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출산/불임
Low Fertility & Infertility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6, 2009년, pp.75 - 84  

김영심 (한국사이버대학교 아동학부) ,  황혜신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황혜정 (경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low birthrate has been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which is expressed as catastrophy of population.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low birth rate has occurred directly and indirectly, generating total economic and social burden for our society. That is, low birthrate should not be si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출산에 관한 연구는 개인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보다는 정책적인 차원에서 저출산 해결의 문제점과 이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표적으로 2007년에 저출산 및 인구고령화 대응 연구(이삼식외, 2007)가 시작되었는데, 이 연구에서는 여성이 전담하거나 가족이 전담해 왔던 출산과 양육의 부담을 국가를 비롯한 다양한 주체가 분담하게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현재의 출산과 양육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어 저출산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양육을 경제적 지원(비용), 일-가정 양립(시간), 보육(서비스)으로 범주화 하여 보고 있다.
  • ‘모든 세대가 함께 하는 지속발전가능사회’라는 비전아래 2006∼2010년까지는 저출산 및 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2011∼2020년까지는 출산율을 회복하고 고령사회에 성공적으로 대응하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 목표달성을 위해 첫째, 출산과 양육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출산 및 양육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일과 가정의 양립이 가능한 사회시스템을 구축하고, 가족친화와 양성평등의 사회문화를 조성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보건통계 2009에 따른 우리나라 여성 1인당 평균 출산율은 몇 명인가? 유엔 산하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세계보건통계 2009」에 따르면 우리나라 여성 1인당 평균 출산율은 1.2명으로 193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선진국들의 출산율은 반등되었지만 일본을 포함한 우리나라는 예외였다.
최근 선진국들의 출산율이 반등한 것에 반해 그렇지 못한 나라는 어디인가? 2명으로 193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선진국들의 출산율은 반등되었지만 일본을 포함한 우리나라는 예외였다. 펜실베니아대 연구 센터가 1975년부터 2005년도까지 37개국의 인간개발지수(HDI, 최고치는 1.
펜실베니아대 연구 센터에서 1975년부터 2005년도까지 37개국의 인간개발지수와 여성 한 사람이 평생 낳을 수있는 아이의 수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저출산의 원인을 무엇이라고 하였는가? 0)1)와 여성 한 사람이 평생 낳을 수있는 아이의 수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선진국이 산업화와 함께 출산율이 하락하다가 사회발전수준이 일정 단계에 도달하면 다시 출산율이 증가하는 반전을 보여주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은 예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진국에서는 사회발전과 더불어 여성이 일하는 환경이나 보육시설이 향상 되어 아이를 가지려는 부부들이 늘어나는 반면에, 한국의 경우는 인간개발지수가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남녀불평등이나 여성이 일하기 힘든 노동환경, 육아에 대한 사회적 지월 부족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세계일보, 2009.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경철(2008). 저출산사회의 교육정책 방안. 저출산고령사회관련 주요현안 및 대응방안 연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서울경제(2009. 8. 3). 인구대재앙(2) : 저출산 복합불황이 온다. http://economy.hankooki.com/에서 2009 년 8월 20일 인출. 

  3. 서울경제(2009. 8. 9). 사상최악 '출산율 쇼크' 온다. http://economy.hankooki.com/. 

  4. 서울경제(2009. 8. 10). 인구대재앙(4) : 출산파업, 구멍난 복지. http://economy.hankooki.com/에서 2009 년 8월 20일 인출. 

  5. 서울경제(2009. 8. 12). 인구대재앙(5) : 국민 4대 의무 부도난다. http://economy.hankooki.com/ 2009 년 8월 20일 인출. 

  6. 서울경제(2009. 8. 13). 저출산의 진정한 해법. http://economy.hankooki.com/ 2009년 8월 20일 인출. 

  7. 세계일보(2009. 8. 6). 선진국 출산율 반등... 한.일만 '예외'. http://www.segye.com/2009년 8월 20일 인출. 

  8. 손승영(2005). 한국사회 저출산 원인과 가족친화적 정책대안. 가족과 문화, 17(2), 285-316. 

  9. 신효영.방은령(2007). 미혼과 기혼 남녀의 결혼관 및 자녀관 비교.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494-495. 

  10. 양정선(2009). 저출산 대책으로서의 결혼장려및 불임 부부 지원(이슈브리프 제15호). 수원 : 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11. 여성신문(2009. 8. 7). 2030 여성 54% '아이 낳고 싶다' http://www.womennews.co.kr/2009년 8월 20일 인출. 

  12. 오영희.박승희.구성열.김경철.이인재.이견직.권오정.김경래(2008). 저출산고령 사회관련 주요현안 및 대응방안 연구(연구보고서 2008-20-2). 서울 :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13. 은기수(2006). 결혼.출산 관련 가치관의 변화와 대응. 저출산고형사회 기본계획의 이해(연구보고서 2006-22-7).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이삼식.윤홍식.박종서.장보현.최은영(2007). 출산.양육 분담체계 구측에 관한 연구(협동연구 2007-02-6).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장진경(2005). 미혼남녀의 결혼관과 출산 및 자녀관에 따른 출산정책 선호도 분석. 대한가정학회, 43(11), 165-183. 

  16. 장혜경(2006). 출산.가족친화적 사회환경조성.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이해(연구보고서 2006-22-7).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7. 조남훈(2006). 인구정책의 개념과 발전 개황.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이해(연구보고서 2006-22-7).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 헤럴드경제(2009. 8. 13). 불임부부에 희망을... 서대문 시술비 지원. http://www.heraldbiz.com/에서 2009년 8월 20일 인출 

  19. 황나미(2003). 우리나라 불임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