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구성요소의 타당성 연구 : 분리불안 심리적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
Domain-specific Assessment of Psychological Control in Parents of Korean Adolescents :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2, 2009년, pp.211 - 229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및 아동학협동과정) ,  이은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replic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DAPC [Domain-specific Assessment of Psychological Control (Soenens et al., 2006)] in parents of Korean adolescents. Participants included 289 adolescents who responded to DAPC items regarding their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behavi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oenens 외(2006)가 개발한 부모의 ‘심리적’통제 척도(DAPC)의 두 가지 구성요소인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을 둔 우리나라 부모들에서도 그대로 나타나는지 ‘심리적 통제’ 척도의 타당성을 입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1) 우리나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두 가지 요인으로 구분되는지를 확인하고, 2)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통해 심리적 통제 두 가지 요인(유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또한 ‘아동의 고통에 대한 반응성’은 또래적응과는 관련이 없는 대신 감정이입 능력과 관련이 있었다고 보고함으로써 ‘지지’ 행동의 세분화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본 연구는 Soenens 외(2006)가 개발한 부모의 ‘심리적’통제 척도(DAPC)의 두 가지 구성요소인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을 둔 우리나라 부모들에서도 그대로 나타나는지 ‘심리적 통제’ 척도의 타당성을 입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세부적인 양육행동측면(domainspecific parenting)인 ‘심리적 통제’에 초점을 두고, Soenens 외(2006)가 제안한 심리적 통제척도의 두 가지 구성요소를 그들의 타당도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 이와 관련된 연구로 박성연, 이은경, 송주현과 Soenens(2008)는 부모의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가 각기 다른 경로(‘의존심’과 ‘자아비난’)를 통해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여 심리적 통제의 두 가지 구성요소가 서로 다른 특성임을 시사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척도의 신뢰도와 요인분석 결과를 재확인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 분석을 통해 심리적 통제의 2개 구성요소의 타당성을 입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앞서 고찰하였듯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부모가 어떠한 양육행동을 하는지 그리고 가족의 분위기가 어떠한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DAPC 척도의 하위요인들의 타당성은 부모의 양육행동과 가족의 분위기와의 관계를 통해 입증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보고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모의 양육태도 및 가족분위기 간의 단순상관관계와 부분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표 7>에서 보듯이 아버지의 ‘분리분안’ 심리적 통제와 아버지의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는 일반적인 심리적 통제와는 정적상관을, 자율성을 지지하는 양육태도 및 지지/반응적인 양육태도와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리적 통제는 어떻게 정의되나요? 심리적 통제란 부모가 아동을 심리적으로 조정하려는 행동으로 정의되며, 죄의식을 유발하거나, 애정철회적 행동 또는 자녀와의 애착이나 유대관계를 의도적으로 조정하는 행동으로 표현된다(Barber, 1996). 심리적 통제행동을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로 구분한 Soenens 외(2006)에 의하면,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는 부모로부터 벗어나 독립적인 행동을 하고자하는 자녀에 대해 부모가 불안을 느끼게 됨에 따라 행하게 되는 심리적 통제행동이다.
‘통제적’ 양육행동은 어떻게 개념화 되어 왔나요? ‘지지적’ 양육행동은 대체로 온정, 수용, 반응성, 민감성 등 비교적 단일한 구성요소로 개념화된 한편, ‘통제적’ 양육행동은 강압, 처벌, 거부, 죄의식유발, 제한, 감독 등 ‘처벌-강압적’ 양육, ‘행동적 통제’, ‘심리적 통제’ 등의 내용이 뒤섞인 복잡한 구성요소로 개념화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양육행동 각 차원에는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각 차원의 구성요소를 구분하지 않고 종합하여 전반적인 ‘지지’나 ‘통제’ 점수를 측정하는 방식은 연구결과를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다룬 부모의 양육행동 관련연구들과 어떠한 측면에서 차별화된 의의가 있나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내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에서 다룬 부모의 양육행동 관련연구들과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차별화된 의의가 있다. 첫째, 부모들의 일반적인 양육행동(민주적, 권위적, 허용적, 방임적)대신 심리적 통제(psychological control)행동에 초점을 둔 본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특히 중요한 양육행동이기 때문에, 자아정체감 발달과정 중에 있는 청소년들이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통제의 실상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의 사회적, 정서적 적응행동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둘째, 심리적 통제 중, 우리나라 부모들의 두드러진 행동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부모로부터의 자녀의 독립에 대한 불안에 기초한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행동과 우리나라 부모의 교육열을 고려한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행동에 초점을 두어 심리적 통제의 두 가지 구성요소의 타당성을 입증함으로써 이론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나아가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처한 양육환경과 그로인한 청소년의 발달에 대한 이해와 통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김계수(2007). Amos 7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출판사. 

  2. 김희영 . 박성연(2008).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심리적 통제가 남녀 아동의 완벽주의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경로분석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21(3), 115-131. 

  3. 박성연 . 이은경 . 송주현, Soenens(2008). 부모의 심리적 통제유형이 청소년의 의존심, 자아비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5), 65-78. 

  4. 배병렬(2007).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청람출판사. 

  5. 이순묵(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 교육과학사. 

  6. 이지인 . 박성연(2008). 어머니의 애착 경험, 심리적 통제 및 청소년의 애착이 청소년의 심리적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5(6), 175-189. 

  7. 홍세희(2001). 임상심리학의 이론의 경험쩍 검중을 위한 최신 연구방법론 :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매개모형과 잠재평균 모형의 분석. 한국 임상심리학회 워크샵 자료집. 

  8.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 3296-3319. 

  9. Barber, B. K. (2002). Intrusive parenting.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0. Barber, B. K., & Buehler, C. (1996) Family cohesion and enmeshment : different construct, different effec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8, 433-441. 

  11. Barber, B. K., & Harmon, E. L. (2002). Violating the self :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B. K. Barber(Ed.), Intrusive parenting(pp.15-52).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2. Barber, B. K., Stoltz, H. E., & Olsen, J. A. (2005). Parental support,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 Assessing relevance across rime, culture, and method. Monographs of the SRCD. Vol. 70, 4, serial No.282. 

  13. Baumrind, D. (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Monograph, 4(No.1, Pt.2). 

  14. Becker, W. C. (1964).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In M. L. Hoffman & L. W. Hoffman(Eds.),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Vol.1, pp. 169-208). NY : Russell Sage Foundation. 

  15. Beyers, W., & Goossens, L. (1999). Emotional autonomy, psychosocial adjustment and parenting : Interactions,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Journal of Adolescence, 22, 753-769. 

  16. Blatte, S. J. (2004). Experiences of depression.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7. Bugental, D. B. (2000). Acquisition of the algorithms of social life : A domain.based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26, 187-219. 

  18. Chao, R. (1994). Beyond parental control and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Understanding Chinese parenting through the cultural notion of training. Child Development. 65, 1111-1119. 

  19. Collins, A. (2005). Parsing parenting : Refining models of parental influence during adolescence. In B. K. Barber, H. E. Stoltz. & J. A. Olsen(Eds.), Parental support,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 Assessing relevance across time, culture, and method. Monographs of Ihe SRCD. Vol. 70. 4, serial No.282(pp.138-145), Boston. 

  20. Darling, N., & Steinberg, L. (1993). Parenting style as context : An integrative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13, 487-496. 

  21. Davidove, M., & Grusec, J. E. (2006). Untangling the links of parental responsiveness to distress and warmth to child outcomes. Child Development, 77(1), 44-58. 

  22. Flett, G. L., Hewitt, P. L., Oliver, J. M., & MacDonald, S. (2002). Perfectionism in children and their parents : A developmental analysis. In G. L. Flett & P. L. Hewitt(Eds.), Perfectionism :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pp.89-132), Washington, DC : APA. 

  23. Frost, R., Heimberg, R., Holt, C.. Mattia, J., & Neuhauer, A.(1993). A comparison of two measure of perfection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4, 119-126. 

  24. Frost, R., Marten, P., Lahart, C., &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 Therapy & Research, 14, 449-468. 

  25. Goldberg, S., Grusec, J. E., & Jenkins, J. (1999). Confidence in protection : Arguments for a narrow definition of attachment.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3, 475-483. 

  26. Gray, M. R., & Steinberg, L.(1999). Unpacking authoritative parenting : Reassess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 574-587. 

  27. Green, R. J., & Werner, P. D.(1996). intrusiveness and closeness-caregiving : Rethinking the concept of family enmeshment. Family Process, 35, 115-136. 

  28. Grolnick, W. S., Ryan, R. M., & Deci, E. (1991). Inner resources for 'school achievement : Motivational mediators of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 508-517. 

  29. Holmbeck, G. N., Johnson, S. Z., Wills, K., McKernon, W., Rolewick, S., & Skubic, T. (2002). Observed and perceived parental overprotection in relation to psychosocial adjustment in pr-adolescents with a physical disability : The mediational role of behavioral autonom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0, 96-110. 

  30. Kenney-Benson, G. A., & Pomerantz, E. M. (2005). The role of mothers' use of control in children's perfectionism :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Personality. 73, 23-46. 

  31. Kim, U. Park, Y. S. Kwon, Y. E., & Koo, J. (2005). Values of childr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ocial change in Korea: Indigenous, cultural, and psychological analysis. Applied Psychology : An International Review, 54, 3, 338-354. 

  32. Maccoby, E. E., & Martin, J. A. (1983).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 Parent-child interaction. In P. H. Mussen(Ed.) & E. M. Hetherington(Vol. Ed), Handbook of child'psychology .- Vol.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4th ed., pp.1-101). New York : Wiley. 

  33. Manzi, C, Scenes, B., Vignoles, V. L., Regalia, C., & Scabini, E. (2006). Cohesion and enmeshment revisited : Family differentiation, ident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ree European cultures. Post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on Adolescece(SRA), San Francisco. 

  34. Manzi, C., Vignoles, V. L., & Regalio, C. (2006). Cohesion and enmeshment revisited: Family differentiation, ident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wo European cultur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8, 673-689. 

  35. Park, S. Y., & Cheah, C. (2008). Concomitants and predictors of South Korean mothers' parenting. Symposium conduc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ral Development(lSSBD), Wuerzburg, Germany. 

  36. Rollins, B. C., & Thomas, D. L. (1979). Parental support, power, and control techniques in the socialization of children. In W. R. Burr, R. Hill, F. I. Nye & I. L. Reiss(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 Vol.1. Research based theories(pp.317-364). NY : Free Press. 

  37. Schaefer, E., S. (1965). Children's reports of parental behavior : An inventory. Child Development, 36, 413-424. 

  38. Soenens, B., & Vansteenkiste, M. (2007). Distinguishing among types of psychological control : Seperation-anxious versus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In A. Assor(Chair), Disentangling the construct of parental control : Conceptual and measurement issues. Symposium conduc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on Child Development(SRCD), Boston, MA. 

  39. Soeoens, B., Vansteenkiste, M, Duriez, B., & Goossens, L. (2006). In search of the sources of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 The role of parental separation anxiety and parental maladaptive perfectionism.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6, 539-559. 

  40. Soenens, B., Elliot, A. J., Goossens, L., Vansteenkiste, M., Luyten, P., & Duriez, B. (2005).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erfectionism: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s an intervening variable.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9, 358-366. 

  41. Soenens, B., Vansteenkist, M., Lens, W., Luyckx, K., Goossens, L., Beyers, W., & Ryan, R. M. (2007). Conceptualizing parental autonomy support : Adolescent perception of promotion of independence versus promotion of volitional functioning. Developmental Psychology, 43, 633-646. 

  42. Steinberg, L. (1990). Autonomy, conflict, and harmony in the family relationship. In S. S. Feldman & G. R. Elliot(Eds.). At the threshold : The developing adolescent(pp.255-276).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43. Stoltz, H., Barber. B., & Olsen, J. (2005). Toward disentangling fathering and mothering : An assessment of relative importa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7, 1026-1092. 

  44. Wood, J. J. (2006). Parental intrusiveness and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in a clinical sample.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37, 73-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