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중언어능력의 조선족 아동과 청소년의 한글, 한자, 한글.한자혼합문 형태의 덩이글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rehension of Texts with Korean Hangul, Chinese Hanja and Hangul.Hanja among Korean-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2, 2009년, pp.15 - 28  

윤혜경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복지연구소) ,  박혜원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 ,  권오식 (인제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prehension of texts written either in Korean script (Hangul) or Chinese script (Hanja). For this purpose, we measured the reading time and the correct response in text comprehension tasks with 104 Korean-Chinese children who were either 10 or 19 years old. There was a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연령집단 간 과제수행의 차이는 사용한 단어, 문장의 난이도 뿐 아니라 연령차에서 오는 지식이나 여러 능력의 차이로 당연히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주관심사는 같은 연령집단 내에서 동일한 의미의 문장이 한글로, 한자로 혹은 한글, 한자혼용으로 제시되었을 때 문장형태에 따른 수행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보고자 하는 것이다.
  • 첫째,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두 언어체계에서의 덩이글 이해를 비교함으로써 어느 한 언어의 더 우열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두 언어체계의 상이한 특성들이 일련의 문장들의 모임인 덩이글처리에 어떻게 반영되며, 이중 언어자들의 두 문자처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는 중국어, 한국어의 두 언어에 대해서 균형 잡힌 이중언어능력자인 심양의 중국 조선족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 동일한 의미의 한글, 한자, 혹은 한글·한자혼합 문장의 덩이글을 읽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정반응율을 살펴보고자 한다.
  • 동일한 의미의 한글, 한자, 혹은 한글·한자혼합 문장의 덩이글을 읽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정반응율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두 언어가 거의 동등한 수준인 이중언어처리자들에서 한글, 한자의 두 문자체계 처리간의 상호작용 양상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어는 중국어에 비해서 지시어나 조사, 어미들이 잘 발달되어 문장들 간의 관계를 잘 드러내 준다(유효려, 2005).
  • 본 연구는 중국어와 한국어의 두 언어를 동등 하게 모국어 수준으로 사용하는 중국 심양 조선족 10세 아동과 19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글문장, 한자문장 그리고 한글·한자의 혼합문장 형태의 덩이글을 읽고 이해하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중 언어처리자의 덩이글 이해과정에서 한글, 한자의 두 문자체계 처리간의 상호작용 양상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덩이글 이해과제가 사용되었다.
  • 본 연구는 수평적 이중언어자인 조선족 아동을 대상으로 한글, 한자 혹은 한글·한자혼합 형태의 문장으로 구성된 덩이글 이해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국어와 한국어의 두 언어를 동등 하게 모국어 수준으로 사용하는 중국 심양 조선족 10세 아동과 19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글문장, 한자문장 그리고 한글·한자의 혼합문장 형태의 덩이글을 읽고 이해하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먼저 라포형성을 위해 이름, 연령 등을 묻고 인사를 한 후, 다음과 같이 지시문과 함께 과제설명을 하였다. 즉, 본 연구는 일련의 문장들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는 것으로, 문장들을 읽고 나서 이어서 제시되는 문제에 적절한 답을 읽은 문장들의 내용으로부터 추론해서 네 개의 선택지에서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답을 고르는 것임을 인식시켰다.
  • 본 연구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서 몇 가지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두 언어체계에서의 덩이글 이해를 비교함으로써 어느 한 언어의 더 우열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두 언어체계의 상이한 특성들이 일련의 문장들의 모임인 덩이글처리에 어떻게 반영되며, 이중 언어자들의 두 문자처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问题:人气最高的朋友的性格是?
  • 심양 조선족들의 한글문장에 대한 수행 역시 한국어만을 모국어로 하는 한국인들의 수행과 비교하였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한자, 한글․한자의 혼합문장 덩이글에 사용한 한자는 한국에서 사용하는 번자체보다는 단순한 형태의 간자체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우리의 한글-한자혼용, 병용의 문제에 직접 적용하는 것은 신중히 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자는 표음문자인가 표의문자인가? 문자는 말소리의 의미나 그 발음을 표상하게 되는데, 전자는 표음표기, 후자는 표의표기라 한다. 일반적으로 각 국가의 문자는 표음이나 표의표기 중 어느 한 쪽을 취하는데 영어나 한글은 대표적인 표음문자이고 한자는 표의문자이다. 그런데 한국어는 두 개의 표기체계(한글과 한자)를 사용하는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언어 중의 하나이다(Taylor, 1997).
조선족이 한글과 한자의 처리효율을 검토하기에 좋은 연구대상인 이유는? 이런 측면에서 볼 때 공적 상황에서나 일상생활에 있어서 동등한 지위를 가지는 독립된 두개의 언어를 지닌 수평적 이중 언어(horizontal bilingualism) 체계에 놓여있는 조선족(박영순, 1990)은 한글과 한자의 처리효율을 검토하기에 좋은 연구대상이 될 수 있다. 실제로 박혜원과 강봉경(2004)은 Stroop 유사 과제를 사용하여 조선족 아동이 한국어의 두 언어에 대해서 거의 동등한 모국어 수준의 능력을 지녔다는 것을 실험 적으로 밝힌 바 있다.
Anderson은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어떻게 분석하였는가? Anderson(1985)은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세 단계로 분석하였다. 첫 단계는 지각단계로 시, 청각자극이 처음으로 약호화된다. 두 번째 단계는 분절(parsing)단계로서, 일련의 단어들의 모임인 문장이 그 문법적인 구성성분으로 나누어지고, 이렇게 나누어진 구성성분들이 가지는 의미적인 특성이 표상된다. 세 번째 단계는 활용단계로서, 문장이 지닌 내용이 일상생활 또는 특정한 목적에 실제로 사용되는 것이다. 질문에 답을 한다든지, 문장으로 표기된 지시에 따라 수행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Just와 Carpenter(1987)는 읽기과정에서 무엇이 처리되느냐에 초점을 두어 처리과정을 세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박영순(1990). 이중언어 이론과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제, 이중언어학회지, 6(11), 135-167. 

  2. 박혜원 . 강봉경(2004). 그림 Stroop과제에 나타난 조선족의 한글 및 한자어처리에 관한 연구 : 한족 및 한국아동의 수행과의 비교. 이중언어학회지, 26(1), 146-161. 

  3. 오수진(199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조사교육,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유효려(2005). 한국어와 중국어의 지시어 비교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윤혜경 . 박혜원 . 권오식(2007). 이중언어능력의 조선족 아동과 대학생의 한자와 한글 단어, 문장 음독에 관한 연구, 이중언어학회지, 33, 121-140. 

  6. 윤혜경 . 박혜원 . 권오식(2009). 중국 조선족 아동과 청소년의 한글, 한글 . 한자혼용, 한자의 문자표기에 따른 문장이해, 인간발달연구, 16(1), 105-119. 

  7. 이정모(1989). 글 이해의 심리적과정의 한 모델. 조명한 외(공저), 인지과학, 215-268, 서울 : 민음사 

  8. 이정모 . 이재호(1996). 글 이해의 심리적 과정. 이정모(편), 인지심리학의 제 문제 II. 서울 : 학지사. 

  9. 조련희(2006).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조사학습 순서에 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조명한 . 고성용 . 조병환(2007). 작업기억과 담화 이해와 처리. 대한민국 학술원 논문집(인문.사회 과학편). 제46집, 제1호, 1-35. 

  11. 조혜자 . 이재호(1996). 글 이해와 추론과정 : 추론의 유형과 특성. 이정모(편), 인지심리학의 제 문제 II. 서울 : 학지사. 

  12. Anderson. J. (1985).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 W. H. Freeman & Company. 

  13. Brown, A. L., & Smiley, S. S. (1977). Rating the importance of structural. units of prose passages : A problem of meta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48, 1-8. 

  14. Just, M. A., & Carpenter, P. A. (1987). The Psychology of reading and language comprehension. Boston : Allyn and Bacon. 

  15. Kintsch, W. (1974). The representation of meaning in memory. Hillsdale, NJ : Erlbaum. 

  16. Liberman, I. Y., Liberman, A. M., Mattingly, L. G., & Shankweiler, D. L. (1980). Orthography and the beginning reader. In J. F. Kavanagh & R. L. Vanezky(Eds.), Orthography, reading and dyslexia (pp.137-153). Baltimore : University Park Press. 

  17. Meyer, D. E., & Ruddy, M. G. (1974). Bilingual word-recognition : Organization and retrieval of alternative lexical codes. Paper presented to the Eastern Psychological Association, Philadelphia. 

  18. Shafullah, M., & Monsell, S. (1999). The Cost of switching between Kanji and Kana while reading Japanese.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 14 (5/6), 567-607. 

  19. Taylor, I. (1980). The Korean writing system. In P.A. Kolers, M. Wrolstad & H. Bouma(Eds.), Processing of Visual Language 2. New York : Plenum Press. 

  20. van Dijk. T. A., & Kintsch, W. (1983). Strategies of discourse comprehension. N. Y. : Academic Press. 

  21. Wanner, R. M. (1968). On remembering, forgetting and understanding sentences. A study of the deep structure hypothe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