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안교육과 홈스쿨링
An Alternative Education and Home Schooling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6, 2009년, pp.237 - 248  

주은희 (한양여자대학 유아교육과) ,  박선희 (단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asons to attend Alternative Schools are : to compensate for the discontent over what is locally taught in state schools and to improve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In 2006, it was estimated that about a thousand Home Schools were set up. With the studies of Al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고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대안학교 현황 파악을 위해 학교 수, 재학생 수, 졸업생 수와 진로, 교사 대 학생 수, 교사의 전문성 확보 및 처우, 연간교육비 등을 집계하여 에서 비교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그램 형태의 대안교육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대안교육 현장은 크게 프로그램 형태의 대안 교육 현장과 전일제 형태의 대안교육 현장, 대안 교육 관련 단체와 매체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프로그램 형태의 대안교육은 계절학교나 방과후학교, 주말학교, 홈스쿨링 등이 있다. 일반 적으로 대안학교는 전일제 형태의 대안교육 현장을 지칭하며, 학력을 인정해주는 인가형 학교와 비인가형 학교로 구분된다.
대안교육 현장은 어떻게 나누어 볼 수 있는가? 대안교육 현장은 크게 프로그램 형태의 대안 교육 현장과 전일제 형태의 대안교육 현장, 대안 교육 관련 단체와 매체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프로그램 형태의 대안교육은 계절학교나 방과후학교, 주말학교, 홈스쿨링 등이 있다.
초중등교육법 제60조 3의 내용은 무엇인가? 제60조의 3(대안학교) 1. 학업을 중단하거나 개인적 특성에 맞는 교육을 받고자 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실습 등 체험위주의 교육, 인성위주의 교육 또는 개인의 소질 적성 개발위주의 교육 등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로서 제60조 제1항에 해당하는 학교(이하 ‘대안학교’라 한다)에 대해서는 제21조 제1항(교원의 자격), 제23조 제2항 제3항(교육과정), 제24조(수업), 제26조(학년제), 제29조 (교과용 도서의 사용) 및 제31조(학교운영위원회의 설치) 내지 제34조(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운영)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2. 대안학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과정을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 3. 대안학교의 설립기준, 교육과정, 수업연한, 학력인정 그 밖에 설립․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강대중(2002). 대안교육의 제도적 갈등과 쟁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혜정(2003). 초등학교에서의 대안교육 활성화 방안.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인적자원부(2007). 대안교육백서 1997-2007. 

  4. 권근숙(2002). 우리나라 홈스쿨링의 현황과 실천사례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간행. 

  5. 권태희(2002). 한국대안교육운동 전개에 관한 일 고찰.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민환(2008). 홈스쿨링의 제도화에 따른 주요 쟁점 검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1), 43-64. 

  7. 김민환.권동택(2000). 미국 홈스쿨링의 성장과 특징에 관한 연구. 비교교육연구, 10(1), 257-280. 

  8. 김상현(2007). 대안교육의 사례 및 그 발전 방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현주(2007). 홈스쿨링을 하는 청소년의 인식 탐색; 동기, 어려움, 해결책. 교육연구논총, 28(2), 99-122. 

  10. 김회정(2006). 한국대안교육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남기석.김영화(2005). 대안교육 수요결정 요인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5(1), 89-112 

  12. 남기석(2005). 대안교육 수요의 특성 및 결정 요인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류길상(2006). 새로운 교육 모델로서의 홈스쿨링. 고신대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일식(2006). 대안학교 교육과정 및 내용구조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준기(2005). 초.중등단계 대안교육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대안교육제도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서덕희(2002). 가정학교(homeschooling) 실천의 교육적 의미 : 부모들의 삶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5(1), 119-152. 

  17. 송순재(2006). 한국에서 "대안교육"의 전개과정, 성격과 주요 문제. 신학과 세계, 56. 

  18. 신학봉(2000). 우리나라 대안교육 실태분석과 교육내용 비교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신혜민(2004). 우리나라 대안교육의 발전가능성 탐색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안봉선(2007). 초등대안학교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오사라(2008). 대안학교 새터민 청소년의 영어교육 현황 조사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염철현(2001). 미국의 홈스쿨링의 교육법적 검토. 교육법학연구, 13, 84-100. 

  23. 윤기종.손민호(2002). 대안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대안적 범주 탐색. 교육의 이론과 실천, 11(2), 89-106. 

  24. 윤윤진(2007). 정규 대안고등학교의 교육과정 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득재(2006). 공교육의 현안분석과 문화적 대안. 문화과학, 45, 43-60. 

  26. 이명옥.정일환(2008). 미국과 한국의 홈스쿨링 의제 설정 과정 비교. 비교교육연구, 18(2), 69-98. 

  27. 이병환(2004). 대안교육활성화를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운영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8. 이병환(2007). 대안학교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정책 제안. 열린교육연구, 15(3), 75-99. 

  29. 이상봉(2009). 대안교육과의 접목을 통한 공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선영(2004). 한국 대안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이용우(2007). 생태주의 대안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대안학교와 일반학교학생들의 생태적 가치관 비교.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혜영(2000). 한국의 홈스쿨링 운동의 현황과 전망. 평생교육연구, 6(1), 109-134 

  33. 이창우(2001). 대안교육에 대한 법제적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장성화(2005). 국내 대안학교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정일환.이명옥(2006). 미국 홈스쿨링의 제도화 과정 분석과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16(4), 85-112. 

  36. 조자하(2007). 위탁형 대안학교의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최정재(2008). 유비쿼터스 시대의 미래교육시스템과 홈스쿨링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24(1), 169-185. 

  38. Avner, J. A. (1989). Home schoolers : A forgotten clientele? School Library Journal, 35(11), 29-33. 

  39. Meighan, R. (1995). Home-based education effectiveness research and some of its implication. Educational Review, 47, 275-287. 

  40. Motgomery, L. (1989). The effect of home schooling on the leadership skills of home schooled students. Home School Researcher, 5(1), 1-10. 

  41. Preiss, J. S. (1989). Home-schooling : what's that? Paper presented at the Mid-South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eeting(Little Rock). ERIC Document No. ED 314 856. 

  42. Ray, B. (2002). A quick reference worldwide guide to home schooling : facts longitudinal traits. Salem, OR : National Hom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43. Shyers, L. (1992). A comparison of social adjustment between and home and traditionally schooled students. Home School Researcher, 8(3). 

  44. Smedley, T. (1992). Socialization of home study in Canada. New Brunswick. Taylor, J. (1986). Self-concept in home-schooling children. Home School Researcher, 2(2), 1-3. 

  45. Wikel, N. (1995). A community connection : The public library and home schoolers. Emergency Librarian, 22(3), 13-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