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 방향제 사용에 의한 유해 가스상 오염물질 배출 산정 및 노출 평가
Emission Estimation and Exposure to Hazardous Gaseous Pollutants Associated with Use of Air Fresheners Indoors 원문보기

환경독성학회지 = Journal of environmental toxicology, v.24 no.2, 2009년, pp.137 - 148  

조완근 (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신승호 (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권기동 (이화환경) ,  이종효 (금호석유화학(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quantitatively investigated the emissions of indoor air pollutants associated with the utilization of air fresheners indoors, and evaluated individual exposure to five specified indoor air pollutants, which were chosen on the basis of selection criteria. An electrically-polished stainl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시판 방향제에서 이러한 유해 오염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이 정성적으로는 조사되었지만(Kwon and Jo, 2007), 방향제 사용과 관련한 인체 노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국내 시판 방향제 방출 성분의 정량적 분석 결과는 문헌상에서 아직까지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판 방향제에서 방출되는 유해 성분들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방향제 사용과 관련한 유해 성분 노출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가정용품의 배출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어 온 헤드-스페이스법(head-space method) (Colombo et al.

가설 설정

  • , 1995; Wolkoff and Nielsen, 1996; Wolkoff, 1998). 계산의 복잡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러한 표준 방에서 공기는 혼합이 잘 되었고, 방의 벽, 천정 또는 바닥 표면에 오염물질의 흡착과 탈착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표준 방에서 평균 공기 교환률은 0.
  • 따라서, 오염물질의 배출 속도가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둘째, 챔버가 화학반응성이 크지 않은 전기 전처리된 SS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챔버 내벽에서 흡착과 탈착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질량 수지식(1)은 다음과 같이 간편화된다:
  • 첫째, 실험이 끝나는 시간에도 방향제가 모두 소모되지 않고 남아 있었기 때문에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에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배출이 되고 있었다. 따라서, 오염물질의 배출 속도가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둘째, 챔버가 화학반응성이 크지 않은 전기 전처리된 SS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챔버 내벽에서 흡착과 탈착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였다.
  • 일반 가정에서 방향제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에 의해서 거주자들의 노출과 이로 인한 건강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방향제 사용에 따른 실내 농도를 실내 공기질 모델에서 유도된 상기 식(4)를 이용하여 추산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여러 차례 적용되고 체적이 17.4 m3인 일반 가정의 표준 방(standard room)에서 방향제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실내 농도를 계산하였다(Jensen et al., 1995; Wolkoff and Nielsen, 1996; Wolkoff, 1998). 계산의 복잡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러한 표준 방에서 공기는 혼합이 잘 되었고, 방의 벽, 천정 또는 바닥 표면에 오염물질의 흡착과 탈착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85를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성인 평균 체중은 62.8 kg으로 가정하였다(환경부, 2007).
  • 계산의 복잡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러한 표준 방에서 공기는 혼합이 잘 되었고, 방의 벽, 천정 또는 바닥 표면에 오염물질의 흡착과 탈착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표준 방에서 평균 공기 교환률은 0.5 h-1로 가정하고(Wolkoff and Nielsen, 1996), 방향제의 오염물질 배출 속도는 일정하고, 일일 24시간 전체에 걸쳐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표준 방에서의 초기 오염물질 농도는 선행 연구들(Chua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의 생활용품들은 실내 공간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 가정의 생활용품들이 위생 증진 또는 심미적 효과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다양한 실내 공간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Rusin et al., 1998; Nilsen et al.
방향제의 화학성분들이 일으킨 이차 오염물질들은 어떠한 영향을 준다고 보고되는가? 방향제에 함유된 여러 화학성분들과 이들의 실내 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이차 오염물질들이 눈, 코, 목의 따가운 증세로부터 건물 증후군과 같은 인체 위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MØlhave et al., 1984; EIIP, 1996; Wolkoff et al.
리모넨,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같은 성분들은 인체에 어떤 현상을 일으키는가? Kwon and Jo (2007)가 보고한 국내 시판 방향제의 주요 성분 중에는 리모넨,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이 포함된다. 리모넨 노출에 민감한 사람은 호흡기질환뿐만 아니라 간, 신장 및 신경계계통의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OSHA, 1998). 벤젠(benzene)은 백혈병을 포함한 발암성 물질로 알려져 있고, 톨루엔(toluene)은 성장하고 있는 태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에틸벤젠 및 자일렌(xylene)과 함께 신경독성을 유발시키고 간이나 신장의 손상도 유발할 수 있다(OEHHA, 2003). 이들 물질들은 단기간 노출 시에는 자극, 흉통, 호흡곤란, 두통 졸음, 현기증, 혼수 등을 유발하고 장기간 노출 시 피부자극, 무기력, 현기증도 유발시킨다 (OEHHA,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환경부, 한국노출계수 핸드북, 아주대학교 예방의학교실, 2007; p. 226 

  2.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Standard guide for small-scale environmental chamber determinations of organic emissions from indoor materials/products, STD-ASTM D 5116-97, 1998 

  3. Akland G and Whitaker DA. Characterizing the sources of human exposure to Proposition 65 substances. RTI/6830/02-03 F, Research Triangle Institute, Research Triangle Park, NC, 2000 

  4. Atkinson R and Arey J. Gas-phase tropospheric chemistry of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a review, Atmos Environ 2003; 37: 197-219 

  5. Chuang JC, Callahan PJ, Lyu CW and Wilson NK.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exposure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J Expo Anal Env Epid 1999; 9: 85-98 

  6. Colombo A, De Bortoli M, Knoppel H, Schauenburg H and Vissers H. Small chamber tests and headspace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household products, Indoor Air 1991; 1: 13-21 

  7. EC (European Community). Regulation No 648/200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31 March 2004 on detergent, Official Journal L 104, 08/-4/2004, 2004; 1-35 

  8. EHD (Environmental Health Directorate). Exposure factors for assesing total daily intake of Priority Substances by the general population of Canada. Unpublished report, March 1998, Priority Substances Section, Environmental Health Directorate, Health Canada, Ottawa, 1998 

  9. EIIP (Emission Inventory Improvement Program). Consumer and Commercial Solvent Use, Final Report Volume III: Chapter 5, 1996 

  10. Guo H, Murray F and Lee SC. The develop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 house-a case study, Build Environ 2003; 38: 1413-1422 

  11. Habib RR, El-Masri A and Heath RL. Women's strategies for handling household detergents, Environ Res 2006; 100: 184-194 

  12.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onogenic Risks to Humans, Vol. 82. IARC, Lyon, France, 2002; 367 

  13. Jensen B, Wolkoff P, Wilkins CK and Clausen PA. Characterization of linoleum: Part 1. Measure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use of the field and laboratory emission cell 'FLEC', Indoor Air 1995; 5: 38-43 

  14. Jo WK and Moon KC. Housewives' exposur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lative to proximity to roadside service stations, Atmos Environ 1999; 33: 2921-2928 

  15. Katsoyiannis A, Leva P and Kotzias D.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household products: the case of velvet carpets (Moquettes), Fresen Environ Bull 2006; 7: 943-949 

  16. Kemmlein S, Hahn O and Jann O. Emissions of organophosphate and brominated flame retardants from selected consumer products and building materials, Atmos Environ 2003; 37: 5485-5493 

  17. Knoppel H and Schauenburg H. Screening of household products for the emiss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nviron Int 1989; 15: 413-418 

  18. Kwon K-D and Jo W-K. Indoor emission characteristics of liquid household products using purge-and-trap method, Environ Eng Res 2007; 12: 203-210 

  19. Li M, Wu C-L, Zhao A-Q and Yang Y. State-space model for airborne particles in multizone indoor environments, Atmos Environ 2008; 42: 5340-5349 

  20. Lin C-C, Yu K-P, Zhao P and Lee GW-M. Evaluation of impact factors on VOC emissions and concentrations from wooden flooring based on chamber tests, Build Environ 2009; 44: 525-533 

  21. Molhave L, Bach B and Pederen O. Human reactions during controlled exposures to low concentrations of organic gases and vapours known as normal indoor air pollutants. In: Berglund B, Lindvall T and Sundell, J (eds.), Indoor Air, Vol. 3, Sensory and Hyper-reactivity Reactions to Sick Buildings, Swedish Council for Building Research, Stockholm, Sweden, 1984; pp. 431-436 

  22. Nilsen SK, Dahl I, Jorgensen O and Schneider T. Micro-fiber and ultra-micro-fiber cloths,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cleaning effect, abrasion on surfaces, friction, and wear resistance, Build Environ 2002; 1373-1378 

  23. Nazaroff WW. Inhalation intake fraction of pollutants from episodic indoor emissions, Build Environ 2008; 269-277 

  24. Nazaroff WW and Weschler CJ. Cleaning products and air fresheners: exposure to primary and secondary air pollutants, Atmos Environ 2004; 38: 2841-2865 

  25. OEHHA (Office of Environmental Health Hazard Assessment). Proposition 65 Status Report Safe Harbor Levels: No Significant Risk Levels for Carcinogens and Maximum Allowable Dose Levels for Chemicals Causing Reproductive Toxicity. 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EHHA, Sacramento, CA, 2003 

  26. OSH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standards, toxic and hazardous substances. Code of Federal Regulations. 29 CFR Part 1910: 1000, Washington, DC, 1998 

  27. Rogers RE, Isola DA, Jeng C-J, Lefebvre A and Smith LW. Simulated inhalation levels of fragrance meterials in a surrogate air freshener formulation, Environ Sci Technol 2005; 39: 7810-7816 

  28. Rusin P, Orosz-Coughlin P and Gerba C. Reduction of faecal coliform, coliform and heterotrophic plate count bactria in the household kitchen and bathroom by disinfection with hypochlorite cleaners, J App Microbiol 1998; 35: 819-828 

  29. Sack TM, Steele DH, Hammerstrom K and Remmers J. A survey of household product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Atmos Environ 1992; 26: 1063-1070 

  30. Salthammer T. Volatile organic ingredients of household and consumer products, In: Salthammer, T. (Ed.), Organic Indoor Air Pollutants, Wiley-VCH, Weinheim, 1999; 219-232 

  31. Singer BC, Destaillats H, Hodgson AT and Nazaroff WW. Cleaning products and air fresheners: emissions and resulting concentrations of glycol ethers and terpenoids, Indoor Air 2006; 16: 179-191 

  32. Su HJ, Chao CJ, Chang HY and Wu PC. The effects ofevaporating essential oils on indoor air quality, Atmos Environ 2007; 41: 1230-1236 

  33. Tamas G, Weschler CJ, Toftum J and Fanger PO. Influence of ozone-limonene reactions on perceived air quality, Indoor Air 2006; 16: 168-178 

  34. US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xposure factors handbook: Volume III. Activity factors. EPA/600/P-95/002Fc Washington, DC: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1997 

  35. US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Various Sample Matrices Using Equilibrium Headspace Analysis, USEPA Method 5021A, Revision 1, 2003a 

  36. US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Various Sample Matrics Using Equilibrium Headspace Analysis, USEPA Method 5021A, Revision 1, June 2003b 

  37. Wainman T, Zhang J, Weschler CJ and Lioy PJ. Ozone and limonene in indoor air: a source of submicron particle exposure, Environ Health Persp 2000; 108: 1139-1145 

  38. Wallace LA, Pellizzari E, Leaderer B, Zelon H and Sheldon L. Emiss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building materials and household products, Atmos Environ 1987; 21: 385-393 

  39. Weschler CJ and Shields HC. Indoor ozone/terpene reactions as a source of indoor particles, Atmos Environ 1999; 33: 2301-2312 

  40. Wilke O, Jann O and Brodner D. VOC- and SVOC-emissions from adhesives, floor coverings and complete floor structures, Indoor Air 2004; 14: 98-107 

  41. Wolkoff P. Impact of air velocity,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on long-term VOC emissions from building products, Atmos Environ 1998; 32: 2659-2668 

  42. Wolkoff P and Nielsen PA. A new approach for indoor climate labelling of building materials-emission testing, modelling, and comfort evaluation, Atmos Environ 1996; 30: 2679-2689 

  43. Wolkoff P, Schneider T, Kildesø J, Degerth R, Jaroszewski M and Schunk H. Risk in cleaning: chemical and physical exposure, Sci Total Environ 1998; 215: 135-156 

  44. Zhu J, Cao XL and Beauchamp R. Determination of 2-butoxy ethanol emissions from selected consumer products and its application in assessment of inhalation exposure associated with cleaning tasks, Environ Int 2001; 26: 589-5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