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찔레나무뿌리(Rosa multiflora root)의 항산화 및 항염증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osa multiflora Root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8 = no.136, 2011년, pp.1120 - 1126  

박근혜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이진영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김동희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조영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봉전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찔레나무뿌리를 열수,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에서 추출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아세톤추출물에서 가장 많은 67.05${\pm}$0.56 mg/g의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SOD 유사활성능을 제외한 DPPH, ABTS, superoxide anion 라디컬소거능 확인 결과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찔레나무뿌리 추출물의 HAase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추출물 500 ${\mu}g/ml$ 에서 60% 이상의 높은 HAase 저해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NO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RAW 264.7 cell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뚜렷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 NO 생성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사실에 기초하여 NO 생성저해의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iNOS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에탄올추출물 100 ${\mu}g/ml$에서 40%의 iNOS protein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iNOS의 발현억제가 NO생성억제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으로 NO생성억제는 iNOS의 발현저해를 경유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찔레나무뿌리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추후 산업적 응용도 가능함으로 기능성화장품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osa multiflora thunberg belonging to Rosaceae is widely distributed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and Japan,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tormentic acid and rosamultin. To develop a new natural anti-inflammatory agent for cosmetics,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inflammation in Rosa m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하면서 피부 트러블을 보완 할 수 있는 천연 항염증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아직 다양한 천연소재들이 개발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찔레나무뿌리(R. multiflora root)을 열수,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고 또한,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의 적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부 합성 염증 억제제의 문제점은? 일반적인 NO는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병리적인 원인에 의한 과도한 NO 형성은 염증을 유발시켜 조직의 손상, 유전자 변이 및 신경손상을 일으킨다[19]. 현재까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는 일부 합성 염증 억제제는 그 효능과 부작용이 확실히 검증되지 않았고,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하면서 피부 트러블을 보완 할 수 있는 천연 항염증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아직 다양한 천연소재들이 개발되어있지 않다.
찔레나무란? 찔레나무(Rosa multiflora Thunberg)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고 한의학에서는 석산호(石刪湖)로 불리고 있으며, 열매는 영실(營實), 또는 색미자(嗇薇子)라 하여 약으로 귀하게 쓰인다. 한국,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지역 야산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낙엽관목이며, 학명 중의multiflora는 꽃이 많다는 의미이다.
찔레나무 뿌리는 어디에 사용됐는가? 한국,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지역 야산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낙엽관목이며, 학명 중의multiflora는 꽃이 많다는 의미이다. 열매는 9∼10월에 붉게 익어 다음해까지 달려 있으며, 그 뿌리는 청열, 이습, 거풍, 활혈에 효능이 있어 당뇨병, 관절염, 토혈, 월경불순, 타박상의 치료목적으로 민간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성분으로는 triterpenoid인 tormentic acid와 그 배당체인 rosamultin이 보고되어 있다[12]. 찔레꽃 증류액은 구창, 당뇨병, 심장질환을 치료하며, 잎은 찧어서 붙이면 새살을 돋아나게 하고 상처를 아물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makura, Y., M. Umono, S. Tsuji, H. Ito, T. Hatano, T. Yoshida, and Y. Tonogai. 2002. Constituents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in eucalyptus leaf extract used as a natural food additive. Food Chemistry 77, 47-56. 

  2. An, B. J. and J. T. Lee. 2002. Studies on biologlcal activity from extract of Crataegi fructus. Korean J. Herbology 17, 29-38. 

  3. Black, H. S. 1987. Potential involvement of free radical reaction in ultraviolet light-mediated cutaneous damage. Photochem. Photobiol. 46, 213-221. 

  4.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120. 

  5. Byun, S. H., C.H. Yang, and S. C. Kim. 2005. Inhibitory effect of Scrophulariae Radix extract on $TNF-{\alpha}$ , $IL-1{\beta}$ , IL-6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 264.7 cells. Korean J. Herbology 20, 7-16. 

  6. Carmichael, J., W. G. DeGraff, A. F. Gazdar, J. D. Minna, and J. B. Mitchel.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7. Choi, W. Y., H. J. Chun, J. H. Lee, and S. H. Baek. 2003.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Cornis fructus on melanogenesis. Korean J. Pharmacogn. 31, 70-74. 

  8. Folin, O. and W. Denis.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9. Fridovich, I. 1970. Quantitative aspects of the production of superoxide anion radical by milk xanthin oxidase. J. Biol. Chem. 245, 4053-4057. 

  10. Han, J. T. 2006.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 using the root of Rosamultiflora. Food Industry Nutrition 11, 59-65. 

  11. Jeong, I. Y.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radio protection of two flavonoids from propo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62-166. 

  12. Jung, B. S. and M. G. Shin. 1990. DoGam HangYak Daesajeon. pp. 648-649, Young Rim Sa, Korea. 

  13. Jung, S. J., J. H. Lee, H. N. Song, N. S. Seong, S. E. Lee, and N. I. Baek.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of plant medicinal extrac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14. Kim, J. K. and H. S. Lee. 2000. Tyrosinase inhibitory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or the seeds of Coix.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09-1413. 

  15. Okamura, H., A. Mimura, Y. Yakou, M. Niwano, and Y. Takahashi. 1993. Antioxidant activity of tannins and flavonoids in Eucalyptus rostrata. Phytochemistry 33, 557-561. 

  16. Pellegrini, N.,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R. Re, and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7. Pratt, D. E., M. T. Huang, S. T. Ho, and C. Y. Lee. 1992. In Phenolic compound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Antioxidants and Cancer Prevention. pp. 54-71, Washington DC. 

  18. Reissig, J. L., J. L. Storminger, and L. F. Leloir. 1995. A modified colorimetric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N-acetylamino sugars. J. Biol. Chem. 217, 959-966. 

  19. Stuehr, D. J., H. J. Cho, N. S. Kwon, M. F. Weise, and C. F. Nathan. 1991.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ytokine- induced macrophage nitric oxide synthase: an FADand FMN-containing flavoprotein. Proc. Natl. Acad. Sci. 88, 7773-77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