진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 폭 방향 엣지 크랙이 클수록 엣지 크랙의 진전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압하율의 경우, 압하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폭 방향 및 압연 방향으로의 엣지 크랙의 진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하율이 증가하면서 엣지부의 변형이 더 커지고 엣지 크랙은 더 성장하게 되며 압연방향에서 변형율은 폭 방향에서 변형율보다 크므로 압연방향에서 더 많이 진전을 하게 된다. (3) 장력은 전·후방장력으로 나누어 엣지 크랙의 진전에 대해 해석하였다. 장력이 커지면서 압연 방향과 폭 방향에서 모두 진전을 하였고 압연 방향과 폭 방향에서 진전율은 모두 미소하게 커진다. 하지만 진전율은 폭 방향보다 압연 방향에서 훨씬 크므로 폭 방향보다 압연방향에 대한 장력의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압연방향에서 폭 방향보다 소재유동이 많고 변형이 크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Y. Nobuki, I. Takashi, Y. Yoshinori, K. Akira, 2005, Influence of rolling condition on deformation of surface micro-defect in plate rolling, ISIJ, Vol. 91, No. 12, pp. 15-21 

  2. I. Takashi, Y. Nobuki, Y. Yoshinori, T. Yuhi, 2003, Deformation analysis of surface defects on plate rolling, ISIJ, Vol.89, No. 11, pp. 50-57 

  3. Y. Nobuki, Y. Yoshinori, I. Takashi, 2006, Deformation analysis of longitudinal surface micro-defects in flat rolling, ISIJ, Vol. 92, No. 11, pp. 19-24 

  4. Y. Hai-liang, L. Xiang-hua, L. Chang-sheng, Y. Kusaba, 2006, Behavior of transversal crack on slab corner during V-H rolling process, J. Iron Steel Res. Inter., Vol. 13, No. 6, pp. 31-37 

  5. H. L. Yu, X. H. Liu, Z. Y. Jiang, 2008, FE analysis of behavior of internal-longitudinal crack in a slab during vertical-horizontal rolling, Proc. the 8th asia-pacific Conf. Mater. Process., June 15-20, pp. 799-804 

  6. H. L. Yu, X. H. Liu, G. D. Wang, 2008, Analysis of crack tip stress of transversal crack on slab corner during vertical-horizontal rolling process by FEM, J. Iron Steel Res. Inter., Vol. 15, No. 3, pp. 19-26 

  7. H. L. Yu, X. H. Liu, H. Y. Bi, L. Q. Chen, 2009, Deformation behavior of inclusions in stainless steel strips during multi-pass cold rolling, J. Mater. Process. Technol. Vol. 209, pp. 455-461 

  8. E. Ervasti, U. Stahlberg, 1999, Behavior of longitudinal surface cracks in the hot rolling of steel slabs, J. Mater. Process. Technol., Vol. 94, pp. 24-28 

  9. E. Ervasti, U. Stahlberg, 1999, Transversal cracks and their behavior in the hot rolling of steel slabs, J. Mater. Process. Technol., Vol. 101, pp. 312-321 

  10. M. G. Cockroft, D. J. Latham, 1968, Ductility and the workability of metals, J. Inst. Met., 96, pp. 33-39 

  11. B. S. Shin, D. S. Choi, E. S, D. J. Lee, J. H. Lee, 2000,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Metal Rapid Products by the Ming Process, J. Kor. Soc. Precis. Eng., pp. 759-7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