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국악능력과 다중지능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Korean Traditional Music Abilities and Multiple Intelligence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2, 2009년, pp.195 - 209  

김나래 (서울대학교 유아교육) ,  김진경 (서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aspects of multiple intelligences related to rhythm, melody, understanding and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 Subjects were 60 4-to 6-years-old children. Instruments were the Children's Korean Traditional Music (KTM) Ability Test (Park 2006)and Korean Multiple Inte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아의 국악능력과 다중지능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므로, 유아의 국악능력과 다중지능간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지능에서 서로 연관성을 보이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국악능력과 다중지능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모색해보고자 시도하였다. 국악 능력을 크게 두 가지 요소인, 장단능력과 가락능력으로 구분하였는데, 장단은 장단형, 박, 빠르기, 셈여림으로 구성되고, 가락은 음정과 시김새로 구성된다(박형신, 2006).
  • 한편, 유아의 국악능력과 인지능력에 관한 연구는 국악을 활용한 음악 활동이 유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몇몇의 실험연구만 이뤄졌을 뿐(박성순, 2005; 손경아, 2007), 국악과 지능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구체적으로 모색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국악능력과 지능 간에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국악 능력을 크게 두 가지 요소인, 장단능력과 가락능력으로 구분하였는데, 장단은 장단형, 박, 빠르기, 셈여림으로 구성되고, 가락은 음정과 시김새로 구성된다(박형신, 2006). 또한 장단과 가락의 각각 구성요소에 대해, 소리의 같고 다름을 구분하는 이해영역과 악기 혹은 노래로 나타내는 표현영역으로 구성된 하위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기초하여 설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의 국악능력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국악능력을 장단과 가락, 이해와 표현 능력으로 세분화해서 그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구체적인 관계 또한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첫째, 국악능력을 세분화해서 살펴봄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 국악의 어떤 능력과 다중지능이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즉, 국악적 능력과 다양한 지능들이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국악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기초 근거가 되는 연구로 의미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국악능력 중 장단능력은 어떤 능력과 관계가 있는가? 또한 유아국악능력 중 장단능력은 언어적 지능 외에 자연이해 지능, 음악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개인이해 지능과도 정적상관을 보였다. 유아의 장단능력과 다중 지능 중 여러 가지 영역이 관련을 보인 것은 음악수업 경험이 유아의 지적능력을 향상 시켰으며, 음악적 경험은 지적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 연구들(Lynn et al.
음악수업 경험이 유아의 지적능력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또한 유아국악능력 중 장단능력은 언어적 지능 외에 자연이해 지능, 음악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개인이해 지능과도 정적상관을 보였다. 유아의 장단능력과 다중 지능 중 여러 가지 영역이 관련을 보인 것은 음악수업 경험이 유아의 지적능력을 향상 시켰으며, 음악적 경험은 지적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 연구들(Lynn et al., 1989; Schellenberg, 2004, 2005)과 맥을 같이 한다.
다중지능은 어떤 8가지 지능으로 설명되는가? 최근 들어 다중지능이 주목 받고 있는데(원영실, 2007), 다중지능은 기존의 IQ와 같은 협소한 의미의 지능이 아닌 좀 더 다양한 종류의 지능으로 8가지 지능으로 설명된다. 8가지 지능으로는 언어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공간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음악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개인이해 지능, 자연이해 지능이 있으며 인간은 각각의 지능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각기 다른 발달수준을 보이고 다른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며 발달한다(Gardner, 1983/1993). 다중지능에대한 연구들 중에서도 음악과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었다는 소수의 연구가 있을 뿐이다(석문주, 2002; 안재신,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문용린 . 유경재 . 전종희 . 엄채윤(2007). 개인의 역량 측정을 위한 다중지능 하위요소의 재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1(2), 283-309. 

  2. 문화관광부(2005). 유아국악교육 실태조사. 

  3. 박성순(2005). 전래동요를 활용한 수학교육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석사학위청구논문. 

  4. 박형신(2006).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 개발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박사학위청구논문. 

  5. 박형신 . 김영옥 . 김영연(2006). 국악요소의 이해 및 표현에 대한 유아의 발달적 특성 분석. 열린유아교육, 11(3), 47-75. 

  6. 박형신 . 김영옥(2007).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아동학회지, 28(1), 37-54. 

  7. 석문주(2002).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과 실천. 음악교육연구, 22, 29-57. 

  8. 성용혜 . 문미옥(2003). 유아 국악장단 수업 모형의 개발 및 효과 연구- Orff의 청음중심 단계적 지도법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4(4), 89-102. 

  9. 손경아(2007).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석사학위청구논문. 

  10. 안재신(2003).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유아 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음악교육연구, 24, 67-83. 

  11. 양옥승 . 신화식 . 이경옥 . 황혜경 . 김승옥(2004). 교사가 평가한 유아 다중지능 평가도구의 구조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5(4), 115-128. 

  12. 엄성은 . 홍은주(2003). 전래동요를 활용한 자연 친화교육의 방향 모색. 국악과 교육. 21, 201-228. 

  13. 원영실(2007). 국악교육과 아동의 지적 능력간의 연관성에 관한 고찰. 국악과 교육 25, 181-210. 

  14. 유지연(2002). 수학, 음악 통합 활동이 유아의 패턴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유아교육과정 석사학위청구논문. 

  15. 임은애(2008). 통합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7(4), 19-34. 

  16. 조흥기(2004). 코다이 음악교육.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7. 최미향(2003). 취학 전 유아의 타악기를 이용한 국악수업. 한국음악사학회, 30, 725-748. 

  18. 최은식 . 권덕원 . 석문주 . 정재은(2007). 초 . 중등 학생을 위한 음악 인지능력 검사도구의 개발. 음악교육연구. 32, 183-206. 

  19. 星野圭朗.(2007). 일본 오르프 슬베르크(김규식 . 맹삼주 공역). 한국 오르프 음악교육 연구소. 

  20. Cheek, J. M., & Smith, L. R. (1999). Music training and mathematics achievement. Adolescence, 759-761. 

  21. Fujit., F. (Eds.). (1990). The intermediate performance between talking and singing from an observational study of Japanese children's music activities in nursery schools. Music education : Facing the future. Christchurch, New Zealand : ISME. 

  22. Gardner, H. (1993). Frames of mind :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마음의 틀(이경희 역주). 서울 : 문음사(1983년 원전 발간). 

  23. Gordon. E. E. (1991). Guiding your child's musical development. Chicago, IL; GIA publication. 

  24. Gordon, E. E. (1997).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 Chicago, IL : GIA publication. 

  25. Kolb, G. R. (1996). Read with a beat. The Reading Teacher. 50(1), 76-77. 

  26. Lamb, S., & Gregory, A.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reading in beginning readers. Education Psychology, 13(1), 19-27. 

  27. Lang, S. S. (1999). Music-good for Dot only the soul, but the brain. Human Ecology Forum, 27, 24-25. 

  28. Lloyd, M. J. (1978). Teach music to aid beginning readers. The Reading Teacher, 32, 323-327. 

  29. Lynn, W., & Gault (1989). Simple music tests as measures of spearman's g. Personal and Individual Differences. 10(1), 25-28. 

  30. Orff, C. (1974). The orff music therapy. London : Schott. 

  31. Schellenberg, E. G. (2004). Music lessons enhance IQ. Psychological Science. 15(8), 511-514. 

  32. Schellenherg, E. G. (2005). Music and cognitive abilities. Current Directions Psychological Science, 14(6), 317-320. 

  33. Shilling, W. A. (2002). Mathematics, music, and movement exploring concepts and connection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9(3), 179-184. 

  34. Sloboda, J. A, Davidson, J. W, Howe, M. J. A., & Moore, D. G. (1996). The role of practice in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musician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7, 287-309. 

  35. Suzuki, S. (1973). The Suzuki concept. San Francisco : Diablo Press. 

  36. Weinberger, N. M. (1998). The music in our mind. Educational Leadership November, 36-40. 

  37. Wiggins, D. G. (2007). Pre-K music and the emergent reader promoting literacy in a music-enhanced environ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5(1), 55-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