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장장애 흰쥐에서 경옥고(瓊玉膏)와 경옥고가록용(瓊玉膏加鹿茸)의 성장효과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ffects of Kyungohkgo and Kyungohkgo Ga Nokyong on Growth in Growth Deficiency Rat with Insufficient Nutrition Diet 원문보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9 no.1, 2009년, pp.59 - 69  

차윤엽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between Kyungohkgo and Kyungohkgo Ga Nokyong effects of growth Methods We divided male Spraque-Dawley rats into 6 groups. They were Normal group, Growth deficiency rat with insufficient nutrition diet group, Growth deficiency rat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있다. 그 외에 전 등物의 鹿茸이 성장인자와 비만에도 효과적이라는 보고와 김 등41)의 鹿茸과 鹿角의 성장에 대한 동물 실험, 김 등42)의 鹿茸 및 鹿茸藥鍼의성장에 관련한 동물실험 등의 鹿茸의 성장효과에 관한 연구 들이 있으며, 최근에는 한 등5)의 瓊玉膏에 대한 성장 및 학습능력에 효과가 있었다는 실험, 공 등18)의 瓊玉膏加鹿茸에 대한 성장 및 학습능력에 관한 실험 등이 있어 이 두 처방은 성장효과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해 이 글을 쓰게 되었다. 일반적으로는 녹용 자체가 성장에 관한 효과가 있었다는 보고가있으므로 녹용을 가미하면 훨씬 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된다.
  • 그 외에도 배1416)와 허 등17)은 동물의 성장촉진에 鹿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했다. 그리고, 최근에 공 등18)은 瓊玉膏에 鹿茸을 가한 처방이 흰 쥐의 성장 및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를 하였으며, 이에 저자는 瓊玉膏와 瓊玉膏加鹿茸이 흰 쥐의 성장에 어떠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이 실험을 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許浚. 東醫寶鍵. 서울:법인문화사. 1999:131-2, 1692-3, 1712-5. 

  2. 이은숙, 서부일, 이준우, 배진승. 瓊玉膏와 瓊玉膏 가미방의 면역활성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2;17(2):95-100. 

  3. 황완균, 오인세, 김용빈, 선상덕, 김일혁. 瓊玉膏의 생리활성(III)-염증 위궤양 진통 및 정상체온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1994;25(2):153-9. 

  4. 이은숙 서부일 이준우 배진승. 瓊玉膏와 瓊玉膏 가미방이 폐암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2;17(2):101-9. 

  5. 한석훈 차윤엽 이은. 瓊玉膏가 영양소 결핍으로 유도한 성장장애 흰쥐의 성장 및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8;18(2): 97-110. 

  6. Ko KM, Yip TT, Tsao SW, Kong YC, Fennessy P, Beew MC, Porath J. Epiderma growth factor from deer(Cervus eaphus) submaxiary gand and vevet anter. Gen Comp EndocrinoI. 1986;63(3):431-40. 

  7. Suittie JM, Guckman PD, Buter JH, Fennessy PF, Corson ID, aas FJ. Insuin like growth factor 1(IGF-1) anter stimuating hormone. Endocrinoogy. 1985;116(2): 846-8. 

  8. Francis SM, Suie JM. Detection of growth factors and proto oncogene mRNA in the growing tip of red deer(Cervus eaphus) anter using reverse-transcriptase poymerase chain reaction (RT-PCR). J Exp ZooI. 1998;281(1) :36-42. 

  9. Sempere AJ, Mauget R, Bubenik GA. Infuence of Photoperiod on the seasona pattern of secretion of uteinizing hormone and testosterone and on the anter cyce in roe deer (Capreous capreous). J Reprod Fertil. 1992; 95(3):693-700. 

  10. Bubenik GA, Bubenik AB, Brown GM, Wilson DA. The roe of sex hormones in the growth of anter bone tissue (Endocrine and metaboic effects of antiandogen therapy). J Exp ZooI. 1975;194(2):349-58. 

  11. 전찬일, 김기훈, 이진용, 김덕곤. 塵茸 지방세포 (313-L1)와 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4;18(1):11-25. 

  12. 김기태, 김명규, 임강현. 塵茸과 塵角의 성장기 흰쥐 정골 길이성장에 대한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6;21(1):63-9. 

  13. 김영태, 손양선, 진수희, 한상원, 심인섭, 임사비나, 이학인. 塵茸 및 塵茸藥鍵이 동물의 성장과 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18 (5):122-34. 

  14. 배대식. 동물의 발육에 미치는 塵茸의 효과에 관한 연구 (I). 한축지, 1975;17:571. 

  15. 배대식. 동물의 발육에 미치는 塵茸의 효과에 관한 연구 (II). 한축지, 1976;10:209. 

  16. 배대식. 동물의 발육에 미치는 塵茸의 효과에 관 한 연구 (III). 한축지, 1977;15:103. 

  17. 허령, 최숙형, 이매빈, 정규찬, 고돈이. 塵茸에 관한 연구 때 塵茸이 실험용 백서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약학회지. 1959;5:10. 

  18. 공인표, 차윤엽. 영양소 결핍으로 유도한 성장장애 흰쥐에서 龍玉膏가 성장 및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3):624-9. 

  19. Freedman DS et al. The reation of menarchea age to obesity in chidhood and aduthood: the Bogausa heart study. BMC Pediatr 2003;30:3(1):3. 

  20. Wauters Meta. Human leptin: from an adipocyte hormone to an endocrine mediator. Eur J Endocrinol 2000;143(3):293-311. 

  21. Biro FM et al. Impact of timing of puberta maturation on growth in back and white femae adoescents: The Nationa Heart, ung and Bood Institute Growth and Heath Study. J Pediatr 2001;138:636-43. 

  22. 신현택, 김홍일. 소아기에 있어 비만도와 골성숙도의 상관성.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6;6(1):107-15. 

  23. 이동현. 성장장애아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 학술집담회 논문집. 19978:12-25. 

  24. 안효섭 편. 홍창의 소아과학(제8판). 서울:대한교과서 (주). 2004:18-9, 22-55, 981, 989-92. 

  25. 王伯岳, 江育仁. 中醫兒科學. 서울:도서출판 정담. 1994:23, 34-7, 84-5, 176-84, 570-88. 

  26. 채화리. 소아난병회춘신방. 북경:북경과학기술출판사. 1993:1-12, 61-98. 

  27. 정환수, 이훈, 이진용, 김덕곤. 補陽成長楊 투여가 사춘기 전 소아의 신장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임상적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1;15(1):47-57. 

  28. 이세연, 정정욱, 양태규, 구본홍.?補益養胃湯加味方으로 6개월간 저신장증 환자를 치료한 치험 2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0;21(4):693-6. 

  29. 구진숙, 백정한. 삼출건비탕가미방이 흰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파학회지.2006; 20(1):49-67. 

  30. 김봉성, 서정민, 백정한. ?調元散加味方이 흰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2006; 20(2):19-34. 

  31. 구진숙, 김장현. 六味地黃揚加味方이 흰쥐의 성장과 학습 및 기억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5;19(1):67-82. 

  32. 조형준, 정성민, 김덕곤, 이진용. 한약투여가 소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4;18(2):119-26. 

  33. 서영민, 장규태, 김장현. 허약아의 성장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4;18(1):77-91. 

  34. 전찬일, 소아 성장장애와 내분비에 대한 한의학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1;15(1):105-115. 

  35. 장규태, 김장현, 성장장애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97;11(1):1-35. 

  36. 이지영, 정민정, 최지명, 유선애, 이승연. 성장장애에 관한 임상 연구의 최근 동향-최근 중의 잡지를 중심으로-.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7; 21(1):155-71 

  37. 이세연, 정정욱, 양태규, 구본홍. 성장치료를 위한 한약투여의 임상적 효과 및 안전성 평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1;22(4):513-17. 

  38. 이승희, 김장현. 아토피 피부염 환아의 성장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2002; 16(2):163-70 

  39. 이동현, 김덕곤. 성장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의 치료 효과에 대한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98;12(1):145-62. 

  40. 전찬일, 김기훈, 이진용, 김덕곤. 塵茸이 지방세포 (3T3-L1)와 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4;18(1):11-25. 

  41. 김기태, 김명규, 임강현. 塵茸과 塵角의 성장기 흰쥐 장골 길이성장에 대한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6;21(1):63-9. 

  42. 김영태, 손양선, 진수희, 한상원, 심인섭, 임사비나, 이학인. 塵茸 및 塵茸藥鐵이 동물의 성장과 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18 (5):122-34. 

  43. Bright GM, Rogal AD, Johanson AJ, Blizzard RM. Short stature associated with normal growth hormone and decreased somatomedine C concentration : Response to exogenous growth hormone. Pediatrics. 1983;71: 576-580. 

  44. Sethi V, Kapil U. Iodine deficiency and development of brain. Indian J pediatrics 2004; 71:325-9. 

  45. 이사진. 본초강목.서울: 고문사. 1975:404-407, 596, 1205, 1558. 

  46. 김상우. 여성건강 3권1호. 서울:아카데미아.2002: 17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