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화학제품 동시 사용현황 조사 - 방향제와 탈취제를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f Consumer Product Co-use Patterns - Focusing on air-fresheners and deodorizer -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4 no.3, 2018년, pp.275 - 282  

이대엽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  임현우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  김주현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  김탁수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  황문영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  석광설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  서정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Since certain chemicals are widely applied in a variety of consumer products, exposure via simultaneous use of multiple consumer products can put human health at risk. For this reason, use patterns of consumer products are an important factor inhuman health risk assessment. The aim of th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국내 소비자들이 다양한 생활화학제품 사용으로 인해 누적 노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의 종류와 정도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해 우려제품 중 소비자들의 사용빈도가 높은 방향제와 탈취제를 대상으로 국내 소비자들의 제품 동시 사용 현황을 조사하여, 다양한 제품 사용으로 인한 유해화학물질 누적노출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누적 노출을 무엇으로 정의하는가? 생활화학제품 노출평가와 관련하여 다음 단계로 고려할 필요가 있는 사항으로는 누적 노출평가 기술을 들 수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누적 노출을 다양한 경로를 통한 여러 화학물질에 노출 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13) 소비자들은 일상생활 중 다양한 생활화학제품을 사용하고 있어 여러 화학물질에 누적노출 될 가능성이 높다.
외국에서는 유해화학물질 누적노출에 관한 대응책으로 어떤 활동을 수행중인가? 스위스에서 진행된 생활화학제품 사용실태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다양한 세정제 제품을 사용하여, 여러 화학물질에 누적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14) 유럽 화학물질청(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에서는 다양한 살생물제품 사용으로인한 인체 위해성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한 노출평가 지침서를 제공하고 있다15). 또한 글로벌 대기업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소비자들의 종합적인 제품 사용패턴을 고려하여 생활화학제품 노출평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6)
생활화학제품 내 일부 화학물질은 어떠한 문제를 야기하는가? 생활화학제품에는 사용목적에 맞는 제품 기능 발휘를 위해 수 많은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그중 일부 화학물질은 피부 발진 및 호흡기계 자극과,1)내분비계 교란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3) 우리나라에서는 가습기 살균제에 함유된 유해화학물질 노출로 발생된 폐질환으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Wolkoff P, Schneider T, Kildeso J, Degerth R, Jaroszewski M, Schunk H. Risk in cleaning: chemical and physical exposure. Sci Total Environ. 1998;215:135-156. 

  2. Witorsch RJ, Thomas JA. Personal care products and endocrine disruption: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Crit Rev Toxicol. 2010; 40(suppl. 3): 1-30. 

  3. Darbre PD, Harvey PW. Paraben esters: review of recent studies of endocrine toxicity, absorption, esterase and human exposure and discussion of potential human health risks. J Appl Toxicol. 2008:28(5):561-578. 

  4.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Official notice. Available at https://www.me.go.kr/home/web/board/read.do?pagerOffset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rchKeytitle&searchValue%EA%B0%80%EC%8A%B5%EA%B8%B0&menuId286&orgCd&boardId747490&boardMasterId1&boardCategoryId&decorator [accessed 28 Dec 2017] 

  5.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Act on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s.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Sc.do?menuld0&subMenu1&query%ED%99%94%ED%95%99%EB%AC%BC%EC%47%88#undefined [accessed 28 Dec 2017] 

  6. Dimitroulopoulou C, Lucica E, Johoson A, Ashmore MR, Sakellaris I, Stranger M, Goelen E. EPHECT ?: European household survey on domestic use of consumer products and development of worstcase scenarios for daily use. Sci Total Environ. 2015; 536:880-889. 

  7. Wu x, Bennett DH, Ritz B, Cassady DL, Lee K, Hertz-Picciotto I. Usage pattern of personal care products in California households. Food chem Toxicol. 2010; 48: 3109-3119. 

  8.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Development of basic elements for consumer exposure assessment (II). 2015. 

  9.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Development of basic elements for consumer exposure assessment (III). 2016. 

  10. Park JY, Lee KY, Hwang YH, Kim JH. Determining the exposure factors of personal and home care products for exposure assessment. Food Chem Toxicol. 2015; 77:105-110. 

  11. Park JY, Lim MY, Yang YH. Lee KY. Exposure factors for cleaning, automotive care, and surface protection products for exposure assessments. Food Chem Toxicol. 2017; 99:128-134. 

  12.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ethods for risk assessment for risk-concerned products (No. 2016-30). Available at https://www.nier.go.kr/NIER/cop/bbs/selectNoLoginBoardList.do# [accessed 28 Dec 2017] 

  13. ME Meek, AR Boobis, KM Crofton, G Heinemeyer, MV Raaij, C Vickers. Risk assessment of combined exposure to multiple chemicals: a WHO/IPCS framework.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2011;60(2): 1-14. 

  14. Garcia-Hidalgo E, Von Goetz N, Siegrist M, Hungerbuhler K. Use-patterns of personal care and household cleaning products in Switzerland. Food chem Toxicol. 2017; 99: 24-39. 

  15. European Chemicals Agency. Guidance on information requirements and chemical safety assessment; Chapter R.15: Consumer exposure assessment Version 3.0. Available at http://echa.europa.eu/documents/10162/13632/information_requirements_r15_en.pdf [accessed 28 Dec 2017] 

  16. Cowan-Ellsberry CE, Robison SH. Refining aggregate exposure: example using parabens. Regul Toxicol Pharmacol. 2009; 55(3):321-329. 

  17. Park JY, Lee KY, Shin HS, Yang YH. Review of exposure assessment to obtain exposure factors of consumer product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3; 39(6): 532-540. 

  18. Heo DA, Huh EH, Park JY, Moon KY, Lee KY. An investigation of ingredients and hazardous substances in some consumer products -Focusing on cleaners and disinfectant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5; 41(5): 314-326. 

  19. Bennett DH, Wu X, Teague C, Lee K, Cassady D, Ritz B. Hertz-Picciotto I. Passive sampling methods to determine household and personal care product use. J Expo Sci Environ Epidemiol. 2012;22:148-160. 

  20. Ficheux AS, Wesolek N, Chevillotte G, Roudot AC. Consumption of cosmetic products by the French population. First part: frequency data. Food chem Toxicol. 2015; 78: 159-169. 

  21. Ban HK. Recommendation of suitable sample size for exposure factors in deterministic exposure assessment of consumer products (Mas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017. 

  22. Walker DM. The internet as a medium for health services research. Part 2. Nurse res. 2013; 20(5): 33-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