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찔레 추출물의 B16 세포 멜라닌 형성 억제
Melanogenesis Inhibition Effect of Rosa multiflora Extracts in B16 Melanoma Cell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2 no.4, 2009년, pp.317 - 322  

하세은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형도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  박종군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  정연옥 ((주)FIIN) ,  김현종 (전라북도 생물산업진흥원) ,  박노복 (한국농업대학교 화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찔레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활성 및 티로시나아제활성 저해를 분석하였다. 찔레 추출물의 세포활성을 분석한 결과 찔레 잎과 뿌리 추출물의 경우에는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유사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모든 농도에서 세포 활성이 나타나지 않아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찔레 잎과 뿌리추출물은 상대적으로 고농도(200 ${\mu}g$/ml)에서 약 30${\sim}$32% 정도를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B16 세포에서 티로시나아제활성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고농도(200 ${\mu}g$/ml)에서 양성대조군인 알부틴보다 20${\sim}$25% 정도 낮은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멜라닌 함량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찔레 잎과 뿌리 추출물의 경우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효과와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인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관찰하였다. RT-PCR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추출물 처리군들은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티로시나아제 mRNA 수준이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또한 농도 의존적인 변화도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leaf and root of Rosa multiflora on the proliferation of B16 cells,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were investigated.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MTT) assay demonstrated that the cell viability up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천연물로서 찔레(Rosa multiflora)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세포 활성과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멜라닌 함량 등의 실험을 통해 찔레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형성 억제 효과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은 무슨 작용을 하는가? 멜라닌은 인체 피부에 존재하며 자외선에 대항하는 기능이 있어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체내 외적인 요인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증가되어 다량의 멜라닌이 각질형성세포에 전달되고 피부 상피층에 축적되어 과색소침착 현상이 나타나며 이러한 멜라닌의 과잉생산은 인체에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의 유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멜라닌 합성의 주효소는 무엇인가? 피부에서의 색소침착 방지에 대한 연구는 주로 멜라닌 합성의 주효소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티로시나아제 합성 저해물질이나 티로시나아제의 기질에 대한 길항물질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연구되어왔다(McEwan and Parsons, 1987; Hwang et al., 2006).
다량의 멜라닌이 각질형성세포에 전달되고 피부 상피층에 축적되어 발생하는 과색소침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약품에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환경오염에 따른 피부의 자외선 노출 증가로 인해 피부의 광노화 증가는 피부미백에 대한 관심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현재 과도한 색소 침착을 개선하기 위해 kojic acid, hydroquinone, sulfure, azelaic acid 및 retinoic acid 와 같은 의약품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hydroquinone과 retinoic acid 이외에는 뚜렷한 임상적 치료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Jang and Roh,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ien, C.C., M.L. Tsai, C.C. Chen, S.J. Chang and C.H. Tseng. 2008. Effects on tyrosinase activity by the 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and related mushrooms. Mycopathologia. 166(2):117-20 

  2. Dedeoglu, N., and O. Guler. 2008 Differential in vitro inhibition of polyphenoloxidase from a wild edible mushroom Lactarius salmonicolor. J Enzyme Inhib Med Chem. 2: 1 

  3. Eisenman, H., M. Mues, S. Weber, S. Frases, S. Chaskes, G. Gerfen, and A. Casadevall. 2007. Cryptococcus neoformans laccase catalyses melanin synthesis from both D- and L-DOPA. Microbiology. 153: 3954-62 

  4. Hosoi, J., E. Abe, T. Suda, and T. Kuroki. 1985.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 alpha,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45(4): 1474-8. 

  5. Hwang, E.Y., Y.H. Kong, Y.C. Lee, Y.C. Kim, K.M. Yoo, Y.O. Jo., and S.Y. Choi. 2006. Comparison of phenolic compounds contents between white and red ginseng and their inhibition effrect on melanin biosynthesis. J. Ginseng Res. 30(2): 82-87 

  6. Hyun, S.K., W.H. LEE, D.M. Jeong, Y.S. Kim., and J.S. Choi. 2008. Inhibitory Effects of Kurarinol, Kuraridinol, and Trifolirhizin from Sophora flavescens on Tyrosinase and Melanin Synthesis. Biol. Pharm. Bull. 31(1): 154-158 

  7. Jang, K.H., and S.S. Roh. 2004. Depigmentation activity of many herb.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Medicone. 13(2): 289-302.(in Korean) 

  8. Kim J.H., M.R. Kim, E.S. Lee., and H.C. Lee. 2009. Inhibitory effects of calycosin isolated from the root of Astragalus membranaceus on melanin biosynthesis. Biol Pharm Bull. 32(2): 264-8 

  9. Kim, J.S., K.T. Park, Y.S. Ahn., and H.J. Yu. 2006. Inhibitory and Eliminating Effects of Yeast-extracted Melanoston on Pigmentation and Preexisting Pigmentation, Respectively. Kor. J. Dermatol. 44(4): 391-398.(in Korean) 

  10. Kim, Y.M., J. Yun, C.K. Lee, H. Lee, K.R. Min., and Y. Kim. 2002. Oxyresveratrol and hydroxystilbene compounds.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mechanism of action. J Biol Chem. 277(18): 16340-4. 

  11. Lee, K.K., and J.D. Choi. 1999. The effects of areca catechu L extract on anti-inflammation and anti-melanogenesis. Int J Cosmet Sci. 21(4): 275-84 

  12. Lee, S.J., D.W. Park, H.G. Jang, C.Y. Kim, Y.S. Park, T.C. Ki., and B.G. Heo. 2006. Total phenol content,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pear cut branch extract. Kor. J. Hort. Sci. Technol. 24(3):338-341 

  13. Lim, S.H., S.M. Kim, Y.W. Lee, K.J. Ahn., and Y.B. Choe. 2008. Change of biophysical properties of the skin caused by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photodamage in Koreans. Skin Res Technol. 14(1): 93-102 

  14. McEwan, M., and P. Parsons 1987. Inhibition of melanization in human melanoma cells by a serotonin uptake inhibitor. J Invest Dermatol. 89(1): 82-6 

  15. Meyskens, F.J., and B. Fuller. 1980. Characterization of the effects of different retinoids on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a human melanoma cell line and selected subclones. Cancer Res. 40(7): 2194-6 

  16. Santos, C., and G. Stephanopoulos. 2008. Melanin-based high-throughput screen for L-tyrosine production in Escherichia coli. Appl Environ Microbiol. 74(4): 1190-7 

  17. Seto, T., I. Yasuda., and K. Akiyama. 1992. Purgative activity and principals of the fruits of Rosa multiflora and R. wichuraiana. Chem Pharm Bull(Tokyo). 40(8): 2080-2 

  18. Shin, N.H., S.Y. Ryu, E.J. Choi. S.H. Kang, I.M. Chang, K.R. Min., and Y. Kim. 1998. Oxyresveratrol as the potent inhibitor on dopa oxidase activity of mushroom tyrosinase. Biochem Biophys Res Commun. 243(3): 801-3 

  19. Sugimoto, K., T. Nishimura, K. Nomura, K. Sugimoto., and T. Kuriki. 2004. Inhibitory Effects of a-Arbutin on Melanin Synthesis in Cultured Human Melanoma Cells and a Three-Dimensional Human Skin Model. Biol. Pharm. Bull. 27(4): 510-514 

  20. Tomita, Y., A. Hariu, C. Mizuno., and M. Seiji. 1980. Inactivation of tyrosinase by dopa. J Invest Dermatol. 75(5): 379-82 

  21. Wen, A., M. K. Choi., and D. D. Kim. 2006. Formulation of liposome for topical delivery of arbutin. Arch Pharm Res. 29(12): 1187-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