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 연구 :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yle of Mothers with Infant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7 no.5 = no.251, 2009년, pp.35 - 48  

이주연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renting knowledge is regard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parenting styl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renting knowledge of mothers with infants and analyzed how this knowledge influenced their parenting style.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included in the analysis as a mediator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양육지식이 어느 정도인지를 조사하고,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양육환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양육지식 제공의 필요성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양육 지식이 양육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양육지식의 영향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적 활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광주시에 거주하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375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양육 행동 및 사회인구학적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양육지식이 어느 정도인지를 조사하고,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양육환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양육지식 제공의 필요성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양육 지식이 양육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양육지식의 영향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적 활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self-efficacy)에 대한 Bandura (1982, 1986)의 이론을 바탕으로 양육지식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양육 효능감의 효과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Bandura(1977)에 의해 제안된 자기효능감은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능력에 대한 개인의 신념으로 정의된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양육지식의 측정을 발달 영역이 아닌 지식의 종류 차원에서 접근하였을 뿐 아니라, 양육지식이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양육지식의 영향력에 대해 보다 폭넓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고, 이를 통해 실제적인 활용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육지식의 개념은 학자마다 그리고 연구마다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양육지식에 관한 연구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 선행연구들이 주로 사용한 발달영역별 지식측정 척도와는 다른 개념의 지식측정 척도를 사용하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에 대한 관련 선행변인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 더욱이 국외에서 이루어진 연구들도 양육지식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단편적으로 살펴보고 있는 연구가 대부분이어서 정확히 양육지식이 양육 행동과 어떤 경로로 관련되는지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육지식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양육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은 각 변인들의 관계를 함께 분석한 경우가 매우 드물며, 세 변인을 한 연구에서 다룬 경우에도 경로를 파악하기보다는 양육행동에 대한 상대적 설명력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송연숙, 김영주, 200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지식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시작으로, 그들의 양육지식이 구체적으로 어떤 경로를 통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양육지식 및 양육 행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는 양육효능감 변인을 두 변인 사이의 매개 변인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을 분석하고자 한다(그림 1 참조).

가설 설정

  • 한편, 양육 행동을 구성하는 세 개의 하위요인들의 요인부하량은 물체 지향적 행동이. 83, 제한적 행동이. 59로써 사회적 행동이 가장 많은 설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개인의 양 육경험은 양육지식의 양과는 관련이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인 양육지식의 정확성과는 무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인터넷 등의 발달로 전문화된 정보와 지식에 접근하기 용이해진 현대사회의 시대적 특성을 감안할 때, 첫째 자녀를 키우는 어머니들의 경우 자녀 양육에 대한 정보나 지식은 책이나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객관적 지식에 의존할 확률이 높을 것이다. 반면, 이전에 다른 자녀를 키워본 경험이 있는 어머니들은 객관적 지식과 더불어 자신들의 개인적 경험지식에 근거한 다소 주관적인 양육지식을 가질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곽연희, 이미라(1996). 산모교육의 효과측정: 산욕기 자기간호와 신생아 양육에 대한 지식과 자신감을 중심으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2), 246-255 

  2. 권경숙(2008). 영아를 양육하는 초보 어머니들의 양육특성과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229-255 

  3. 김민정(2004). 영아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실제 양육행동과 이상적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정화(1999). 영아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송연숙, 김영주(2008).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비교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181-203 

  6. 신숙재(199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안지영(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윤형주, 조복희(200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가정의 양육환경 및 그 관계성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2), 59-88 

  9. 이근영, 장유경, 임현정(2004). 영아모의 자녀양육지식 수준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1), 45-63 

  10. 이영환, 오미연(2006).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양육지식 및 민감성의 비교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9(3), 47-62 

  11. 이원영(1984).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유아교육연구, 5, 101-140 

  12. 이은숙(1987). 초산모의 어머니 역할에 대한 자신감과 수유시 모아상호작용 민감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이화자, 이승아, 김명희, 김영혜, 박남희(2004). 신생아 부모의 양육지식과 양육자신감에 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10(3), 262-271 

  14. 조결자, 이군자, 이옥자(1999). 신생아 돌보기 교육이 어머니의 자신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5(1), 84-96 

  15. 최유리(2006). 어머니의 육아방식 및 양육지식에 관한 연구: 12개월 이하의 첫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17. 홍순옥, 김성혜(2008).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양육지식과 영아의 상호작용의 관계. 아동학회지, 29(6), 55-71 

  18. Altman-Klein, H., & Cordell, A.(1987). The adolescent as mother early risk identific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 47-58 

  19.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20. Bandura, A.(1982). Self-efficacy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 122-147 

  21.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2. Bayley, N.(1969).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NY: Psychological Corp 

  23. Benasich, A. A., & Brooks-Gunn, J.(1996). Maternal attitudes and knowledge of child-rearing: Associations with family and child outcomes. Child Development, 67, 1186-1205 

  24. Bornstein, M. H., & Cote, L. R.(2003). Cultural and parenting cognitions in acculturating culture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4(3), 350-373 

  25. Bornstein, M. H., Tamis-Lemonda, C. S., Pascula, L., Haynes, O. M., Painter, K., Galperin, C., et al.(1996). Ideas about parenting in Argentin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 347-367 

  26. Coleman, P. K., & Karraker, K. H.(1997).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 47-85 

  27. Conrad, B., Gross, D., Fogg, L., & Ruchala, P.(1992). Maternal confidence, knowledge, and quality of mother-toddler interaction: A preliminary study.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13, 353-362 

  28. Donovan, W. L., & Leavitt, L. A.(1985). Simulating conditions of learned helplessness: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and attributions. Child Development, 56, 594-603 

  29. Dumka, L. E., Stoerzinger, H. D., Jackson, K. M., & Roosa, M. W.(1996). Examination of the crosscultural and cross-language equivalence of the parenting self-agency measure. Family Relations, 45, 216-222 

  30. Gecas, V.(1989). The social psychology of self-efficacy. Annual Review of Sociology, 15, 291-316 

  31. Giband-Wallston, J., & Wandersman, L. P. (1978).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Canada 

  32. Goodnow, J. J.(1984). Parent's ideas about parenting and development: A review of issues and recent work. In M. E. Lamb, A. L., Brown, & B. Rogoff. (Eds.), Advances in developmental psychology(pp 193-242). Hillsdale, NJ: Erbaum 

  33. Goodnow, J. J. (1988). Parent's ideas, actions and feelings, models and methods from developmental and social psychology. Child Development, 59(2), 286-320, 

  34. Hunt, J. M., & Paraskevopoulos, J. (1990). Childr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as a function of the inaccuracy of their mothers' knowledge of their abilitie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36, 285-298 

  35. Larsen, J., & Juhasz, A. (1986). The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 Adolescence, 21, 39-54 

  36. MacPhee, D.(1981). Manual: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37. MacPhee, D.(1984). The pediatrician as source of information about child development.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9(1), 87-99 

  38. Maloni, J. A.(1994). The content and sources of maternal knowledge about the infant. Maternal-Child Nursing Journal, 22(4), 111-120 

  39. Mann, M. B., Pearl, P. T., & Behle, P. D.(2004). Effects of parent education on knowledge and attitude. Adolescence, 39, 355-360 

  40. Mash, E. J., & Johnston, C.(1983).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 behavior problems, parenting selfesteem, and mothers' reported stress in younger and older hyperactive and normal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 86-99 

  41. Miller, S. A.(198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 259-285 

  42. Ninio, A.(1979). The naive theory of the infant and other maternal attitudes in two subgroups in Israel. Child Development, 50, 976-980 

  43. Parks, P. L., & Smeriglio, V. L.(1983). Parenting knowledge among adolescent mother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Care, 4, 163-167 

  44. Parks, P. L., & Smeriglio, V. L.(1986).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knowledge, quality of stimulation in the home and infant development. Family Relations, 35, 411-416 

  45. Phillips, D.(1987). Socialization of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among highly competent children. Child Development, 58, 1308-1320 

  46. Reich, S.(2005). What do mothers know? Maternal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6(2), 143-156 

  47. Richman, A., Miller, P., & LeVine, R.(1992). Cultural and educational variations in maternal responsiveness. Developmental Psychology, 28, 614-621 

  48. Riley, D., Meinhardt, G., Nelson, C., Salisbury, M. J., & Winnett, T.(1997). How effective are age-paced newsletters for new parents? A replication and extensions of earlier studies. Family Relations, 40, 247-253 

  49. Riley, D., & Waterston, T.(2002). Helping teenage mothers with child rearing advice: Report on an intervention.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olescence. London, UK 

  50. Scheel, M. J., Rieckmann, T.(1998). An empirically derived description of self-efficacy and empowerment for parents of children identified as psychologically disordered.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6, 15-27 

  51. Seigel, I. E.(1986). Reflections on the belief behavior connection: Lessons learned from a research program on parental belief systems and teaching strategies. In R. D. Ashmore & D. M. Brodzinsky(Ed.), Thinking about the family: View of parents and children(pp. 35-65). Hillsdale, New Jersey: Erlbaum 

  52. Simons, R. L., Beaman, J., Conger, R. D., & Chao, W. (1993). Childhood experience, conceptions of parenting and attitudes of spouse as determinants of parental be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 91-106 

  53. Stevens, J. H. Jr.(1984).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nd parenting skill. Family Relations, 33, 237-244 

  54. Tamis-Lemonda, C., Chen, L., & Bornstein, M.(1998). Mothers' knowledge about children's plan and language development: Short-term stability and interrela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34(1), 115-124 

  55. Tamis-Lemonda, C., Shannon, J., & Spellman, M. (2002). Low-income adolescent mothers' knowledge about domains of child development.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3, 88-103 

  56. Teti, D. M., & Gelfand, D. M.(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 918-9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