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불안과 우울증상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적 변인
Effects of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on Children's Affective Problems and Self-Worth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3, 2009년, pp.71 - 83  

정문자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여종일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amined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anxiety, depressive symptoms, and self-worth. Seven hundred and thirty-eight 5th and 6th graders completed measures of affective problems, self-worth, styles of attribution, daily hassles, parenting, and social support. R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동의 정서적 적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특성과 사회적 환경을 고려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는데, 정서적 적응에 대한 취약성을 다양한 발달영역에서 규명하고, 이러한 취약성이 발달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정서적으로 취약한 귀인양식을 사용하거나 일상적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는 사춘기 전기 연령집단을 대상으로 불안과 우울증에 대한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프로그램 효과를 비교분석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불안과 우울증에 관련된 위험요인들은 유사한지, 아동의 정서적 적응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변인은 무엇인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에 나타나는 부정적 정서상태로 불안과 우울증상을 살펴보고, 긍정적 정서상태로 자아존중감을 고려하여 관련된 변인들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아동기에 나타나는 정서성의 경향 및 발달기제를 이해하고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이나 상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불안, 우울증상, 자아존중감에 관련된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개인 및 사회적 변인들을 조사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아동의 정서성과 관련된 다양한 개인 및 사회적 변인들에 대하여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연구결과들은 아동의 정서적 적응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통하여, 예방이나 중재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에 나타나는 부정적 정서상태로 불안과 우울증상을 살펴보고, 긍정적 정서상태로 자아존중감을 고려하여 관련된 변인들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아동기에 나타나는 정서성의 경향 및 발달기제를 이해하고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이나 상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 결과가 예방이나 치료 프로그램의 목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생물학적 특성처럼 고착된 변인보다는 중재 가능한 변인들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하여 아동기에 나타나는 정서성의 경향 및 발달기제를 이해하고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이나 상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 결과가 예방이나 치료 프로그램의 목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생물학적 특성처럼 고착된 변인보다는 중재 가능한 변인들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은 무엇인가? 부정적 사건이나 스트레스 같은 환경적 측면의 위험요인도 정서장애를 설명하는 주요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스트레스에 대한 정의와 관점은 연구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는데, 스트레스는 바람직한 목적이 결여되었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사건이 불가피하게 존재하는 상황과 관련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요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사건들은 아동기 불안증상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통제할 수 없는 사건들이 아동을 불안에 취약하게 한다고 알려지고 있다(Albano, Chorpita, & Barlow, 1996; Hagopian & Ollendick, 1997).
귀인은 무엇인가? 최근의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인지양식이 불안과 우울증에 관계된다고 서술하고 있다(Castaneda, Tuulio-Henriksson, Marttunen, Suvisaari, & Lonnqvist , 2008). 귀인은 개인의 행동결과의 원인과 책임소재를 어디에 귀속시키는 것을 살펴보는 것으로, 주로 우울증과 연관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불안과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우울증을 설명하는 인지적 이론에 따르면 우울증은 부정적 사건을 내적, 안정적, 전체적으로 귀인하고, 긍정적 사건을 외적, 단편적, 특정적으로 귀인하는 양식과 관계된다.
아동기에 나타나는 부정적 정서상태로 불안과 우울증상을 살펴보고, 긍정적 정서상태로 자아존중감을 고려하여 관련된 변인들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표집으로 대상을 선정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 아동에게 일반화 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 지역사회에서 수집된 자료이므로 지역사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임상적 실제에서 정서장애로 진단된 아동에게 적용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측정도구는 자기보고형식으로 이루어졌다. 비록 선행연구에 의하면, 아동이 지각한 변인들은 아동의 내적 상태를 반영하고 영향을 미치는 신뢰롭고 타당한 방법이라고 간주하고 있지만(조선미ㆍ신윤미ㆍ박정희, 2006; Kistner et al., 1999), 부모나 교사의 보고를 활용하거나 관찰방법을 이용하면 연구결과의 객관성이 강화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남아와 여아에 따른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확인해 보지 않았으나, 부모의 양육행동이나 사회적 지지에 관련된 변인들이 아동의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성에 따라서도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성별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란혜(2006).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가 아동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1(1), 39-52. 

  2. 김연희(1998).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귀인 성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연희. 박경자(200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귀인성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49-64. 

  4. 김윤경(2008).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행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원경. 권희경. 전제아(2001). 부모 양육 행동 및 아동의 심리적 제반변인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경로분석모형.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4(3), 87-105. 

  6. 박정희(1989). 아동의 우울경향성에 따른 지각된 유능감.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영미. 민하영(2004).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 및 학교적응에 따른 아동의 우울성향. 대한가정학회지, 42(4), 1-10. 

  8. 이춘재. 성현란. 송길연. 윤혜경. 김혜리. 이명숙. 박혜원. 곽금주. 장유경. 이도헌 역(2006). 발달정신병리학(4판). 서울 : 박학사. 

  9. 조선미. 신윤미. 박정희(2006). 아동의 자기보고 우울과 불안의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1(4), 643-654. 

  10. 조수철. 이영식(1990).한국형 소아우울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9(4), 943-956. 

  11. 최난경(2003). 부모의 원가족 분화수준과 자녀양육행동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최영희. 박영애. 박인전. 신민섭(2002). 아동의 우울 및 불안경향과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203-214. 

  13. Albano, A. M., Chorpita, B. R., & Barlow, D. H. (1996).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E. J. Mash & R. A. Barkley(Eds.), Child psy-clwpathology(pp.196-241). New York : Guilford press. 

  14. Blatt, S. J., & Homann, E. (1992). Parent-child interaction in the etiology of dependent and self-critical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2, 47-91. 

  15. Boyd, C. P., Kostanski, M., Gullone, E., Ollendick, T. H., & Shek, D. T. L. (2000). Preval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Australian adolescents : Comparisons with worldwide data.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1, 189-204. 

  16. Castaneda, A. E., Tuulio-Henriksson, A., Marttunen, M., Suvisaari, J., & Lonnqvist, J. (2008). A review on cognitive impairments in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with a focus on young adul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06, 1-27. 

  17. Dubow, E. F., & Ulman, D. G. (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 52-64. 

  18. Garber, J., & Flynn, C. (2001). Predictors of depressive cognitions in young adolescen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5, 353-376. 

  19. Garmezy, N. (1987). Stress, competence, and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7, 159-174. 

  20. Gillham, J. E, Reivich, K. J., Jaycox, L. H., & Seligman, M. E. P. (1995). Prevention of depressive symptoms in school children : Two-year follow-up. Psychological Science, 6, 343-351. 

  21. Gladstone, T. R. G., & Kaslow, N. J. (1995). Depression and attribu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3, 597-606. 

  22. Hagopian, L. P., & Ollendick, T. H. (1997).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 In T. Ammerman & M. Hersen(Eds.), Handbook of prevention and treatment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New York : Wiley. 

  23. Hammen, C, & Rudolph, K. D. (2003). Childhood mood disorders. In E. J. Mash & R. A. Barkley (Eds.), Child psychopathology(2nd ed. pp.233-278).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24. Harter, S. (1988).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Denver, Colorado : University of Denver. 

  25. Harter, S. (1993). Causes and consequences of low self-estee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R. Baumeister (Ed.), Self-esteem : The puzzle of low self-regard(pp.87-\l6). New York : Plenum Press. 

  26. Horowitz, J. L., & Garber, J. (2006). The prevention of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 401-415. 

  27. Hudson, J. L., & Rapee, R. M. (2001). Parent-child interactions and anxiety disorder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9, 1411-1427. 

  28. Jaycox, L. H., Reivich, K. J., Gillham, J. E., & Seligman, M. E. P. (1994). Preventing depressive symptoms in school children.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32, 801-816. 

  29. Kazdin, A. E., Kraemer, H., Kessler, R., Kupfer, D., & Offord, D. (1997). Contributions of risk-factor research to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Clinical Psychology Review, 17, 375-406. 

  30. Kistner, J. A., Balthazor, M., Risi, S., & Burton, C. (1999). Predicting dysphoria in adolescence from actual and perceived peer acceptance in childhood.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8, 94-104. 

  31. Kovacs, M. (1981). Rating scales to assess de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Acta Paedapsychiatry, 46, 305-315. 

  32. Lewinsohn, P. M., Allen, N. B., Seeley, J. R., & Gotlib, I. H. (1999). First onset versus recurrence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8, 483-489. 

  33. Lewinsohn, P. M., Gotlib, I. H., & Seeley, J. R. (1995). Adolescent psychopatholog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4, 1221-1229. 

  34. Loeber, R., Stouthamer-Loeber, M., & White, H. R. (1999). Developmental aspects of delinquency and internalizing problems and their association with persisted juvenile substance abuse between ages 7 and 18.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8, 322-332. 

  35. March, J. (1997). Multidimension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San Antonio, TX : Pearson. 

  36. Marsh, J., Sullivan, K., & Parker, J. D. A. (1999).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multidimension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3, 349-358. 

  37. McFarlane, A. H., Bellissimo, A., Norman, G. R., & Lange, P. (1994). Adolescent depression in a school-based community sample : Preliminary findings on contributing social factors. Journal of the Youth and Adolescence, 23, 602-620. 

  38. McLeod, B. D., Wood, J. J., & Weisz, J. R. (2007).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and childhood anxiety : A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7, 155-172. 

  39. Nolan, S. A., Flynn, C, & Garber, J. (2003). The relation between rejection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 745-755. 

  40. Nolen-Hoeksema, S., Girgus, J. S., & Seligman, M. E. P. (1992). Predictors and coasequences of childhood depressive symptoms '. A 5-yea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1, 405-422. 

  41. Pettit, G. S., Bates, J. E., & Dodge, K. A. (1997). Supportive parenting, ecological context, and children's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8, 908-923. 

  42. Rapee, R. M. (1997). Potential role of childrearing practices in the development of anxiety and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ical Review, 17, 47-67. 

  43. Robinson, N. S., Garber, J., & Hilsman, R. (1995). Cognitions and stress : 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on depressive versus externalizing symptoms during the junior high school transi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4, 453-463. 

  44. Schutz, P. A., & Perkrun, S. R. (Eds.). (2007). Emotion in education. Boston, MA : Academic Press. 

  45. Thompson, M., Kaslow, N. J., Weiss, B., & Nolen-Hoeksema, S. (1998).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questionnaire. Psychological Assessment, 10, 166-170. 

  46. Vasa, R. A., & Pine, D. S. (2006). Anxiety disorders. In C. A. Essau(Ed.),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pp.78-112). New York :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