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구인영맥(氣口人迎脈)의 '관전일분처(關前一分處)' 비정(比定)과 관맥(關脈) 형성과정(形成過程)의 상관성(相關性)에 관한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of fixing the Ki-Gu(氣口) pulse and the Yin-Yeong(人迎) pulse in front of Kwan(關) the distance of 1 Pun(分) and the development of the Kwan-Pulse(關脈) 원문보기

大韓韓醫診斷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Diagnostics, v.13 no.2, 2009년, pp.14 - 23  

김정규 (대전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Ki-Gu(氣口) pulse and the Yin-Yeong(人迎) pulse are the arterial pulsation position of the Lung Channel of Hand-Taeuem(手太陰) and the Stomach Channel of Foot-Yangmyeong(足陽明). At the pulses we can examine the circulation of Ki-Hyeol(氣血), the balance of Uem-Yang(陰陽), the deficiency and excess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筆者는 脈學의 醫史學的 발전과정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지금 완성된 모습으로 臨床에 적용되는 脈診의 기법이 수많은 시행착오와 발전과정을 거쳐 완성된 것이란 사실을 숙지하였고, 그 일환으로 근대의 氣口人迎脈診의 형성과정에 대해서 약간의 知見을 얻게 된 바,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臨床的으로 寸口脈診을 통하여 上中下 三焦의 脈을 살피고자 할 때는 <脈經>의 寸關尺 定位를 따라야 하고, 氣血의 循環程度, 陰陽의 調和程度, 升淸降濁의 程度 등 전체적인 人體의 氣血循環 상태를 살피고자 할 때는 <難經>의 關門, <脈經>의 氣口人迎의 脈法을 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 이유는? 獨取寸口의 精神은 <難經>에서 提示되고 있지만, 獨取寸口가 完成되어 近代脈診學으로 자리를 잡은 것은 <脈經> 이후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앞에서 考察한 바의 같이 <難經>에서는 寸關尺三部에 부위가 제대로 정해져 있지 않아서, 현재와 같이 三焦의 의미를 寸口脈에 그대로 상징화하고 그에 따른 臟腑配屬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37). <脈經>에서는 寸部의 九分에서 三分을 나누고 尺部의 一寸에서 三分을 나누어 關脈의 부위를 설정하였고, 그 결과 寸六分 關六分 尺七分의 부위를 각각 排定할 수 있었다. 또 寸部에서는 上焦를 關部에서는 中焦를 尺部에서는 下焦를 살핀다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따라서, 臨床的으로 寸口脈診을 통하여 上中下 三焦의 脈을 살피고자 할 때는 <脈經>의 寸關尺 定位를 따라야 하고, 氣血의 循環程度, 陰陽의 調和程度, 升淸降濁의 程度 등 전체적인 人體의 氣血循環 상태를 살피고자 할 때는 <難經>의 關門, <脈經>의 氣口人迎의 脈法을 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38).
獨取寸口의 사고가 처음 제시되는 것은? 특히 獨取寸口의 사고가 처음 제시되는 <難經>은 <內經>의 遍診法이 <脈經>의 寸口脈診으로 轉換되는 중간과정을 잘 드러내고 있는데, 氣口人迎脈의 轉化過程에도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3).
後世脈法의 完成은 어디에서 이뤄지는가? <內經>의 遍診法이 寸口脈診으로 轉化되는 과정은 동양의학의 발전과정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後世脈法1)의 完成은 王叔和의 <脈經>에서 이루어졌는데, 그 과정의 일환이 氣口人迎脈을 寸口脈에 比定한 것이고, 後世의 많은 醫家들은 王叔和의 氣口人迎學說을 근거로 脈學을 발전시켜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